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뉴스]2018년 1분기 땅값 0.99% 상승··· 거래량은 전 분기 대비 5.0% 증가(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18. 4. 29. 23:07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1분기 땅값 0.99% 상승··· 거래량은 전 분기 대비 5.0% 증가

전국 땅값은 전 분기 대비 0.06% p 소폭 상승, 세종>부산>서울 순 상승


 1. 지가변동률


[종합]

□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올해 1분기 전국 땅값은 평균 0.99% 상승하여 전 분기(0.93%) 대비 0.06p 증가했다고 밝혔다.

○ 이는 전년 동기(0.74%)보다 0.25% p 높은 수치이며, 같은 시간 소비자 물가 변동률(0.88%)과 비슷한 수준이다.


< 연도별 1본기 지가 및 소비자물가 변동률>> (지가 지수 : 2016.12. 1+100)

구  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전국
(지가 자수) 

0.70
(90.168)

0.29
(90.741)

0.30
(91.809)

0.21
(92.601)

0.45
(93.878)

0.48
(95.750)

0.56
(98.130)

0.74
(100.956)

0.99
(105.133)

수도권

0.85

0.32

0.25

0.14

0.47

0.46

0.46

0.71

1.02

지방

0.41

0.23

0.39

0.33

0.41

0.52

0.74

0.78

0.93

소비자물가

1.29

1.88

0.95

0.79

0.85

0.56

0.51

0.10

0.88


[지역별 지가변동률]

□ (시도별, %) 17개 시·도의 땅값이 전반적으로 상승한 가운데 세종, 부산, 서울, 제주, 대구 순으로 높게 상승하였다.

○ (수도권, 1.02%) 서울(1.28)은 전국 평균(0.99)에 비해 약간 높은 수준이며, 경기(0.83), 인천(0.62) 지역은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 (지방, 0.93%) 세종(1.56)이 최고 상승률을 보였으며, 부산, 제주, 대구 등 4개 시·도는 전국 평균(0.99) 보다 높았다.

 - 최근 비방의 지가 상승을 주도했던 세종, 부산, 제주, 대구 등 4개 시도는 2017년 3분기 이후 점차 증가세로 둔화 되는 추세이다.

< 주요 지역 분기별 지가변동률 추이 >


세종

부산

제주

대구

2017년 3분기

2.17

1.90

1.37

1.26

2017년 4분기

1.69

1.59

1.34

1.17

2018년 1분기

1.56

1.53

1.19

1.06




□ (시군구별, %) 서울 동작구(2.25)를 비롯해 용산구(2.24), 부산 해운대구(2.03), 서울 마포구(2.00), 부산 수영구(1.96)가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 울산 동구(-0.61), 전북 군산시(-0.25), 경북 포상 북구(-0.19), 충남 서천군(0.20), 전남 목표시(0.29)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2018년 1분기 지가변동률 상위 5개 현황(%)>

순위

시군구

변동률

주요 읍면동

1

서울 동작구

2.25

본·흑석동(4.85), 노량진동(4.81), 사당동(1.60)

2

서울 용산구 

2.24

보광동(2.67), 이촌동(2.67), 한남동(2.57)

3

부산 해운대구

2.03

우동(2.35), 중동(2.25), 좌동(2.14)

4

서울 마포구

2.00

망원동(3.90), 연남동(3.24), 서교·동교동(3.00)

5

부산 수영구

1.96

수영동(2.24), 남천동(2.04), 광안동(1.95)


<2018년 1분기 지가변동률 하위 5개 현황>

순위

시군구

변동률

주요 읍면동

1

울산 동구

-0.61

방어동(-0.77), 전하동(-0.70), 마포동·동부동·서부동(-0.53)

2

전북 군산시

-0.25

소룡동·오식도동·비응도동(-2.25), 오룡동·금광동·삼학동(-0.57)
신창동·둔율동·창성동·개복동(-0.54)

3

경북 포항 북구

-0.19

흥해읍(-1.11), 대흥동·신흥동·상원동·덕산동(-0.15),
장성동·양덕동(0.01)

4

충남 서천군

0.20

한산면(-0.51), 기산면(-0.31), 비인면(0.08)

5

전남 목포시

0.29

축복동 1가~3가(-0.28), 복만동, 보광동 1다~3가(-0.23),
양동·북교동·남교동·호남동(-0.08)



[용도지역별·이용상황별 지가변동률]

□ (용도지역별, %) 주거(1.15), 상업(0.93), 계획 관리(0.92), 녹지(0.79), 농림(0.74), 생산관리(0.72)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2018년 1분기 용도지역별 지가변동률(%)>

구분

도시지역

비도시지역

주거

상업

공업

녹지

보전관리

생산관리

계획관리

농림

자연환경

2017년

0.80

0.75

0.50

0.65

0.41

0.55

0.73

0.61

 0.49

2018년

1.15

0.93

0.59

0.79

0.58

0.72

0.92

0.74

 0.59


□ (이용상황별, %) 주거용(1.09), 상업용(1.04), 전(0.86), 답(0.84), 임야(0.59), 공장용지(0.57)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2018년 1분기 이용 상황별 지가변동률(%)>

구분

주거용

상업용

공장용지

임야

기타

2017년

0.78

0.73

0.52

0.72

0.69

0.50

0.28

2018년

1.09

1.04

0.57

0.86

0.84

0.59

0.52



 2. 토지 거래량


[종합]

□ 2018년 1분기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총 87만 필지(541㎢, 서울 면적의 약 0.9배)이며, 

○ 전 분기(2017년 4분기) 대비 5.0%(+41,377 필지) 증가하였으며, 전년 동기 대비 21.6%(+154,671 필지) 증가한 수치이다.

○ 주택 공급계약, 오피스텔 등 분양권 실거래 신고 의무화(2017년 1월)로 전년 동기 대비 분양권 거래는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매매 거래 등은 소폭 증가세를 보였다.

※ 거래 원인별(2017. 1분기 대비): 분양권(+123,041), 매매(+27,163), 기타(판결 등, +10,753 필지)

○ 그러나, 건축물 부속 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28만 1천 필지(498.2㎦)로 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했다.


<1분기 전체 토지 및 순수토지 거래량 추이(필지 수, 신고·검인 물량 포함, 신고일 기준)        *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구  분

2017년 1분기
(전년 동기)

2017년 4분기
(전분기)

최근 5년
('13~'17년) 1분기
평균 거래량

2018년 1분기

증감률(%)

 전년 동기 대비

전분기 대비

최근 5년 1분기
평균 대

전체토지

715,069

828,363

627,583

869,740

21.6

5.0

38.6

순수토지

288,628

286,830

253,079

280,809

△ 2.7

△ 2.1

11.0 



[ 지역별 토지거래량 ]

□ (시도별, %) 토지 거래량(전년 동기 대비)은 광주(51.0), 경기(44.6), 인천(42.3), 서울(38.0) 등은 증가하였고, 제주(△19.2) 등은 감소했다.

○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41.8), 서울(12.7), 인천(7.8) 등 순으로 증가 하였고, 대구(△ 28.4), 부산(△ 25.9) 등은 감소했다.


[용도지역·지목별 토지거래량]

□ (용도지역별, %) 전년 동기 대비 상업(33.5), 공업(30.9), 공업(30.9), 주거(24.8), 농림(4.6) 순으로 증가하였고, 자연환경보전(△ 5.8) 등은 감소하였다.

* 개발제한구역(△ 5.7), 녹지(△ 5.6), 관리(△ 0.4)

○ (지목별, %) 전년 동기 대비 공장용지(35.5), 대지(32.5), 기타(잡종지 등 5.5), 임야(5.3)는 증가하였고, 전(△ 3.7), 답(△ 1.8) 순으로 감소하였다.

○ (건물 유형별, %) 전년 동기 대비 주거용(40.3), 상업엄무용(34.2), 공업용(29.0), 기타건물(10.4) 순으로 증가, 나지(△ 0.9)는 감소하였다.

□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을 지속 보니터링하고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택적 노력을 기울일 게획이다."가로 밝혔다.

□ 기가변동률은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제19조, 시행령 제17조에 의해 지가 동향 및 거래 상황을 조하사여 토지 정책 수행 등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지가변동률과 토지거래량에 대한 상세 자료는 '국토교통 통계누리'(statmolit.go.kr) 또는  'R-ONE 부동산통계시스템'(www.r-one.co.kr, 부동산정보 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붙임1

 2018년 1분기 지역별 지가변동률



시군구별 상·하위 지역 현황(단위 : %)

상위 5개 지역(1분기)

하위 5개 지역(1분기)

시군구

2014

2015

2016

2017

2018

시군구

2014

2015

2016

2017

2018

서울 동작구

0.59

0.43

0.52

0.83

2.25

울산 동구

0.43

0.37

0.15

-0.75

 -0.61

서울 용산구

0.21

0.29

0.40

0.83

2.24

전북 군신사

0.31

0.40

0.46

-0.07

0.25

부산 해운대구

0.42

0.79

1.75

1.94

2.03

경북 포항북구

0.33

0.50

0.57

0.73

 -0.19

서울 마포구

0.62

0.61

0.64

1.19

2.00

충남 서천구

0.28

0.22

0.40

0.40

0.20

부산 수영구

0.33

0.66

0.80

1.27

1.96

전남 목포시

0.65

0.29

0.21

0.38

0.29




붙임2

 2018년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토지거래량 증감률




※자료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18년 1분기 땅값 0.99% 상승... 거래량은 전 분기 5.0% 증가) 전문


부동산 투자 정확한 정보만 있다면 소액 투자로 큰 수익을 기대 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정보, 세미나/컨설팅 신청 등 부동산 재테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 부담 없이 문의하십시오

부동산 정보, 세미나/컨설팅 신청 및 문의는 이천수 팀장에게 문의하세요

☎010-9469-2799


사업자 정보 표시
금마루 | 손기원 | 서울시 강동구 성내동 77-40 금마루 | 사업자 등록번호 : 201-24-67406 | TEL : 02-472-5110 | Mail : dolis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