[부동산뉴스]2018년 표준지공시지가 6.02%상승...전년 대비 상승률 증가(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18. 3. 14. 19:18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표준지공시지가 6.02% 상승...전년 대비 상승률 증가

제주 16.45% 올라 전국 최고 상승률 ... 부산, 세종, 대구 뒤이어


◎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2018년 1월 1일 기준, 전국 표준지 50만 필지의 가격을 공시(2월 13일 관보 게재)했다.


2018년 표준지공시지가는 전년 대비 전국 평균 6.02% 올라 전년도 상승률 4.94%에 비해 상승폭이 증가(1.08%p)했다.


대도시는 주택관련 사업 및 상권 활성화, 중소도시는 도로, 철도 및 산업단지 신설, 관광 및 휴양 산업 활성화에 따른 토지 수요증가와 투자자금 유입 등이 주요 상승 요인으로 분석 된다.


< 2006년 ~ 2018년 표준지공시지가 변동 현황(%) >

 1. 지역별 표준지공시지가 변동 현황


◎ (권역별) 수도권(서울.인천.경기) 5.44%, 광역시(인천제외) 8.87%, 시.군(수도권, 광역시 제외) 6.70% 각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서울(6.89%)은 전국 평균(6.02) 보다 높았고, 인천(4.07%), 경기(3.54%)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변동률을 보였다.


(광역시 및 시,군 지역) 제주(16.45%), 부산(11.25%), 세종(9.34%), 대구(8.26%) 등이 높은 상승률을 보였는데, 이는 일부 지역의 개발 사업에 따른 토지 수요 증가 등이 주요 요인으로 보인다.


◎ (시.도별) 제주(16.45%), 부산(11.25%), 세종(9.34%), 대구(8.26%), 울산98.22%) 등 10개 시.도는 전국 평균(6.02%)보다 높게 상승,


○ 경기(3.54%), 대전(3.82%), 인천(4.07%), 충남(4.7%), 전북(5.13%) 등 7개 시.도는 전국 평균(6.02%)보다 낮게 상승했습니다.

   ※경기는 구도심 전비사업 지연(고양시 일산서구), 토지시장 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파주) 등으로 낮은 상승률을 나타낸 것으로 보입니다.


제주는 신화역사공원 개장 및 제2공항 예정, 부산은 센텀2지구 산업단지 조성 및 주택재개발 사업, 세종은 기반시설 확충 및 제2경부고속도로에 대한 기대감 등의 요인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시.도별 표준지공시지가 주요 변동 사유

 시도별

(표준지 수)

 변동률(%)

 주요 표준지공시지가 변동 사유

 전국

(500,000)

 6.02

 각종 개발사업에 따른 토지 수요 증가 등

 대도시 : 재건축 및 재개발사업, 상권 활성화

 중소도시 : 도로, 철도 및 산업단지 신설, 관광 및 휴양산업 활성화

 서울

(29,152)

 6.89

 상암 DMC. 홍대상권 활성화(마포), 국제교류 복합지구. 영동대로 지하 통합개발(강남),

 서울숲공원. 지식산업센터 활성화(성동), 반포 아파트 재건축사업(서초), 효창4,5구역 착공(용산)

 부산

(18,110)

 11.25

 남천동 재개발사업(수영), 해운대관광리조트 개발, 센텀2지구 도시 첨단산업단지 조성사업(해운대)
 온천동 재개발사업(동래

 대구

(13,138)

 8.26

 수성알파시티, 라이온즈파크 인근 개발 기대감(수성), 대곡2보금자리주택지구 준공(달서)
 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 준공(달성)

 인천

(11,869)

 4.07

 부평역세권 등 주택수요 증가(부평), 구월, 서창, 논현 택지개발지구의 성숙(남동),

 서운산업단지 개발 기대감(계양)

 광주

(8,682)

 7.89

 효천1 도시개발사업,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남구), 송정역 KTX 투자선도지구 지정(광산),
 용산. 내남지구 도시개발사업(동구)

 대전

(6,709)

 3.82

 한남제지 이전 적지 도시개발사업(대덕), 유성 광역복합환승 센터개발, 봉명 카페거리 조성(유성),
 대학가 주변 원룸 수요(동구)

 울산

(8,173)

 8.22

 혁신도시 성숙, 다운2 공공주택지구 개발사업(중구), 에너지 융합산업단지 사업 본격화(울주),
 송정지구 택지개발사업 (북구)

 세종

(2,256)

 9.34

 기반시설 확충, 행복도시 성숙 등에 따른 인구증가, 서울-세종 간 고속도로 건설사업에 따른 기대감

 경기

(60,758)

 3.54

 고덕국제신도시, 브레인시티 등 개발 진척(평택), 팔곡일반산업단지 조성 본격화(안산 상록),
 지하철 2개 노선 확충 예정(안산 단원)

 강원

(31,267)

 7.68

 서울-양양간 고속도로 개통, 관광객 급증, 주택 및 상업시설 신축 활발(속초, 양양)
 KTX 경강선 및 제2영동고속도로 개통(강릉)

 충북

(26,158)

 5.55

 동남지구 및 방서지구 개발사업(청주상당), 호암택지개발지구 분양(충주),
 관광지 주변 펜션 수요 및 만천하스카이워크 개방(단양)

 충남

(41,594)

 4.71

 불당지구 지역성숙, 성성지구 준공(천안서북), 예천1지구 상권 성숙, 대산도시개발지구 완공(서산)
 전원주택 수요(청양)

 전북

(41,716)

 5.13

 마이산 관광개발사업 및 전원주택 수요(진안), 농어촌 임대주택 건립사업, 전원주택 수요(장수),
 고창엘파크시티 및 기반시설 확충(고창)

 전남

(63,918)

 5.42

 담양일반산업단지,첨단문화복합단지 개발사업(담양), 산업단지 등 완공과 기반시설 확충(정성),
 로하스타운, 바이오식품단지 조성(장흥)

 경북

(67,171)

 6.56

 경산지식산업지구 개발(경산), 풍각-화양, 원정-송림간 도로공사(청도)
 대구공항 예비 이전 후보지 선정, 팔공산 터널 개통(사천)

 경남

(59,535)

 7.01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유치 및 전원주택 수요(산청), 산삼 휴양밸리 조성 및 팬션 개발수요(함양),
 국가항공산단, 사천게이블카(사천)

 제주

(9,794)

 16.45

 제주신화공원 개장, 제2공항 기대감과 귀촌에 따른 주택수요 증가(서귀포),
 개발사업에 따른 투자자금 유입과 인구 증가(제주)


◎ (시,군,구별) 전국 평균(6.02%)보다 높게 상승한 지역은 124곳, 평균보다 낮게 상승한 지역은 126곳이며, 하락한 지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 상승지역은 제주 서귀포시(17.23%)이고, 이어서 제주시(15.79%), 부산 수영구(13.51%), 부산 해운대구(13.23%), 부산 연제구(13.2%) 순이며,


최소 상승 지역은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0.95%)이고, 경기 파주시(1.13%), 전북 군산시(1.19%),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1.2%), 경기 수원시 장안구(1.27%) 순으로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변동률 상,하위 5위 시군구 현황

 상위 5위

 하위 5위

 제주 서귀포시
(17.23%)

 제주신화역사공원 개방, 제2공항 기대감,
 귀촌에 따른 주택 수요 증가

 고양 일산동구
(0.95%)

 장항동 개발사업 진처도 미진 등

 제주 제주시

(15.79%)

 개발 사업에 다른 투자 자금 유입과 인구 증가

 경기 파주시
(1.13%)

 토지시장 침체에 따른 실수요 감소

 부산 수영구

(13.51%)

 남천동 재개발사업 진행

 전북 군산시
(1.19%)

 제조업계 불황으로 공식증가,
 인구 및 상권 이동에 따른 도심 공동화

 부산 해운대구

(13.23%)

 센텀2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 사업 등

 고양 일산서구
(1.2%)

 구도심 정비사업지연 및 인근 대체 도시의 성장

 부산 연제구

(13.2%)

 연산주택재개발사업 등의 진척

 경기 수원장안구
(1.27%)

 기존 시가지의 안정으로 개발 호제 거의 없음



 2. 가격수준별 현황


(가격수준별 분포) 1제곱미터(㎡) 당 1만원 미만은 108,922필지(21.8%), 1만원 이상 ~ 10만원 미만은 191,963필지(38.4%), 10만원 이상 ~ 100만원 미만은 123,703필지(24.7%), 100만원 이상 ~ 1,000만원 미만은 72,773필지(14.6%), 1,000만원 이상 은 2,639필지(0.5%)로 나타났다.


(가격 수준 표준지 수) 1만원 미만 표준지 수는 전년 보다 8,403필지(7.2%) 감소하였고, 1,000만원 이상의 표준지 수는 도심 상업용지 가격 상승 등에 따라 증가(11.5%)하였다.


(최고지가) 서울 중구 명동8길(충무로1가) 네이처 리퍼플릭(화장품 판매점)이 9,130만원/㎡으로 2004년 부터 15년째 최고지가이다.

 가격수준별 필지 수 분포 현황

 구  분(원/㎡)

 1만원 미만

 1만원 이상 - 10만원 미만

 10만원 이상 - 100만원 미만

 100만원 이상 - 1,000만원 미만

 1,000만원 이상

 2018년

 108,922

 191,963 

 123,703

 72,773

 2,639

 2017년

 117,325

187,150

 123,555

 69,603

 2,367

 증감률(%)

 -7.16

 2.57

 0.12

 4.55

 11.5


 3. 서울 주요 상권 가격 변동 현황


◎ 서울 시내 주요 상권 소재 표준지의 가격 변동률은 연남동 18.76%, 성수동카페거리 14.53%, 경리단길 14.09%, 가로수길 13.76% 등으로 서울 평균(6.89%)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주요 상권의 표준지공시지가 변동률 현황(%)

 구분

 변동률(%)

 상세지역

 구분

 변동률(%)

 상세지역

 연남동

 18.76%

 연남동 무지개 아파트에서 연남 치안센터에 이르는 경의선 숲길공원 조성 지역

 성수동
카페거리

 14.53%

 성수역을 중심으로 한 기존 준공업지역 거리

 경리단길

 14.09%

 이태원2동의 국군제정 관리단에서 그랜드 하얏트호텔에 으르는 길

 가로수기

 13.76%

 신사동 주민센터에서 도산대로에 이르는 680m의 은행나무 가로수 거리


 ※ 자료 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표준지공시지가 6.02% 상승... 전년 대비 상승률 증가 전문)

역세권토지투자 소액투자도 가능합니다.!! 

불안한 경제 상황과 낮은 금리, 그리고 위험한 자산투자 보다는
안정성 있는 #역세권토지투자 선택으로
성공적인 #부동산재테크를 하셔야 같습니다.
성공률 높은 #역세권부동산투자
#역세권지역투자는 소액투자 이용 안전하고 수익률을 높일 있습니다.
역세권토지재테크(소액투자가능) 발해크루 이팀장에게 문의해 주십시요
문의전화  : 010-9469-2799


사업자 정보 표시
금마루 | 손기원 | 서울시 강동구 성내동 77-40 금마루 | 사업자 등록번호 : 201-24-67406 | TEL : 02-472-5110 | Mail : dolis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