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뉴스]2018년 1분기 건축 인허가, 전년 대비 3.0% 증가(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18. 5. 1. 22:20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2018년 1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

-착공은 0.5% 감소, 준공은 19.4% 증가 -

[국토교통부 녹색건축과 보도자료(2018.04.30(월요일)]

 ※ 더 자세한 내용은 건축물 생애 이력 관리 시스템(http://blcm.go.kr) '맞춤형 건축 통계'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2018년 1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은 전년 동기 보다 3.0% 증가한 39,927천㎡, 동수는 4.3% 증가한 62,155동이라고 밝혔다.

○ 지역별 허가면적은 수도권 18,636천㎡(1,501천㎡, 8.8%), 지방 21,291㎡(△329천㎡, 1.5%↓)이다.


○ 착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한 28,655천㎡. 동수는 0.2% 감소한 47,068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3,994천㎡(747㎡, 5.6%), 지방 14,660천㎡(△885천㎡, 5.7%↓)이다.


○ 준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19.4% 증가한 38,803천㎡, 동수는 0.8% 감소한 45,418동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7,322천㎡(3,230천㎡, 22.9%), 지방 21,480천㎡(△3,062천㎡, 16.6%)이다.


□ 전년 동기 대비 건축물 용도별 허가, 착공 및 준공 면적은

○ 건축 허가면적은 상업용 11,052천㎡, 문교사회용 2,358천㎡로서 각각 4.3% 15.2% 증가하였고, 주거용 14,108천㎡, 공업용 3,518㎡로서 각각 11.9%, 1.0% 감소하였다.


○ 착공면적은 주거용 10,219천㎡, 상업용 7,799천㎡, 공업용 2,609천㎡, 문교사회용 1,535천㎡로서, 각각 9.5% 2.4%, 31.4%, 21.0% 감소하였다.


○ 준공면적은 주거용 17,790천㎡, 문교 사회용 2,067천㎡로서, 각각 35.8%, 8.8% 증가하였고, 상업용 8,056천㎡, 공업용 4,297천㎡로서, 각각 8.8%, 5.2% 감소하였다.


* 괄호 :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용도별 건축물 분류(통계용)]

  - 주거용        :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다중주택, 연립, 다세대, 아파트 등

  - 상업용        :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운수시설 등

  - 공업용        : 공장

  - 문화 사회용 : 의료시설, 문화시설(극장, 전시장 등)

  - 기타           : 농수산용(축사, 온실), 공공용(공공청사, 방송국) 등


□ 2018년 1분기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 첫째, 전년 동기 대비 주거용 건축물의 준공(35.8%) 면적은 증가하였으나, 허가(△11.9%), 착공(△9.5%) 면적은 감소하였다.

 - 허가 면적의 경우 수도권(2.4%) 증가, 지방(△20.9%) 감소하였으나, 준공 면적은 수도권(40.7%) 및 지방(32.3%) 모두 증가하였다.

* 괄호 : 전년대비 증감률(%)


○ 둘째, 전년 동기 대비 상업용 건축물의 허가(4.3%) 면적은 증가하였으나, 착공(△2.4%), 준공(△8.8%) 면적은 감소하였다.

 - 세부 용도별로 살펴보면 건축 허가 업무시설(14.9%) 증가율이 높았으며, 착공은 기타(△45.5%), 중공은 판매시설(△48.4%) 감소율이 높았다.

* 괄호 :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상업용 건축물 분류(통계용)]

  - 제1종 근린생활시설 : 소매점, 휴게음식점, 이용원, 의원 등

  - 제2종 근린생활시설 : 공연장, 금융업소, 제조업소, 고시원 등

  - 판매시설 : 도매시설, 소매시장, 상점 등

  - 업무 시설 : 일반 업무시설(사무소, 오피스텔 등)

  -기타 : 위락시설, 숙박시설, 운수시설,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자동차 관련 시설 등



○ 셋째, 전년 동기 대비 아파트 건축물의 착공(3,0%), 준공(69.1%) 면적은 증가하였으나, 허가(△11.2%) 면적은 감소하였다.

 - 지역별 허가면적을 살펴보면 수도권의 경우 서울특별시(△65.1%)는 감소하였으나 인천광역시(836.0%), 경기도(5.1%)는 증가하였으며, 지방의 경우 대전광역시(510.6%)는 증가하였으나 광주광역시(△86.3%), 세종특별자치시(△86.2%)는 감소하였다.

* 괄호 : 전년 대비 증감률(%)


○ 주요 건축물(아파트)의 허가사항을 보면, 

 - 수도권은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자동 수원대유평지구 2-2블록(14동, 382천㎡),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태기 김포식곡 6지구 지구 A1BL 블록 공동주택(36동, 264천㎡)이며,

 - 지방은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 519-3번지 삼게 두 곳 지역 주택조합 아파트(21동, 294천㎡).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사직동 628번지 청주 사모 1구역 주택재개발정비 사업 아파트(30동, 246천㎡) 등으로 나타났다.


□ 규모별 변동 현황 및 멸실 현황을 보면

○ 규모별 건축 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25,483동으로 전체의 41.0%, 100~200㎡ 건축물이 12,033동(19.4%), 300~500㎡ 건축물이 8,892동(14.3%)이고

- 착공은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19,756동으로 전체의 42.0%, 100~200㎡ 건축물이 8,696동(18.5%, 300~500㎡ 건축물이 6,851(14.3%)이며

- 준공은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17,656동으로 전체의 38.9%, 100~200㎡ 건축물이 8,607동(19.0%), 300~500㎡ 건축물이 6,548동(14.4%)이다.


○ 소유 주체별 건축 허가멵거은 법인이 전체의 43.6%인 17,413천㎡, 개인이 13,651천㎡(34.2%), 공공이 1,902천㎡(4.8%)이고,

- 착공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54.8%인 15,689천㎡, 개인이 9,978천​(34.8%), 공공이 1,863천㎡(6.5%)이며, 

- 준공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28.2%인 10,931천㎡, 개인이 8,897천㎡(22.9%), 공공이 1,047천㎡(2.7%)이다.


○ 용도별 건축물 멸실은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문교 사회용이 각각 1,578천㎡(10,543동), 963천㎡(2,549동), 229천㎡(247동), 148천㎡(181동) 멸실되었다.

- 주거용은 단독주택이 전체의 49.9%인 787천㎡(8,803동), 아파트 352㎡(127동), 다가구주택 245천(1,135동)이며,

- 상업용은 제2종 근린생활시설이 전체의 38.4%인 370천㎡(1,174동), 제1종 근린생활시설이 290천㎡(1,037동), 업무시설 77천㎡(37동)으로 멸실되었다.


※ 이들 통계에 대한 세부자료는 건축행정 시스템(세움터 : http://www.eals.go.kr) 및 국토교통부 홈페이지(http://www.molit.go.kr)를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8년 1분기 건축 인허가, 전년 대비 3.0% 증가) 전문

부동산 투자 정확한 정보만 있다면 소액 투자로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정보, 세미나/컨설팅 신청 등 부동산 재테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 부담 없이 문의하십시오

부동산 정보, 세미나/컨설팅 신청 및 문의는 이천수 팀장에게 문의하세요

☎010-9469-2799


사업자 정보 표시
금마루 | 손기원 | 서울시 강동구 성내동 77-40 금마루 | 사업자 등록번호 : 201-24-67406 | TEL : 02-472-5110 | Mail : dolis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