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뉴스]2017년 3분기 부동산시장 땅값이 집값보다 2배 이상 상승 자산 투자'부동산 토지 거래'에 관심 증가

2018. 1. 10. 00:51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8.2 부동산 대책 영향 2017년 3분기 땅값 2.92% 상승, 거래량 14.5% 증가

2017년 3분기 전국 1.06%상승 2분기 1.10%보다는 소폭 낮지만 연속 1%대 상승세로 이어져 토지 거래량은 14.5%증가

부동산 토지와 역세권토지의 거래 활성화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2017년 전국 땅값 상승률은 집값 상승률의 2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7년 3분기 전국지가는 2.92% 상승하였으며, 분기별 지가변동률(1.06%) 2분기(1.10%)대비 소폭 감소, 3분기 누계 지가변동률은 전년 동기 대비 0.95% 높은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변동폭보다는 낮음 수준의 변동이 있었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7년 3분기 전국 지가 상승률은 1.06%로 전년 동기 0.72%에 비해서는 높았지만 전분기(1.1%)대비로는 소폭 줄었고, 2017년 3분기까지 누적 지가 상승률은 2.92%로 전년 대비 0.95% 높았졌다.
한편, 주택 가격 상승은국감정원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2017년 6월 말 부터 9월 말까지의 주택 가격 상승률은 0.55%에 그쳤다. 서울의 집값 상승률은 0.94%였다.



 < 연도별 3분기 누계 및 분기별 지가변동률 추이(%)>


< 2009년 ~ 2017년 3분기 지가 변동률 및 지가지수> (단위 : 누계, % / 지가지수 : '16.12. 1=100)   

 구분(해당 년 3분기 기준)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지가

변동률

 전국
(지가지수)

 0.01
(88.708)

0.94
(90.381) 

0.88
(91.273) 

0.75
(92.219) 

0.67
(93.031) 

1,43
(94.794) 

1.67
(96.888) 

1.97
(99.507) 

2.92
(103.148) 

 수도권

 0.24

 0.96

 0.92

 0.54

 0.58

 1.41

 1.57

 1.84

 2.91

 지방

 -0.39

 0.88

 0.79

 1.13

 0.84

 1.46

 1.85

 2.21

 2.95

 소비자물가(전년대비)

 2.87

 2.84

 4.05

 2.35

 1.38

 1.37

 0.64

 0.81

 2.10

 ※ 물가 상승분을 감안한 실직적인 지가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비교 지표로 활용



1.지역별 지가변동률

◎ (시도별 전국 17개 시.도의 땅값이 모두 상승한 가운데, 지방(2.95%)이 수도권(2.91%)보다 상승률이 소폭 높았습니다.
  ○ (수도권) 서울(3.32%)은 2013년 9월 부터 49개월 연속 소폭 상승 중이며, 경기(2.57%), 인천(2.36%) 지역은 전국 평균을 하회했다.
 ○ (지방) 세종은 5.24%, 상승하여 전국 최고 상승률을 보였으며, 부산, 제주, 대구 등 6개 도시가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 (시군구별) 부산 해운대구(63.86%)는 엘시티(LCT)사업 및 센텀2지구, 동해남부선 폐선부지 등 개발 호재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 울산 동구(-1.38%)와 경남 거제시(-0.04%)는 조선경기 침체에 따른 부동산 수요 감소로 지가가 하락 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3분기 지가변동률 상위 5개 지역(누계, %)

 순위

 지역

 변동률(%)

주요사업(추정) 

주요 읍면동(%) 

 1

 부산 해운대구

 6.86

 엘시티(LCT)사업, 센텀2지구, 동해 남부선 폐선 부지등 개발

 우동(8.14), 중동(8.14), 좌동(6.56)

 2

 경기 평택시

 5.81

 고덕 국제신도시, 미군기지이전, 등 개발 호재

 팽성읍(10.76), 고덕면(10.73), 지제동.신대동(7.23)

 3

 부산 수영구

 5.69

 남천 등 주택재개발사업 진척과 상업용지 수요

 남천동(5.86), 민락동(5.82), 광안동(5.65)

 4

 세종

 5.24

 공공기관 추가 이전과 6생활권 개발 진척 등 연서면(6.86), 장군면(6.49), 연기면(6.46)

 5

 부산 남구

 5.24

 뉴스테이사업 진척과 혁신도시등 상업용지 수요 우암동(6.39), 감만동(6.04), 문현동(5.53)


 2017년 3분기 지가변동률 하위 5개 지역(누계, %)

 순위

지역 

변동률(%) 

 주요사업(추정)

주요 읍면동(%) 

 1

 울산 둥구

 -1.38

 조선경기 침체로 인한 투자심리 위축 

 방어동(-2.74), 일산동(-1.94), 화정동(-1.59)

 2

 경남 거제시

 -0.04

 조선소 인군지역 중심 부동산 수요 감소

 아양동.아주동(-1.62), 고현동(-1.28), 옥포동.덕포동(-1.21)

 3

 전북 군산시

 0.88

 군산조선소 폐쇄에 따른 공장용지 수요 감소

 소룡동.오식도동.비응도동(-3.78), 신영동.중동.금암동((0.63)
신창동.둔율동.창성동.개복동((0.07)

 4

 경기 연천군

 1.12

 민통선지역의 거래 부진과 개발사업 부재

 신서면(0.50), 중면(0.30), 왕징면(0.77)

 5

 경기 동두천시

 1.26

 대규모 개발사업 부재와 산간지역 거래 부진

 걸산동.보산동(0.30), 동두천동.안흥동.상봉암동.하봉암동(0.52),
상패동(0.77)


 

2.용도지역.이용상황별 지가 변동률

◎ (용조지역별) 주거지역(3.29%), 상업지역(2.87%), 계획관리지역(2.83%), 녹지지역(2.40%),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2017년 3분기 용도지역별 지가변동률(누계, %)

 구분

 도시지역

비도시지역 

 주거

 상업

 공업

 녹지

보전관리 

생산관리 

계획관리 

농림 

자연환경 

2016년 3분기 

2.24 

1.83 

1.25 

1.72 

1.23 

1.54 

2.01 

1.44 

0.89 

2017년 3분기

3.29

2.87 

1.98 

2.40 

1.83 

2.11 

2.83 

2.24 

1.74 


 ◎ (이용상황별) 주거용(3.18%), 상업용(2.93%), 전(2.68%), 답(2.59%), 공장용지(2.00%), 임야(1.90%)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2017년 3분기 이용사황별 지가변동률(누계,%)

 구분

 전 

 답 

 주거용

 상업용

 임야

 공장용지

 기타

 2016년 3분기

 2.05

1.69 

2.26 

1.91 

1.28 

1.33 

0.63 

 2017년 3분기

 2.68

2.59

3.18

2.93

1.90

2.00

1.76 

 ※ 기타 : 유원지, 여객자동차터미널, 골프장, 스키장, 염전, 광업용지등


3. 토지거래량 

◎ 2017년 3분기(9월 누계) 전체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및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248만 6천 필지(1,663.9㎢, 서울 면적의 2.7배)로 2016년 3분기 대비 14.5% 증가했다.

  ○ 건축물 부속 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겨래량은 총 87만 4천 필지(1,536.2㎢)로 전년 동기 대비 6.3% 증기 되었다.

 연도별 3분기(누계) 전체 토지 및 순수토지 거래량 추이(단위:필지 수, 신고.검인물량, 신고일 기준)

 구분

2년전 동기
(2015년 3분기) 

 전년 동기
(2016년 3분기)

 이전 5년(12년~16년)
3분기 평균거래량

2017년 3분기 

증감률(2017년 3분기) 

 2년전 대비

전년 동기 대비

이전 5년 3분기 평균대비 

 전체토지

2,290,381 

2,171,131 

1,884,380 

2,486,438 

8.6 

14.5 

31.9 

 순수토지

 820,769

821,729 

745,324 

873,877 

6.5 

6.3 

17.2 



◎ 지역별 2017년 3분기 전체 토지 거래량(전년 동기 대비)은 세종(71.8%), 인천(26.1%)등은 증가한 반면 제주(6.0%), 울산(2.8%) 감소했다.

  ○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26.0%), 인천(23.5%), 전북(14.4%) 순으로 증가한 반면 제주(19.7%), 경북(2.6%)등은 감소했다.

◎ 용도지역별로는 전년 동기 대비(전체 토지 기준) 상업지역(43.8%), 개발제한구역(14.1%), 공업지역(11.0%), 녹지지역(10.3%) 증가했다.


◎ 지목별 전체 토지 거래량은 기타(19.2%), 임야(18.4%), 공장용지(17.6%), 대지(15.4%), 답(9.9%), 전(7.7%) 순으로 상승

  ○ 이중 건물 유형별(대지와 공장용지 집계)로는 상업업무용(51.4%), 공업용(38.9%), 기타 건물(13.5%), 주거용(12.1%), 나지(2.9%) 순을 증가했다.


4. 평가

◎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2017년 3분기까지 지가는 저금리 기조에 따른 주거용.상업용부동산 투자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상승하였으나, 8.2대책과 계적적  영향등으로 8월 이후 상승세는 다소 둔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전국 및 서울, 세종 지역 월별 지가변동률 추이(단위:%)

 구분

 2017년 6월

 2017년 7월 

 2017년 8월 

2017년 9월 

 전국

 전체

 0.39

 0.39

0.35 

0.32 

 주거용

 0.45

 0.45

 0.36

 0.32

 서울

 전체

 0.49

 0.48

 0.40

 0.32

 주거용

 0.58

 0.56

 0.38

 0.31

 세종

 전체

 0.61

 0.82

 0.67

 0.67

 주거용

 0.57

 0.79

 0.71

 0.64



※ 시도별 주요 상승지역 및 사유(2017년 3분기 누계 지가변동률(단위:%))

 구

주요 상승 지역

 시군구

사유 

 서울

 강서구(4.32)

 - 마곡지구 개발사업 지척과 방화재정비지구 개발 기대감 등

 용산구(4.25)

 - 미군기지 이전 및 민족공원조성사업과 주택재개발사업 진척 등

 부산

 해운대구(6.86)

 - LCT사업 및 센텀2지구, 동해남부선 폐선부지 등 개발 호재로 상승

 수영구(5.69)

 - 남천 및 광안구역 등 주택재개발사업 진척과 해안가 상업용지 수요

 대구

 수성구(3.93)

 - 범어, 만촌동 등 주택재개발사업지구 내 단독주택 거래 및 수요 증가

 중구(3.36)

 - 재건축사업 진척에 다른 단독주택 수요 증가와 동성로  상권 활성화

 인천

 부평구(3.14)

 - 십정2지구 주거환경개선사업 진척과 부평역 일대 상업용지 가격 상승 등

 남동구(2.80)

 - 구월도 일대 상업용부동산 수요 증가와 원룸주택 등 신축 수요

 광주

 남구(4.49)

 - 도시첨단산단 진척과 에너지밸리사업 및 한전공대 설립 기대감 등

 광산구(3.73)

 - 평동3차산단, 하남3도시개발지구 및 복합환승센터 개발 진척 등

 대전

 유성구(2.79)

 - 과학벨트 및 유성복합터미널, 갑천친수구역 등 개발 호재 영향

 대덕구(2.34)

 - 충청권 광역철도망 추진 기대감과 단독주택의 수익형 부동산 전환 수요

 울산

 중구(3.21)

 - 다운2공공주택개발사업 진척과 혁신도시 인근 주택재개발사업 기대감 등

 울주군(3.13)

 - 울주군청 이전, 다운2공공주택개발사업 및 KTX역세권 등 개발 진척 영향

 세종

 세종시(5.24)

 - 공공기관 추가 이전 기대감과 6생활권 개발 진척에 따른 인근 투자 수요

 경기

 평택시(5.81)

 - 고덕국제신도시, 브레인시티 등 개발 진척과 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투자 수요

 의왕시(3.29)

 - 백운지식문화밸리 및 초평등 뉴스테이사업 등 주택재건축사업 진척 영향

 강원

 양양군(4.39)

 - 동서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해안가 등 외지인 투자수요 증가

 속초시(4.15)

 - 동서고속철도(예정) 등 수도권 접금성 향상 기대감과 아파트 분양시장 호조

 충북

 단양군(3.06)

 - 남한강 등 관광지 인근 전원주택 및 상업용 부동산 수요 지속되며 상승

 진천군(2.63)

 - 혁신도시 성숙에 따른 인구유입 및 송두산단(CJ제일제당 유치) 개발 등

 충남

 아산시(2.68)

 - 테크노밸리 배후지역 주거용부동산 수요 증가 및 서해복선전철사업 기대감

 천안시 서북구(2.57)

 - 아산탕정.상성지구 개발에 따른 유입인구 및 거래 증가 영향

 전북

 완주군(3.65)

 - 전주와 접근이 용이한 지역의 전원주택 등 수요 테크노밸리 개발 진척 등

 전주시 덕진구(2.57)

 - 에코시티, 만성지구 및 인근지역 투자수요 증가와 제1신단재생사업 추진 등

 전남

 나주시(4.46)

 - 혁신도시 인근 농지 투자수요 증가와 한전공대 설립 기대감 등

 단양군(3.99)

 - 첨단문화복합단지 개발 진척과 광주 인근 전원주택 수요 등

 경북

 영덕군(3.88)

 - 상주~영덕 고속도로, 동해중부선 건설 등 접근성 향상에 따른 투자수요

 경산시(3.62)

 - 중산지구 개발에 따른 거래 증가와 하양택지개발사업 등 개발 진척의 영향

 경남

 사천시(3.15)

 - 항공국가산단 및 배후단지 조성상업에 따른 외지인 투자수요 등

 진주시(3.05)

 - 혁신도시 인근 주택 개발수요와 항공.뿌리산단 조성 기대감의 영향

 제주

 서귀포시(4.18)

 - 제2공항 호재, 신화역사공원 및 영어 교육도시 인근 투자 지속

 제주시(4.00)

 - 화북상업지구 및 제주 신항 등 개발 기대감과 단지형 주택 신축 토지 수요


 ※ 자료 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성공적인
#부동산재태크"

정확한 지역정보, 정확한 시장 분석, #부동산투자 노하우, 지역발전의 가능성등

부동산 투자에서는 투자금액이 드는 만큼 놓여서는 안되는 정보들이 너무도 많습니다.

성공률 높은 부동산 투자 지역 인구가 몰려드는 #역세권토지투자 성공율 높은 부동산 재태크를 보시기 바랍니다.

#역세권투자재테크 지역 발전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서 필요로한 지역 발전 계획입니다.

부동산투자의 성공신화 #역세권투자정보를 통해 성공적인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역세권토지정보 언제든 문의, 세미나, 컨설팅을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역세권 투자 재테크 전문 발해크루

역세권토지투자 소액투자도 가능합니다.!! 

불안한 경제 상황과 낮은 금리, 그리고 위험한 자산투자 보다는

안정성 있는 #역세권토지투자 선택으로

성공적인 #부동산재테크를 하셔야 같습니다.

성공률 높은 #역세권부동산투자

#역세권지역투자는 소액투자 이용 안전하고 수익률을 높일 있습니다. 

역세권토지재테크(소액투자가능) 발해크루 이팀장에게 문의해 주십시요 

문의전화  : 010-9469-2799


사업자 정보 표시
금마루 | 손기원 | 서울시 강동구 성내동 77-40 금마루 | 사업자 등록번호 : 201-24-67406 | TEL : 02-472-5110 | Mail : dolis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