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5. 7. 18:28ㆍ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전국 주택 가격 동향조사 : 2018년 4월 5주(4월 30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매매가격 하락폭 유지, 전세가격 하락폭 소폭 축소
[한국감정원 보도자료 2018.05.03(목요일)]
□ 한국감정원 2018년 4월 5주(4월 3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14% 하락, 전세가격은 0.10% 하락하였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 [전국 : -0.04%] 공급물량 누적, 지역경기 침체를 원인으로 한 기준 하락지역은 하락세 지속, 3월경부터 진정세를 보인 서울을 비롯하여 경기·인천 및 기타 지방 광역시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보합에 가까운 장세를 나타내며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에서 소폭의 변동률 확대(+0.01% p)가 있었음에도 불구, 지방에서 지난주 하락폭을 유지하며 전국 단위로 전주와 동일한 하락폭을 유지하였다.
○ 시도별로는 대구(0.04%), 서울(0.04%), 전남(0.03%), 광주(0.03%), 제주(0.02%)는 상승, 세중(0.00%), 경기(0.00%)는 보합, 충남(-0.28%), 울산(-0.23%), 경남(-0.16%) 등은 하락하였다.
- 공표 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46→51개) 및 보합 지역(25→30개)은 증가, 하락 지역(105→95개)은 감소하였다.
□ [수도권 : 0.01%] 서울은 0.04% 상승, 경기는 0.00% 보합, 인천은 0.02% 하락하였다.
□ [지방 : -0.08%] 전남은 개발 호재가 있거나 우수한 정주 여건으로 실수요 꾸준한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 전환되고, 경북·충북·부산에서는 하락폭이 다소 축소되었으나, 미분양 적체된 충남, 미분양 증가세에 있는 강원 및 지역 경기 침체된 울산 등에서 하락폭이 확대되고 제주는 상승 폭이 축소되는 등 전체적으로 지난주 하락폭을 유지하였다.
□ [서울 : 0.04%] 관망세 확대되며 기준 인기 지역의 과열과 이에 따른 계단식 키 맞추기 상승 모두 점차 진정되는 등 안정세가 지속되었다.
○ [강북지역 : 0.06%] 동대문은 재개발사업 진척과 교통 호재 영향으로, 서대문은 가재울 뉴타운의 저평가 인식으로 상승하였으나, 성동은 가격 상승 피로감으로, 노원은 재건축 위주로 하락이 지속되고, 종로·중구는 상승 폭이 축소되는 등 전체적으로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하였다.
○ [강남지역 : 0.02%] 강서는 마곡지구 영향으로 상승 전환되었으나, 강남 4구는 보합 혹은 하락세를 나타내며 4주 연속 하락하였고, 관망세 확대로 동작은 상승폭 축소, 양천은 하락폭이 확대되었다.
2. 주간 아파트 전세 가격 동향
□ [전국 : -0.10%] 지방은 정비 사업이 원활하거나 입지여건이 양호한 일부 지역은 국지적으로 상승하였으나, 대다수 지역이 신규 공급 증가 및 경기 침체로 하락하였고, 수도권은 신규 입주 물량의 증가 및 광역 교통망 구축 등으로 서울에 집중되던 수요가 분산되고 고가 또는 노후 아파트 중심으로 재계약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서울·인천·경기 모두 하락하며 안정세가 지속되었다.
○ 시도별로는 전남(0.05%)과 광주(0.02%)는 상승, 제주(0.00%)는 보합, 세종(-0.33%), 울산(-0.27%), 충남(-0.26%), 충북(-0.20%) 등은 하락하였다.
- 공표 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21→19개)은 감소, 보합 지역(38→38개)은 유지, 하락 지역(117→119개)은 증가하였다.
□ [수도권 : -0.10%] 서울은 0.09%, 경기는 0.11%, 인천은 0.05% 하락하였다.
□ [지방 : -0.11%] 광주와 전남은 정비 사업 이주 수요 및 일부 매물이 부족한 선호 단지 수요 등으로 소폭 상승하고 제주는 보합을 유지하였으나 그 외 지역은 모두 하락한 가운데, 세종은 신규 입주(2-1 생활권) 영향으로 선호도 낮은 기존 단지 및 외곽지역 중심으로 하락하고, 울산·경상권은 공급 증가와 지역 기반 산업 침체에 맞물리며 하락세가 지속되었다.
□ [서울 : -0.09%] 서울 인접 지역 등 수도권 전체적으로 증가한 신규 입주 물량 영향으로 전 세 공급 풍부해지며 안정세가 지속되었다.
○ [강북지역 : -0.02%] 중랑구는 전반적으로 보합세이나 재개발사업의 영향으로 상승 전환된 반면, 마포·서대문구는 수급은 안정적이나. 일부 단지 매물의 소화기간이 길어지며 하락 전환되는 등 하락세가 지속되었다.
○ [강남지역 : -0.15%] 영등포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보합 및 하락한 가운데, 동작구는 신규 아파트 입주 영향으로 하락 전환, 강남 4구는 2월 첫째 주부터 13주 연속 하락하며 전체적으로 하락세가 지속되었다.
○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행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 통계정보 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붙임 1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
□ 매매가격 변동률
□ 전세 가격 변동률
*'17년 누계는 '18년 누계와 동일 누적 주차를 기준 선정(예시 : '18년 14주차의 경우, '17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 연초(1월 1주차)부터 동일 변동률(예시 : '18년 14주차의 경우, '17년 수치 또한 14주차 변동률임)
붙임 2 | 주요 지역 주간 아파트 변동률 통계표 |
□ 매매가격 변동률
□ 전세가격 변동률
*'17년 누계는 '18년 누계와 동일 누적 주차를 기준 선정(예시 : '18년 14주차의 경우, '17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 연초(1월 1주차)부터 동일 변동률(예시 : '18년 14주차의 경우, '17년 수치 또한 14주차 변동률임)
붙임 3 |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
※자료출처 : 한국감정원 보도자료(2018년 4월 5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
부동산 투자 정확한 정보만 있다면 소액 투자로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정보, 세미나/컨설팅 신청 등 부동산 재테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 부담 없이 문의하십시오
부동산 정보, 세미나/컨설팅 신청 및 문의는 이천수 팀장에게 문의하세요
☎010-9469-2799
'부동산 지식 창고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투저정보]2018년 5월 1주 주간아파트 가격 동향(한국감정원 보도자료) (0) | 2018.05.12 |
---|---|
[부동산뉴스]2017년 대비 임대사업자 등록 증가추세 지속(국토교통부 보도자료) (0) | 2018.05.10 |
[부동산뉴스]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표준 마련 5월부터 인증(국토교통부 보도자료) (0) | 2018.05.05 |
[부동산뉴스]2017년 말 외국인 보유 국내 토지는 239㎢, 전 국토의 0.2%(국토교통부 보도자료) (0) | 2018.05.04 |
[부동산뉴스]2018년 1분기 건축 인허가, 전년 대비 3.0% 증가(국토교통부 보도자료) (0) | 2018.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