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감정원,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 2018년 9월 기준 전월세전환율

2018. 11. 4. 21:29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정무E&A 부동산 투자 전문가 이천수 팀장 부동산 정보]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 2018년 9월 기준 전월세전환율

- 주택종합 6.2%, 아파트 4.7% < 연립다세대 5.9% < 단독주택 7.7% 순 -

- 수도권 5.8%, 지방 7.3%, 서울이 가장 낮은 5.4%, 경북이 가장 높은 9.0% -

[한국감정원 보도자료 2018. 11. 02.(금)]




□ 한국감정원이 2018년 9월 신고 기준 실거래정보를 활용하여 전월세전환율*을 산정한 결과 6.2%로 ‘18.8월 대비 0.1%p 하락한 가운데, 유형별로는 아파트 4.7%, 연립다세대주택 5.9%, 단독주택 7.7% 순으로 나타났고, 지역별로는 수도권 5.8%, 지방 7.3%로 나타났다.

   * 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되는 비율로서, 이 비율이 높으면 전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월세 부담이 높다는 의미이며 낮으면 반대임 [전월세전환율={연간 임대료/(전세금-월세보증금)}×100]



ㅇ 정기예금금리*(1.89%→1.94%)는 ‘18.8월 대비 상승, 주택담보대출금리** (3.36%→3.29%)는 하락한 가운데 주택종합 기준 전월세전환율은 6.2%로 ’18.8월 대비 하락했고, 지역별로는 수도권(5.8%→5.8%)은 ‘18.8월과 동일, 지방(7.4%→7.3%)은 0.1%p 하락했다.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예금은행 가중평균금리 정기예금(1년미만, 신규취급액 기준)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예금은행 가중평균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


 ㅇ ‘18.9월 전월세전환율(주택종합 : 6.2%)은 전월세 물량 증가 등에 따라 전월세가격 동반 하락세 지속되는 가운데 지역별․유형별로 거래 특성에 따라 등락의 차이를 보이나 지방의 하락세로 주택종합기준 0.1%p 하락하며 ’11.1월 통계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 전월세 전환율 상승(하락 또는 보합)이 절대적인 월세부담 증가(감소 또는 보합)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유의사항 참고


< 주택 유형별 전월세 전환율과 금리 추이 (단위 ; %) >

자료 : 정기예금금리 및 주택담보대출 금리(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 참고 : 전월세환율 산정방법 및 이용 유의사항 >

 ㅇ 해당 전월세전환율은 안정적 산출을 위해 6개월 누적거래 이용하여 산정하였음


 ㅇ 전월세전환율은 중위값으로 작성되어 하위지역에서는 전월대비 증감이 발생하여도 상위지역에서는 중위값 변동이
     없을 수 있음

     ※ (예시) 전국 보합, 수도권, 지방 0.1%p 하락


 ㅇ 전월세전환율은 전세가격 대비 상대적인 개념으로 전환율 상승이 “절대적인” 월세부담 증가가 아님

    ※ (예시) 4월 전세 1억원, 전환율 5% ⇒ 월세부담=1억원×5%÷12월=416천원
                   5월 전세 9천만원, 전환율 5.1% ⇒ 월세부담=9천만원×5.1%÷12월=383천원

   ⇒ 전환율이 상승하여도 전세가격에 따라 “절대적인” 월세부담이 감소 할 수 있음



< 주택종합 전월세 전환율 >

□ (주택종합 시도별) 서울이 5.4%로 가장 낮고, 경북이 9.0%로 가장 높으며, 세종(5.7%→5.8%), 제주(5.5%→5.6%) 등은 '18.8월 대비 상승했고, 경남(7.2%→7.0%), 경북(9.2%→9.0%) 등은 하락했다.


< 주택종합 시도별 전월세 전환율(단위:%) >


□ (주택유형별) 아파트(4.7%→4.7%), 연립다세대(6.0%→5.9%), 단독주택(7.7%→7.7%) 순으로 나타나 아파트 및 단독주택은 ‘18.8월과 동일한 전환율을 기록했고, 연립다세대주택은 0.1%p 하락했다

 ㅇ 수도권은 아파트 4.4%, 연립다세대 5.5%, 단독주택 7.0%로 나타났고, 지방은 아파트 5.3%, 연립다세대 8.5%, 단독주택 9.4%로 나타났다.


< 주택종합 유형별 전월세 전환율(단위:%) >



< 지역별·주택유형별 세부동향 >

1. 아파트

 ㅇ (아파트 시도별) 서울이 4.0%로 가장 낮고, 전남이 7.4%로 가장 높으며, 대구(4.4%→4.5%), 세종(5.0%→5.1%) 등은 '18.8월 대비 상승 했고, 경북(6.0%→5.8%), 대전(5.2%→5.0%) 등은 하락했다.


< 시도별 아파트 전월세 전환율(단위:%) >



 ㅇ (아파트 시군구별) 분석대상 250개 시군구(비자치구 포함) 가운데, 비교적 안정적인 통계수치로 공개*가 가능한 132개 주요지역을 보면 경기 포천이 가장 높은 7.6%로 서울 송파 3.6% 보다 4.0%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전체 시군구 중 거래량과 아파트 재고량이 적은 지역의 경우 전환율 시계열이 불안정하여 공표대상에서 제외하였음


< 아파트 전월세 전환율 상하위 주요지역(단위:%) >

공개대상(132) 중 낮은 주요지역

공개대상(132) 중 높은 주요지역

시군구

‘11.6

‘18.9

시군구

‘11.6

‘18.9

서울 송파

6.7

3.6

경기 포천

12.0

7.6

경기 과천

7.5

3.7

전남 광양

12.0

7.5

서울 동작

7.1

3.7

전남 목포

12.2

7.2

서울 광진

7.1

3.7

충남 공주

11.9

7.1

서울 양천

7.3

3.8

강원 원주

11.9

6.7 


ㅇ (아파트 서울시 구별) 서울은 4.0%로 '18.8월 대비 0.1%p 하락한 가운데, 권역별로는 강북권역(4.2%→4.2%) 및 강남권역(4.0%→4.0%) 모두 ‘18.8월과 동일한 전환율을 기록했다.


  - 구별로는 송파가 3.6%로 가장 낮고, 종로가 4.6%로 가장 높으며,
      강동(4.1%→4.2%), 성동(4.0%→4.1%) 등은 '18.8월 대비 상승했고,
      중랑(4.5%→4.3%), 동작(3.9%→3.7%) 등은 하락하였다.


< 서울시 구별 아파트 전월세 전환율(단위:%) >



 ㅇ (아파트 규모별) 소형은 5.2%, 중소형은 4.4%로 소형의 전월세 전환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지방의 소형아파트는 6.0%로 지역별․규모별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규모(전용면적 기준)별 아파트 전월세 전환율(단위:%) >

구분

소형, 60이하

중소형, 60㎡~85

중대형, 85초과

전국

5.2

4.4

4.3

수도권

4.7

4.2

4.3

지방

6.0

4.6

4.4

서울

4.3

3.8

4.0 


 ㅇ (아파트 월세 유형별*) 월세 유형별 전환율은 월세 6.3%, 준월세 4.8%, 준전세 4.2%로 나타난 가운데 수도권은 준전세(3.8%)가 지방은 준월세(5.1%)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월세’ : 보증금이 1년치(12배) 월세 이하의 월세, ‘준월세’ : 월세와 준전세 중간영역 월세,‘준전세’ : 보증금이 월세의 240배를 초과하는 월세


< 보증금/전세금 비율 구간별 아파트 전월세 전환율(단위:%) >

구분

월세

준월세

준전세

전국

6.3

4.8

4.2

수도권

5.6

4.6

3.8

지방

6.8

5.1

6.4

서울

4.9

4.2

3.8 



2. 연립다세대, 단독주택

* 비아파트는 재고량 및 거래량이 적은 지역의 경우 전월세전환율 시계열이 불안정할 수 있음


 ㅇ (시도별) 서울이 4.6%로 가장 낮고, 세종이 12.5%로 가장 높으며, 세종(10.5%→12.5%), 전북(8.5%→8.7%) 등은 '18.8월 대비 상승했고, 경북(9.3%→7.9%), 경남(6.8%→6.3%) 등은 하락했다.


  - 단독주택은 서울이 6.4%로 가장 낮고, 경북이 11.3%로 가장 높으며, 인천(9.3%→9.5%), 전북(10.0%→10.2%) 등은 '18.8월 대비 상승했고, 전남(9.5%→9.3%), 충남(10.3%→10.2%) 등은 하락했다.


< 시도별 연립다세대 및 단독주택 전월세 전환율(단위:%) >



ㅇ (서울 생활권별) 연립다세대는 강북권(5.0%→5.0%) 및 강남권(4.5%→4.5%) 모두 '18.8월과 동일했으며, 단독주택은 강북권(6.5%→6.4%)은 0.1%p 하락, 강남권(6.3%→6.3%)은 전월과 동일한 전환율을 기록했다.


< 서울시 권역별 연립다세대 및 단독주택 전월세 전환율(단위:%) >


ㅇ (규모별) 전용면적 30㎡ 이하 소규모 주택의 전월세전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가운데 전환율이 가장 낮은 60㎡초과와의 격차는 연립다세대 1.4%p, 단독주택 3.7%p로 나타났다.


< 규모(정용면적 기준)별 전월세 전환율(단위:%) >

주택유형

구분

30이하

30㎡~60

60초과

연립다세대

전국

6.5

5.9

5.1

수도권

5.4

5.8

4.9

지방

9.8

6.9

5.7

서울

4.7

4.7

4.3

단독주택

전국

9.2

7.4

5.5

수도권

8.5

6.6

5.0

지방

10.9

9.4

6.5

서울

7.6

6.0

4.5 


ㅇ 전월세전환율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쉬운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감정원” 검색 후 설치


붙임 : 1. 전월세전환율 통계표

 1) 주택종합

 2) 지역별․유형별

 3) 아파트

 4) 연립/다세대주택

 5) 단독주택

2. 전월세전환율 관련 Q&A

3. 월별(지역별․주택유형별) 전월세전환율 (별도 파일)



붙임1

 전월세 전환율 통계표


1) 지역별 유형별 전월세전환율

※ 거래량이 적은 시기 및 세종, 제주 등의 지역은 변동폭이 크게 나타날 수 있음

※ 상세한 월별 전월세전환율은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one.co.kr) 참조


유형

지역

주택종합

아파트

연립다세대주택

단독주택

‘18.8

‘18.9

증감

‘18.8

‘18.9

증감

‘18.8

‘18.9

증감

‘18.8

‘18.9

증감

전국

6.3

6.2

-0.1

4.7

4.7

0.0

6.0

5.9

-0.1

7.7

7.7

0.0

수도권

5.8

5.8

0.0

4.5

4.4

-0.1

5.6

5.5

-0.1

7.0

7.0

0.0

지방

7.4

7.3

-0.1

5.3

5.3

0.0

8.6

8.5

-0.1

9.4

9.4

0.0

5대광역시

7.1

7.0

-0.1

4.8

4.8

0.0

8.9

8.8

-0.1

8.7

8.7

0.0

8개도

7.8

7.7

-0.1

6.0

5.9

-0.1

7.5

7.3

-0.2

9.9

9.8

-0.1

서울

5.4

5.4

0.0

4.1

4.0

-0.1

4.7

4.6

-0.1

6.4

6.4

0.0

강북권역

5.6

5.6

0.0

4.2

4.2

0.0

5.0

5.0

0.0

6.5

6.4

-0.1

강남권역

5.2

5.2

0.0

4.0

4.0

0.0

4.5

4.5

0.0

6.3

6.3

0.0

도심권

5.8

5.7

-0.1

4.2

4.2

0.0

5.3

5.3

0.0

6.9

6.7

-0.2

동북권

5.5

5.5

0.0

4.3

4.3

0.0

4.8

4.8

0.0

6.3

6.3

0.0

서북권

5.7

5.6

-0.1

4.0

3.9

-0.1

5.1

5.1

0.0

6.7

6.6

-0.1

서남권

5.6

5.6

0.0

4.0

4.0

0.0

4.8

4.8

0.0

6.5

6.5

0.0

동남권

4.7

4.6

-0.1

3.9

3.9

0.0

4.4

4.4

0.0

5.8

5.7

-0.1

부산

6.9

6.8

-0.1

4.7

4.7

0.0

9.1

9.0

-0.1

8.1

8.0

-0.1

대구

7.3

7.3

0.0

4.4

4.5

0.1

7.2

7.3

0.1

9.3

9.3

0.0

인천

6.7

6.7

0.0

4.9

4.9

0.0

8.1

8.0

-0.1

9.3

9.5

0.2

광주

7.0

7.0

0.0

5.3

5.3

0.0

6.9

6.9

0.0

9.8

9.8

0.0

대전

7.2

7.2

0.0

5.2

5.0

-0.2

8.5

8.6

0.1

8.4

8.4

0.0

울산

7.3

7.2

-0.1

4.8

4.8

0.0

7.5

7.6

0.1

8.9

8.9

0.0

세종

5.7

5.8

0.1

5.0

5.1

0.1

10.5

12.5

2.0

10.1

10.1

0.0

경기

6.4

6.4

0.0

4.7

4.7

0.0

7.1

7.1

0.0

8.0

7.9

-0.1

강원

7.2

7.1

-0.1

6.4

6.4

0.0

7.0

6.8

-0.2

8.5

8.4

-0.1

충북

8.6

8.6

0.0

6.0

6.0

0.0

9.1

9.0

-0.1

11.3

11.3

0.0

충남

7.9

7.8

-0.1

6.0

6.0

0.0

9.7

9.4

-0.3

10.3

10.2

-0.1

전북

8.1

8.1

0.0

6.5

6.5

0.0

8.5

8.7

0.2

10.0

10.2

0.2

전남

7.8

7.7

-0.1

7.5

7.4

-0.1

6.7

6.5

-0.2

9.5

9.3

-0.2

경북

9.2

9.0

-0.2

6.0

5.8

-0.2

9.3

7.9

-1.4

11.3

11.3

0.0

경남

7.2

7.0

-0.2

5.0

5.0

0.0

6.8

6.3

-0.5

8.9

8.8

-0.1

제주

5.5

5.6

0.1

4.7

4.7

0.0

5.1

5.2

0.1

6.4

6.5

0.1



2) 주택종합

※ 거래량이 적은 시기 및 세종, 제주 등의 지역은 변동폭이 크게 나타날 수 있음

    월별 전월세전환율은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one.co.kr) 참조

연도

지역

‘17.7

8

9

10

11

12

‘18.1

2

3

4

5

6

7

8

9

전국

6.4

6.4

6.4

6.3

6.3

6.3

6.3

6.3

6.3

6.3

6.4

6.3

6.3

6.3

6.2

수도권

5.9

5.9

5.9

5.9

5.8

5.8

5.8

5.8

5.8

5.8

5.8

5.8

5.8

5.8

5.8

지방

7.7

7.6

7.6

7.5

7.5

7.4

7.4

7.5

7.5

7.6

7.6

7.5

7.5

7.4

7.3

5대광역시

7.3

7.2

7.1

7.1

7.1

7.1

7.0

7.1

7.2

7.2

7.2

7.2

7.2

7.1

7.0

8개도

8.1

8.1

8.0

8.0

8.0

7.9

8.0

7.9

8.0

8.0

8.0

7.9

7.9

7.8

7.7

서울

5.5

5.5

5.4

5.4

5.3

5.3

5.3

5.3

5.4

5.4

5.4

5.4

5.4

5.4

5.4

강북권역

5.9

5.8

5.7

5.6

5.6

5.5

5.6

5.6

5.7

5.7

5.7

5.7

5.7

5.6

5.6

강남권역

5.3

5.3

5.2

5.2

5.2

5.1

5.1

5.1

5.1

5.2

5.2

5.2

5.2

5.2

5.2

도심권

6.0

5.8

5.8

5.8

5.8

5.7

5.7

5.9

5.9

5.9

6.0

6.0

6.1

5.8

5.7

동북권

5.9

5.8

5.7

5.6

5.6

5.5

5.6

5.6

5.6

5.6

5.7

5.7

5.6

5.5

5.5

서북권

5.8

5.7

5.6

5.5

5.5

5.5

5.6

5.6

5.7

5.6

5.7

5.8

5.7

5.7

5.6

서남권

5.9

5.9

5.8

5.7

5.7

5.7

5.6

5.6

5.7

5.6

5.7

5.7

5.7

5.6

5.6

동남권

4.6

4.7

4.6

4.6

4.6

4.5

4.5

4.5

4.5

4.6

4.6

4.6

4.7

4.7

4.6

부산

7.3

7.1

6.9

6.8

6.8

6.8

6.8

6.9

7.1

7.2

7.2

7.2

7.1

6.9

6.8

대구

7.5

7.5

7.4

7.3

7.3

7.2

7.2

7.3

7.4

7.4

7.4

7.5

7.4

7.3

7.3

인천

6.9

6.9

6.9

6.9

6.9

6.9

6.8

6.7

6.7

6.7

6.7

6.7

6.7

6.7

6.7

광주

7.2

7.3

7.3

7.2

7.2

7.2

6.9

6.9

7.0

6.9

7.0

7.0

7.0

7.0

7.0

대전

7.4

7.3

7.3

7.2

7.2

7.2

7.1

7.1

7.2

7.2

7.1

7.2

7.3

7.2

7.2

울산

7.2

7.2

7.3

7.5

7.5

7.4

7.3

7.3

7.2

7.3

7.2

7.1

7.3

7.3

7.2

세종

5.3

5.5

5.5

5.4

5.3

5.3

5.3

5.2

5.2

5.3

5.4

5.4

5.5

5.7

5.8

경기

6.5

6.5

6.4

6.4

6.4

6.4

6.4

6.3

6.3

6.4

6.4

6.4

6.4

6.4

6.4

강원

7.8

7.6

7.6

7.6

7.5

7.3

7.5

7.5

7.5

7.4

7.4

7.3

7.3

7.2

7.1

충북

8.8

8.9

8.9

8.8

8.9

8.8

8.9

8.8

9.0

9.0

8.9

8.9

8.8

8.6

8.6

충남

8.0

7.9

7.9

7.9

7.9

7.8

7.9

7.9

8.0

8.0

8.0

8.0

7.9

7.9

7.8

전북

8.5

8.6

8.6

8.4

8.4

8.4

8.5

8.4

8.4

8.3

8.3

8.3

8.2

8.1

8.1

전남

7.6

7.7

7.8

7.7

7.7

7.7

7.7

7.4

7.5

7.7

7.6

7.7

7.8

7.8

7.7

경북

9.7

9.5

9.5

9.5

9.3

9.1

9.1

9.0

9.1

9.2

9.2

9.3

9.2

9.2

9.0

경남

7.7

7.7

7.5

7.5

7.5

7.4

7.5

7.5

7.6

7.5

7.5

7.4

7.3

7.2

7.0

제주

5.8

5.9

5.8

5.8

5.6

5.6

5.4

5.5

5.4

5.4

5.3

5.4

5.4

5.5

5.6



3) 아파트

※ 거래량이 적은 시기 및 세종, 제주 등의 지역은 변동폭이 크게 나타날 수 있음

    월별, 시군구별, 규모(전용면적)별 상세한 자료는 별도 제공되는 파일 또는
    부동산 통계정보시스템(www.r-one.co.kr) 참조 

연도

지역

‘17.7

8

9

10

11

12

‘18.1

2

3

4

5

6

7

8

9

전국

4.7

4.7

4.7

4.7

4.7

4.7

4.7

4.7

4.7

4.7

4.7

4.7

4.7

4.7

4.7

수도권

4.4

4.4

4.4

4.4

4.4

4.4

4.4

4.4

4.4

4.4

4.4

4.4

4.4

4.5

4.4

지방

5.4

5.4

5.4

5.3

5.3

5.3

5.3

5.2

5.3

5.3

5.3

5.3

5.3

5.3

5.3

5대광역시

4.8

4.8

4.8

4.8

4.8

4.8

4.8

4.7

4.8

4.8

4.8

4.8

4.8

4.8

4.8

8개도

6.0

6.0

6.0

6.0

6.0

5.9

6.0

5.8

5.9

6.0

5.9

5.9

5.9

6.0

5.9

서울

4.1

4.1

4.1

4.1

4.1

4.1

4.0

4.0

4.0

4.0

4.1

4.1

4.1

4.1

4.0

강북권역

4.2

4.2

4.2

4.2

4.2

4.2

4.2

4.2

4.2

4.2

4.2

4.2

4.2

4.2

4.2

강남권역

4.0

4.0

4.0

4.0

4.0

4.0

3.9

3.9

3.9

4.0

4.0

4.0

4.0

4.0

4.0

도심권

4.3

4.2

4.1

4.2

4.1

4.1

4.1

4.2

4.2

4.2

4.2

4.2

4.3

4.2

4.2

동북권

4.3

4.3

4.3

4.3

4.3

4.3

4.3

4.3

4.3

4.3

4.3

4.3

4.3

4.3

4.3

서북권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3.9

서남권

4.1

4.1

4.1

4.0

4.1

4.1

4.0

4.0

4.0

4.0

4.1

4.0

4.0

4.0

4.0

동남권

3.9

3.9

3.9

3.9

3.9

3.9

3.8

3.8

3.8

3.8

3.9

3.9

3.9

3.9

3.9

부산

4.8

4.8

4.7

4.7

4.7

4.7

4.7

4.7

4.7

4.7

4.7

4.8

4.7

4.7

4.7

대구

4.4

4.5

4.5

4.5

4.5

4.5

4.4

4.4

4.4

4.4

4.4

4.4

4.4

4.4

4.5

인천

4.8

4.8

4.8

4.8

4.8

4.8

4.8

4.8

4.9

4.9

4.9

4.9

4.9

4.9

4.9

광주

5.3

5.4

5.5

5.4

5.4

5.3

5.2

5.2

5.2

5.2

5.2

5.3

5.3

5.3

5.3

대전

5.2

5.1

5.1

5.1

5.1

5.1

5.1

5.0

5.1

5.1

5.2

5.2

5.2

5.2

5.0

울산

5.0

4.9

4.9

5.0

5.0

4.9

5.0

4.8

4.8

4.8

4.8

4.8

4.8

4.8

4.8

세종

4.7

4.8

4.8

4.7

4.6

4.6

4.6

4.7

4.7

4.8

4.8

4.8

4.9

5.0

5.1

경기

4.6

4.6

4.6

4.6

4.6

4.6

4.6

4.6

4.6

4.7

4.7

4.7

4.7

4.7

4.7

강원

6.8

6.9

6.9

6.9

6.9

6.7

7.0

6.8

6.6

6.5

6.5

6.4

6.4

6.4

6.4

충북

6.0

6.2

6.1

6.1

6.3

6.0

6.0

6.0

6.1

6.4

6.2

6.1

6.0

6.0

6.0

충남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전북

6.2

6.3

6.3

6.1

6.2

6.1

6.0

6.0

6.0

6.0

6.0

6.0

6.4

6.5

6.5

전남

7.3

7.5

7.6

7.5

7.5

7.4

7.3

7.1

7.2

7.4

7.2

7.3

7.5

7.5

7.4

경북

6.0

6.0

6.0

5.9

5.8

5.5

5.6

5.5

5.7

5.7

5.8

6.0

5.8

6.0

5.8

경남

5.3

5.3

5.2

5.2

5.2

5.1

5.2

5.1

5.1

5.1

5.1

5.1

5.1

5.0

5.0

제주

4.7

4.7

4.7

4.7

4.7

5.0

4.7

4.8

4.7

4.8

4.7

4.7

4.7

4.7

4.7



4) 연립/다세대주택

 ※ 거래량이 적은 시기 및 세종, 제주 등의 지역은 변동폭이 크게 나타날 수 있음

    월별 전월세전환율은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one.co.kr) 참조 

연도

지역

‘17.7

8

9

10

11

12

‘18.1

2

3

4

5

6

7

8

9

전국

6.5

6.4

6.3

6.3

6.2

6.1

6.1

6.2

6.2

6.2

6.2

6.2

6.1

6.0

5.9

수도권

6.0

6.0

6.0

5.9

5.8

5.8

5.8

5.8

5.8

5.8

5.8

5.7

5.7

5.6

5.5

지방

9.6

9.4

9.2

9.1

9.0

8.9

8.8

9.1

9.2

9.1

9.0

9.1

9.1

8.6

8.5

5대광역시

9.7

9.5

9.3

9.3

9.2

9.2

9.0

9.4

9.5

9.4

9.4

9.4

9.4

8.9

8.8

8개도

9.3

9.3

8.7

8.3

8.3

7.9

7.8

8.0

7.8

7.8

7.8

7.8

7.9

7.5

7.3

서울

5.0

5.0

4.9

4.8

4.8

4.7

4.8

4.8

4.8

4.8

4.8

4.8

4.8

4.7

4.6

강북권역

5.5

5.4

5.3

5.2

5.1

5.1

5.2

5.2

5.3

5.3

5.3

5.2

5.2

5.0

5.0

강남권역

4.8

4.7

4.7

4.6

4.6

4.5

4.5

4.6

4.6

4.6

4.6

4.6

4.6

4.5

4.5

도심권

5.8

5.6

5.6

5.4

5.4

5.3

5.5

5.6

5.7

5.7

5.6

5.4

5.5

5.3

5.3

동북권

5.5

5.4

5.2

5.1

5.0

5.0

5.0

5.1

5.2

5.2

5.1

5.1

5.0

4.8

4.8

서북권

5.4

5.3

5.3

5.3

5.1

5.1

5.2

5.2

5.2

5.2

5.3

5.3

5.2

5.1

5.1

서남권

5.3

5.2

5.2

5.1

5.1

5.0

4.9

5.0

4.9

5.0

4.9

4.9

4.8

4.8

4.8

동남권

4.4

4.4

4.4

4.3

4.3

4.3

4.3

4.4

4.4

4.4

4.4

4.4

4.4

4.4

4.4

부산

10.0

9.8

9.6

9.5

9.4

9.3

9.3

9.5

9.7

9.6

9.7

9.6

9.6

9.1

9.0

대구

7.6

7.4

7.5

7.7

7.5

7.2

7.4

7.7

8.1

7.6

6.7

7.5

7.4

7.2

7.3

인천

8.5

8.5

8.4

8.3

8.3

8.4

8.4

8.2

8.1

8.1

8.2

8.1

8.1

8.1

8.0

광주

7.7

7.7

7.7

7.9

7.8

8.7

7.8

8.5

8.6

7.9

7.4

7.4

7.7

6.9

6.9

대전

8.4

8.6

8.6

8.6

8.7

8.3

8.6

8.9

8.4

8.1

8.1

7.6

8.7

8.5

8.6

울산

7.2

6.5

6.9

8.1

7.3

7.3

7.3

7.4

8.0

7.6

6.9

6.9

7.6

7.5

7.6

세종

6.0

6.1

7.9

9.9

10.6

10.5

12.4

14.5

11.1

9.5

10.5

8.3

11.4

10.5

12.5

경기

7.7

7.6

7.5

7.5

7.4

7.4

7.3

7.3

7.3

7.3

7.3

7.2

7.2

7.1

7.1

강원

10.9

10.6

9.3

8.6

9.3

9.3

8.9

8.5

8.4

7.7

7.7

8.6

9.3

7.0

6.8

충북

11.6

11.3

11.3

10.6

10.4

10.5

10.5

10.9

10.7

10.3

10.0

10.6

10.6

9.1

9.0

충남

10.2

10.4

10.2

10.0

10.1

9.7

9.7

9.7

9.6

9.9

9.7

9.7

9.7

9.7

9.4

전북

10.2

10.1

9.7

8.8

9.1

9.0

10.0

9.8

8.8

8.8

8.7

8.0

8.6

8.5

8.7

전남

10.3

9.2

9.7

9.2

8.8

8.9

9.4

9.0

9.4

8.8

8.9

9.4

8.7

6.7

6.5

경북

10.3

10.2

9.3

9.3

9.2

8.1

8.8

8.6

8.7

8.5

8.0

8.8

9.3

9.3

7.9

경남

7.9

8.1

7.9

7.8

7.5

7.0

6.7

6.6

6.7

7.0

7.1

7.2

7.3

6.8

6.3

제주

5.4

5.0

5.2

5.2

5.2

5.2

5.3

5.6

5.2

5.3

5.1

5.2

5.2

5.1

5.2



5) 단독주택

※  거래량이 적은 시기 및 세종, 제주 등의 지역은 변동폭이 크게 나타날 수 있음

    월별 전월세전환율은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one.co.kr) 참조 

연도

지역

‘17.7

8

9

10

11

12

‘18.1

2

3

4

5

6

7

8

9

전국

8.1

8.0

7.9

7.9

7.8

7.8

7.8

7.8

7.9

7.9

7.9

7.8

7.8

7.7

7.7

수도권

7.3

7.3

7.2

7.1

7.0

7.0

7.0

7.0

7.0

7.0

7.1

7.0

7.0

7.0

7.0

지방

9.7

9.6

9.6

9.5

9.5

9.5

9.5

9.5

9.6

9.6

9.6

9.5

9.5

9.4

9.4

5대광역시

9.0

9.0

8.9

8.8

8.8

8.8

8.7

8.8

8.9

8.9

8.8

8.8

8.8

8.7

8.7

8개도

10.2

10.1

10.0

10.0

10.0

10.0

10.0

10.0

10.1

10.1

10.1

10.0

10.0

9.9

9.8

서울

6.8

6.7

6.6

6.5

6.4

6.4

6.4

6.4

6.5

6.4

6.5

6.5

6.5

6.4

6.4

강북권역

6.9

6.8

6.7

6.6

6.5

6.4

6.5

6.5

6.6

6.6

6.6

6.6

6.6

6.5

6.4

강남권역

6.6

6.6

6.5

6.4

6.4

6.3

6.3

6.3

6.3

6.3

6.3

6.3

6.4

6.3

6.3

도심권

7.2

7.0

7.1

7.0

7.0

7.0

6.8

7.0

7.0

7.0

7.2

7.1

7.4

6.9

6.7

동북권

6.9

6.8

6.6

6.5

6.4

6.3

6.4

6.4

6.5

6.4

6.5

6.5

6.4

6.3

6.3

서북권

6.9

6.7

6.6

6.4

6.4

6.6

6.7

6.8

6.9

6.7

6.8

6.8

6.7

6.7

6.6

서남권

7.0

6.9

6.8

6.7

6.7

6.7

6.6

6.6

6.6

6.5

6.6

6.6

6.6

6.5

6.5

동남권

5.9

5.9

5.8

5.8

5.8

5.6

5.7

5.7

5.7

5.7

5.7

5.8

5.8

5.8

5.7

부산

8.2

8.1

7.8

7.7

7.7

7.9

7.8

7.9

8.0

8.2

8.1

8.1

8.1

8.1

8.0

대구

9.6

9.5

9.4

9.3

9.3

9.3

9.2

9.4

9.6

9.5

9.5

9.5

9.4

9.3

9.3

인천

9.8

9.8

9.8

9.7

9.6

9.4

9.3

9.2

9.2

9.2

9.3

9.2

9.3

9.3

9.5

광주

10.6

10.4

10.3

10.3

10.2

10.1

9.7

9.7

9.8

9.7

10.0

9.8

9.9

9.8

9.8

대전

8.9

8.8

8.7

8.7

8.6

8.6

8.4

8.5

8.6

8.6

8.4

8.5

8.5

8.4

8.4

울산

8.7

8.8

9.0

9.1

9.2

9.1

8.8

8.8

8.8

8.9

9.0

8.7

8.9

8.9

8.9

세종

9.4

9.6

9.9

9.8

10.1

10.1

10.2

9.7

10.4

10.4

10.3

10.5

10.0

10.1

10.1

경기

8.1

8.0

8.0

8.0

7.9

8.0

7.9

7.9

7.9

8.0

8.0

7.9

8.0

8.0

7.9

강원

9.1

8.7

8.7

8.6

8.5

8.2

8.3

8.4

8.6

8.7

8.6

8.8

8.6

8.5

8.4

충북

11.3

11.2

11.2

11.2

11.3

11.1

11.0

10.9

11.3

11.3

11.3

11.4

11.3

11.3

11.3

충남

10.9

10.5

10.4

10.4

10.4

10.3

10.4

10.3

10.6

10.6

10.5

10.5

10.4

10.3

10.2

전북

10.5

10.5

10.4

10.4

10.3

10.3

10.3

10.3

10.2

10.3

10.1

10.2

10.2

10.0

10.2

전남

9.9

9.4

9.1

9.3

9.3

9.5

10.2

10.0

9.8

9.9

9.9

9.8

9.6

9.5

9.3

경북

11.8

11.5

11.6

11.7

11.5

11.5

11.4

11.4

11.4

11.4

11.4

11.4

11.3

11.3

11.3

경남

9.2

9.1

9.1

9.1

9.2

9.3

9.4

9.4

9.4

9.4

9.3

9.2

9.0

8.9

8.8

제주

7.2

7.6

7.2

7.3

6.5

6.3

6.0

6.1

6.1

6.0

6.0

6.0

6.1

6.4

6.5



붙임2

 전월세 전환율 Q&A


 1. '전월세전환율'이란 무엇인지?


□ ‘전월세전환율*’이란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시 적용되는 비율로 임대인은 요구수익률, 임차인은 전월세 선택 및 월세계약시 기회비용을 계산하는 지표로 활용


 * 전월세전환율은  [{월세/(전세금 -월세보증금)}×100]으로 산정된 월세이율을 연이율로 환산(월세이율x12)하여 산정


 * (예시) 전세금 1억원의 주택을 보증금 1천만원과 월세 50만원으로 계약 체결시 전월세전환율은 6.7%임 (월세이율 0.55%=50만원/(1억원-1천만원), 연 월세이율은 6.7%) 


 

 ㅇ 예를들어 동일단지․면적(비아파트의 경우 동일읍면동․유사면적)의 유사한 월세매물 중 전월세 전환율이 높은 건은 낮은 건 보다 상대적으로 월세 부담이 크다는 의미

< (예시) 전월세전환율 분석 >

(단위 ; ㎡, 천원, %)          

전용면적

계약일자

전세금

보증금

월세

전월세전환율

39.9

20XX.08.01

85,000

10,000

360

5.76

20XX.09.26

85,000

5,000

430

6.45

20XX.10.11

85,000

5,000

420

6.30

20XX.11.02

85,000

5,000

400

6.00 



 2. '전월세전환율'은 어떻게 산정되었는지?


□ 전월세거래정보 시스템에 집계된 월세계약건(보증금, 월세)에 동일단지․면적(비아파트의 경우 동일읍면동․유사면적)의 전세계약건의 중위값 전세금*을 해당 월세계약건의 추정전세금으로 반영하여 계산


 ㅇ 개별 월세계약건의 전월세전환율을 산정한 후, 시도별, 시군구별 중위전월세전환율을 산정하되 거래건수의 등락으로 인하여 안정적인 전환율을 산출하기 위하여 6개월 이동평균으로 산출


< 전월세전환율 산정 프로세스 >

  ① 최근 6개월 전세 및 월세 계약건 중 동일단지 동일면적 대상 추출

  ② 동일단지․면적 전세계약건의 중위전세금을 추정전세금*으로 산정

   * 전세거래가 없는 월세계약건은 추정전세금 산정이 불가능하여 전환율 산정에서 제외


  ③ 추정전세금을 월세계약건에 적용하여 전월세전환율 산정

  ④ 권역별, 시도별, 시군구별 중위값*의 전월세전환율 산정


< (예시) 개별 월세계약건의 전월세전환율 산정시 >

(단위; ㎡, 천원, %)          

전용

면적

계약월

실거래

전세금

중위값

전세금

보증금

월세

전월세

전환율

50.38

20XX.08

130,000

135,000

125,000

130,000

130,000

10,000

750

7.5

20XX.09

40,000

500

6.7

20XX.10

60,000

350

6.0

20XX.10

20,000

600

6.5 



 3. '전월세전환율' 이용시 유의사항?


□ 전월세전환율은 동일시점에 해당 물건의 적정 전세보증금과 월세보증금, 월세액 3가지 가격정보를 기초로 작성하여야 가장 정확한 계산이 가능하나, 전세 실거래를 활용하여 추정전세금을 반영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는바, 각종 발표되고 있는 전월세전환율은 참고용으로만 활용하고 실제 계약하는 월세계약건과 최근 사례를 계산하여 적정성을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 


 ㅇ 현재 각종 발표되고 있는 전월세전환율(평균․중위값)은 계약하고자 하는 물건의 월세가 상대적으로 높고 낮음을 판단하는 단순 참고자료임


 ㅇ 동일시점의 동일단지, 동일면적(비아파트의 경우 동일읍면동, 유사면적)이라도 임대인의 요구수익률에 따라 전월세전환율은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실거래 정보를 활용한 전월세전환율은 매기 거래건의 특성(가격, 물적특성 등)에 따라 장기 시계열상으로는 등락이 발생 할 수 있음


 ㅇ 예를 들어, 특정시점(t)에 소형 또는 보증금액이 적은 건을 중심으로 계약되어 전환율이 높게 나오고, 다음 시기(t+1)에는  중대형 또는 보증금액이 큰 건을 중심으로 계약되어 전환율이 낮아질 수 있음


 ㅇ 동일지역이라도 시계열상으로는  1% 내외의 등락을 보일 수 있음

    * 전월세전환율 1% 차이는 1억원을 월세로 전환시 100만원/년의 차이를 보임

      (예시 : 전환율 7% → 8%, 1억원 기준 월세 700만원/년 → 800만원/년)



 4. 서울시 발표자료와 어떻게 다른지?


□추정전세금 적용방식, 가격정보 이상치 제거 기준 및 실거래 데이터 활용율 등에 따라 전월세전환율 산정결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ㅇ 서울시의 경우 월세계약건에 전세금 추정방식의 한계를 고려하여 전세→월세로 전환*된 계약 건만을 반영하고 있으나, 


   * 전환된 계약건만이 반영되어 실거래 활용도가 낮으며 일부 월세거래는 반영됨


 ㅇ 금번 산정자료는 전체 월세계약건 중 전세금 실거래가 있다면 이를 추정전세금으로 반영하여 전월세전환율을 산정함으로써 월세 실거래 정보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식으로 산정


< 금번 발표 자료와 서울시 양기관 전환 비교 >

구분

주기

유형

공표단위

가격

시계열

장점

단점

실거래

아파트, 단독 연립/다세대

아파트,134

연립/단독 시도

실거래

‘11..6

실거래활용도 높아

전세금 추정방식

서울시

분기

아파트, 단독 연립/다세대

5대 생활권별,

구별은 종합

실거래

‘13.3Q

다양한 지표 발표

전세월세 전환건만반영

사례수 적음



 5. 전월세전환율 산정시 장애요인 및 애로사항?


① 월세계약시점에 전세금 정보가 있어야 전월세전환율 산정 가능


② 매매계약의 경우 지자체에 신고하여야 하지만 전월세계약은 의무적인 사항이 아니므로 동 정보를 활용하여 산정된 전월세전환율은 전체 전월세계약 정보를 반영한 것은 아님


③ 추정 전세금 산정시 거래가 적거나, 거래사례가 있더라도 특수한 사정 등이 있는 경우 전월세전환율이 불안정함

 

④ 전월세거래정보 시스템의 금액단위 입력오류, 월세를 연세로 입력, 입력항목 오기, 누락 등 다양한 오류로 발생하는 이상치 제거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 소요되어 시스템 개선 필요


※자료출처 : 한국감정원 보도자료


 

JUNGMOO E&A Manage Assets

on a structured system

▣ 정무E&A의 부동산 세미나는 다릅니다.!!

 

국내 부동산 기업 최초 국제 표준규격 ISO 9001을 획득!!

정무E&A의 부동산 투자 세미나가 부동산 투자의 선택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종합 부동산 그룹 정무E&A는 기획 부동산이 아닙니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 고객님의 투자 성공을 같이 하는 부동산 투자 컨설팅의

종합 부동산 그룹입니다.

 

부동산 투자 이제는 정무 E&A의 부동산 투자의 전문성 있는 정보와 분석을 통해

부동산 투자를 같이 해보시는 것이 어떠십니까.

성공이 보이는 부동산 투자 정무E&A

무료 정기 부동산 세미나에서 답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정무E&A 부동산 투자 컨설팅&자산관리

전문가 이천수 팀장 ☎010-9469-2799




부동산 투자 정확한 정보만 있다면 소액 투자로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정보세미나/컨설팅 신청 등 부동산 재테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 부담 없이 문의하십시오

부동산 정보세미나/컨설팅 신청 및 문의는 이천수 팀장에게 문의하세요

010-9469-2799





사업자 정보 표시
금마루 | 손기원 | 서울시 강동구 성내동 77-40 금마루 | 사업자 등록번호 : 201-24-67406 | TEL : 02-472-5110 | Mail : dolis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