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1. 31. 03:17ㆍ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2017년 전국 땅값 3.88% 상승, 거래량은 10.7% 증가
2017년 땅값은 3분기 이후 상승 폭 둔화
거래량은 신규분양 실거래가 신고 의무화 등으로 증가, 분양권 제외 시 전년 대비 감소
1. 지가변동률
◎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작년 전국 땅값은 평균 3.88% 상승하여 전년 대비(2.70%) 1.18%p 증가 했다고 밝혔다.
○ 분기별로는 3분기 이후 지가 상승폭이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다.
<2009년 ~ 2017년 연간 지가변동률 및 지가지수>(단위 : 지가지수 : '16. 12. 1.=100) | |||||||||||||||||||||||||||||||||||||||||||||||||||||||||||||||
구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전국 (지가지수) | 0.96 (89.543) | 1.05 (90.481) | 1.17 (91.536) | 0.96 (92.411) | 1.14 (93.458) | 1.96 (95.295) | 2.40 (97.584) | 2.70 (100.218) | 3.88 (104.105) | ||||||||||||||||||||||||||||||||||||||||||||||||||||||
수도권 | 1.36 | 1.02 | 1.16 | 0.68 | 1.04 | 1.91 | 2.19 | 2.53 | 3.82 | ||||||||||||||||||||||||||||||||||||||||||||||||||||||
지방 | 0.25 | 1.11 | 1.17 | 1.47 | 1.30 | 2.06 | 2.77 | 2.99 | 3.97 | ||||||||||||||||||||||||||||||||||||||||||||||||||||||
소비자물가 | 2.8 | 2.9 | 4.0 | 2.2 | 1.3 | 1.3 | 0.7 | 1.0 | 1.9 | ||||||||||||||||||||||||||||||||||||||||||||||||||||||
※ 물가상승분을 감안한 실질적인 지가 변동사항 파악을 위해 비교지료로 활용 |
[지역별 지가변동률]
◎ (시도별, %) 17개 시.도의 땅값이 전반적으로 상승한 가운데 세종, 부산, 제주, 대구, 서울 순으로 높게 상승하였다.
○ (수도권, 3.82%) 서울(4.32)이 2013년 9월부터 52개월 연속 상승 중이며, 경기(3.45), 인천(3.10) 지경은 전국 평균(3.88)보다 낮았다.
○ (지방, 3.97%) 세종(7.02)이 최고 상승률을 보였으며 부산, 제주, 대구 등 6개 시도는 전국 평균(3.88%)보다 높았다.
※세종(7.02), 부산(6.51), 제주(5.46), 대구(4.58), 광주(4.17), 전남(3.90)
◎ (시군구별, %) 부산 해운대구(9.05)를 비롯해 부산 수영구(7.76), 경기 평택시(7.55), 세종시(7.01), 부산 기장군(7.00)이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울산 동구(-1.86), 경남 거제시(0.33), 전북 군산시(1.17), 경기 연천군(1.50), 경기 동두천시(1.66)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2017년 연간 지가 변도율 상위 5개 시군구 현황(%) | |||
순위 | 시군구 | 변동률 | 주요 읍면동 |
1 | 부산 해운대구 | 9.05 | 우동(10.84), 중동(10.59), 좌동(8.880) |
2 | 부산 수영구 | 7.76 | 민락동(8.24), 망미동(8.08), 남천동(7.86) |
3 | 경기 평택시 | 7.55 | 팽성읍(14.26), 고덕면(11.91). 지제.신대동(10.85) |
4 | 세종시 | 7.01 | 금남면(9.55), 연서면(9.18), 연기면(8.74) |
5 | 부산 기장군 | 7.00 | 일광면(7.91), 기장읍(7.520, 철마면(7.09) |
<2017년 연간 지가 변도율 하위5개 시군구 현황(%) | |||
순위 | 시군구 | 변동률 | 주요 읍면동 |
1 | 울산 동구 | -1.86 | 방어동(-3.42), 일산동(-2.31), 화정동(-2.09) |
2 | 경남 거제시 | 0.33 | 아양.아주동(-1.35), 고현동(-1.29), 능포,두모동(-1.08) |
3 | 전북 군산시 | 1.17 | 소룡.오식도.비응도동(-4.39), 신창.둔율.창성.개복동(0.95), 신영.중.금암동(1.04) |
4 | 경기 연천구 | 1.50 | 신서면(0.72), 중면(0.75), 장남면(1.05) |
5 | 경기 동두천시 | 1.66 | 걸산.보산동(0.58), 동두천.아흥.상봉암.하봉암동(0.93), 광암.탑동동(1.03) |
[용도지여별.이용상황별 지가변동률]
◎ (용도지역별, %) 주거지역(4.33), 계획관리지역(3.80), 상업지역(3.80), 녹지지역(3.29)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2017년 용도지역별 지가변동률(%)> | |||||||||
구 분 | 도시지역 | 비도시지역 | |||||||
주거 | 상업 | 공업 | 녹지 | 보전관리 | 생산관리 | 계획관리 | 농림 | 자연환경 | |
2016년 | 3.10 | 2.44 | 1.72 | 2.29 | 1.68 | 2.10 | 2.75 | 1.98 | 1.29 |
2017년 | 4.33 | 3.80 | 2.63 | 3.29 | 2.50 | 2.89 | 3.80 | 2.99 | 2.32 |
◎ (이용상황별, 5), 주거용(4.22), 상업용(3.88), 전(3.63), 답(3.49), 기타(2.60), 공장용지(2.60), 임야(2.59)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2017년 이용상황별 지가변동률(%)> | |||||||
구 분 | 주거용 | 상업용 | 공장용지 | 전 | 답 | 임야 | 기타 |
2016년 | 3.17 | 2.58 | 1.83 | 2.69 | 2.34 | 1.68 | 0.81 |
2017년 | 4.22 | 3.88 | 2.60 | 3.63 | 3.49 | 2.59 | 2.60 |
※ 기타: 여객자동차터미널, 골프장, 스키장, 염전, 광업용지 등 |
2. 토지거래량
◎ 작년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총 331만 5천 필지(2,206.1㎢, 서울 면적의 약 3.6배)로, 전년 대비 10.7% 증가 했다.
○ 분양권을 제외한 매매거래량은 전년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나, 2017년 1월 부터 주택 공급계약 및 오피스텔 등의 분양권 실거래가 신고가 의무화되면서, 분양권 거래는 전년 대비 증하였다.
※ 분양권 제외 매매거래 : 2,010,223(2016년) → 1,933,652(2017년) / 3.8% 감소
<연도별 전체 토지 및 순수토지 거래량 추이>(단위 : 필지 수 , 신고.검인물량 포함, 신고일 기준) | |||||||
구 분 | 2015년 | 2016년 | 이전 5년 (2012~2016) 연평균 거래량 | 2017년 | 증감률(%) | ||
2015년 대비 | 2016년 대비 | 이전 5년 연평균 대비 | |||||
전체토지 | 3,086,529 | 2,995,159 | 2,602,450 | 3,314,801 | 7.4 | 10.7 | 27.4 |
순수토지 | 1,124,686 | 1,111,974 | 1,008,184 | 1,160,707 | 3.2 | 4.4 | 15.1 |
※ 건추물 부속토지 포함 |
[지역별 토지거래량]
◎ (시도별, %) 토지 거래량(전년 대비)은 세종(44.9), 인천(24.1), 광주(20.9), 경기(19.1) 등은 증가하였고 제주(6.8)는 감소했다.
○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32.2), 인천(17.4), 전북(12.7), 순으로 증가하였고, 제주(17.8), 경남(4.4) 등은 감소 했다.
[용도지역.지목별 토지거래량]
◎ (용도지역별, %) 전년 대비 상업지역(39.7), 개발제한구역(9.9), 농림지역(9.3), 녹지지역(8.5) 순으로 증가했다.
※ 공업지역(7.20, 관리지역(4.2), 주거지역(2.3), 자연환경보전지역(△5.3)
○ (지목별, %) 저년 대비 기타(잡종지 등, 16.4), 임야(15.0), 공장용지(11.5), 대지(11.0), 답(7.0), 전(5.7) 순으로 높게 상승하였으며, (건물 유형별, %) 상업업무용(49.0), 공업용(32.9, 기타 건물(7.8), 주거용(6.6), 나지(2.3) 순으로 증가했다.
◎ 한편, 국토교통부에서는 "앞으로도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지가변동률은「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제19조, 시행령 제17조에 의해 지가 동향 및 거래 상황을 조사하여 토지정책 수행 등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 자료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작년 전국 땅값 3.88%상승, 거래량은 10.7% 증가) 전문 |
◆ 2017년 지역별 연간 지가변동률
1. 전국 지가변동률 색인도 |
2. 시도별 분기별 지가변동률 추이
3. 시군구별 상.하위 지역 현황(단위 : %)
상위 5개 지역(연간) | 하위 5개 지역(연간 | ||||||||
시군구 | 2014 | 2015 | 2016 | 2017 | 시군구 | 2014 | 2015 | 2016 | 2017 |
부산 해운대구 | 2.36 | 3.82 | 7.41 | 9.05 | 울산 동구 | 2.31 | 1.44 | -0.41 | -1.86 |
부산 수영 | 2.51 | 3.38 | 4.55 | 7.76 | 경남 거제 | 2.47 | 2.19 | -0.48 | 0.33 |
경기 평택 | 1.30 | 2.92 | 4.22 | 7.55 | 전북 군산 | 1.47 | 1.89 | 1.26 | 1.17 |
세종 | 4.53 | 4.57 | 4.78 | 7.02 | 경기 연천 | 0.27 | 0.73 | 1.11 | 1.50 |
부산 기장 | 2.86 | 2.99 | 3.84 | 7.00 | 경기 동두천 | 0.27 | 0.85 | 1.26 | 1.66 |
4.시도별 주요 변동 사유(2017년 연간 지가변동률)
구 분 | 주요 상승 지역 | ||
시군구 | 변동률 | 주요 변동사유 | |
서 울 | 강서구 | 5.48 | - 마곡지구 개발사업의 원활한 진행 및 김포공항 주변 고도제한 완화 기대감 |
마포구 | 5.32 | - 홍대상권 활성화 및 연트럴파크, 망리단길 등 신규 상권 성장 | |
부 산 | 해운대구 | 9.05 | - LCT사업 및 센텀2지구, 동해남부선 폐선부지 등 개발호재로 상승 |
수영구 | 7.76 | - 남천 및 광안구역 등 주택재개밸사업 진척과 해안가 상업용지 수요 | |
대 구 | 수성구 | 5.54 | - 범어 및 만촌동 일대 대개발 사업 등 기대감으로 인한 단독주택 수요 |
중구 | 4.62 | - 교통편의성이 양호한 지역 중심의 상업용 임대 및 원룸 수요 증가 | |
인 천 | 부평구 | 3.86 | - 부평역 상권 활성화 및 청천2구역 재개발 등 주거환경 개선 기대감 |
서구 | 3.34 | - 루원시티 조성, 제3연육교 착공예정 및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사업 | |
광 주 | 남구 | 5.23 | - 도시첨단국가산단 착공 및 도시첨단지방산단 GB 해제 등 |
광산구 | 4.70 | - 송정역세권개발 가시화 및 첨단 2,3지구 준공에 따른 배후수요 증가 | |
대 전 | 유성구 | 3.88 | - 장현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 계획 및 우정동 등 재개발사업 진행 |
서구 | 3.34 | - 도안신도시 1단계 및 관저지구 중심으로 근린생활시설 및 원룸 수요 증가 | |
울 산 | 중구 | 4.90 | - 장현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 및 우정동 등 재개발사업 진행 |
북구 | 4.27 | - 호계매곡, 송정택지개발지구 중심 유입인구 증가 및 송정역 개발사업 등 | |
세 종 | 세종시 | 7.02 | - 공공기관 추가 이전 기대감과 6생활권 개발 진척에 따른 인근 투자수요 |
경 기 | 평택시 | 7.55 | - 고덕국제신도시 브레인시티 등 개발 진척과 미굼기지 이전에 따른 투자수요 |
성남 수정구 | 4.67 | - 제2, 3판교테크노밸리 개발 기대감 및 위례신도시 성숙 | |
강 원 | 속초시 | 5.81 | - 동서고속철도사업 가시화 및 수도권 접근성 향상에 따른 투자 수요 |
양양군 | 5.71 | - 동서고속도로 개통(2017년 6월) 미 오색로프웨이 사업 재추진에 따른 기대감 | |
충 북 | 단양군 | 3.82 | - 수중보 완공에 따른 관광객 유입 기대감으로 강변 인근 상업용 수요 증가 |
음성군 | 3.78 | - 수도권 진출입 양호한 지역의 공업용 수요 증가 및 산업단지 개발 | |
충 남 | 천안 서북구 | 3.85 | - BIT일반산단 추진 본격화 및 성성지구 개발에 따른 상업용 수요 증가 |
아산시 | 3.66 | - 아산탕정지구 등 택지개발사업 진행 및 테크노밸리내 상업용 수요 증가 | |
전 북 | 완주군 | 4.86 | - 혁신도시의 지속적 인구유입 및 완주테크노밸리 제2산단 진행 |
전주 덕진구 | 4.37 | - 에코시티사업지 및 인근 투자수요 증가와 제1산단 재생사업 추진 등 | |
전 남 | 담양군 | 5.15 | - 담양-순창 고속도로 확장개통 및 지속적인 관광수요 증가 |
장성군 | 5.00 | - 기존산업단지 성숙 연구개발특구사업 추진 및 친환경 전원주택 수요 증가 | |
경 북 | 경산시 | 5.01 | - 중산지구 개발 등에 따른 거래 증가와 경산 대임 공공주택지구 조성 기대감 |
영덕군 | 4.60 | - 상주~영덕 고속도로, 동해중부선 건설 등 접근성 향상에 따른 투자수요 | |
경 남 | 양산시 | 4.10 | - 사송 공공주택지구 개발진착 및 도시철도 1호선(양산선) 개발 기대감 |
밀양시 | 4.05 | - 나노융합국가산단, 농어촌관광휴향단지 조성에 따른 토지수요 증가 | |
제 주 | 서귀포시 | 5.57 | - 제2공항 호재, 신화역사공원 및 영어교육도시 인근 투자수요 지속 |
제주시 | 5.41 | - 화북상업지구 및 제주 신항 등 개발 기대감과 지속적인 인구유입 증가 |
2017년 지역별 전년 대비 토지거래 증감률(색인도)
※ 자료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작년 전국 땅값 3.88%상승, 거래량은 10.7% 증가) 전문 |
역세권토지투자 소액투자도 가능합니다.!!
불안한 경제 상황과 낮은 금리, 그리고 위험한 자산투자 보다는
안정성 있는 #역세권토지투자 선택으로
성공적인 #부동산재테크를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성공률 높은 #역세권부동산투자
#역세권지역투자는 소액투자 를 이용 안전하고 수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역세권토지재테크(소액투자가능)은 발해크루 이팀장에게 문의해 주십시요
문의전화 : 010-9469-2799
'부동산 지식 창고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뉴스]2018년 표준지공시지가 6.02%상승...전년 대비 상승률 증가(국토교통부 보도자료) (0) | 2018.03.14 |
---|---|
[부동산뉴스]국토부, 분권형 자립적 균형발전 본격 추진[국토교통부 보도자료] (0) | 2018.03.10 |
[부동산뉴스]부동산투자자 주택 떠나 토지 투자로 올아서 (0) | 2018.02.03 |
[부동산뉴스]국토교통부 강원, 경남, 전북, 전남, 충남 5개 도, 지역개발 청사진 완성 (0) | 2018.01.22 |
[부동산뉴스]2017년 3분기 부동산시장 땅값이 집값보다 2배 이상 상승 자산 투자'부동산 토지 거래'에 관심 증가 (0) | 2018.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