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 29. 15:08ㆍ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 한국감정원 보도자료 ]
|
□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이 2022년 1월 4주(1.2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2% 상승, 전세가격은 0.01% 상승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 [전국 : 0.02%]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수도권(0.01%→0.00%)은 보합 전환, 서울(0.01%→-0.01%)은 하락 전환, 지방(0.03%→0.03%)은 상승폭 유지(5대광역시(0.01%→0.00%), 8개도(0.06%→0.07%), 세종(-0.22%→-0.19%))됐다.
ㅇ 시도별로는 전북(0.12%), 광주(0.09%), 충북(0.09%), 경남(0.08%) 등은 상승, 경기(0.00%), 전남(0.00%), 울산(0.00%)은 보합, 세종(-0.19%), 대구(-0.08%), 대전(-0.04%), 서울(-0.01%)은 하락했다.
-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15→102개) 및 보합 지역(21→20개)은 감소, 하락 지역(40→54개)은 증가
□ [수도권 : 0.00%] 서울 0.01% 하락, 인천 0.02% 상승, 경기 0.00% 보합
ㅇ [서울 : +0.01% → -0.01%] 25개구 중 11개구 하락, 6개구 보합
- 글로벌 통화긴축 우려 등에 따른 시장 불확실성 증가로 매수심리 크게 위축된 가운데, 추가 금리인상*ㆍ전세가격 하락
** 등 다양한 하방압력 맞물리며 약 1년 8개월 만에 서울 전체 하락 전환
* 기준금리 상승 : 0.75%(‘21.10.12) → 1.00%(‘21.11.25) → 1.25%(‘22.1.14), 한국은행
** 서울 25개구 中 9개구 전세 변동률 하락하며 서울 전체 0.00% 기록
- (강북 14개구 : -0.01%) 매물 적체되고 급매물 위주로 거래되는 가운데, 강북구(-0.03%)는 미아동 대단지 위주로, 노원구(-0.03%)는 상계ㆍ중계동 위주로, 도봉구(-0.02%)는 쌍문ㆍ방학동 구축 위주로 하락 거래 발생하며, 강북 14개구 전체 하락 전환
- (강남 11개구 : 0.00%) 서초구(0.01%)는 서초동 재건축 위주로, 강남구(0.01%)는 일부 중대형 평형 위주로 상승했으나, 상승폭은 축소됐고, 송파구(0.00%)는 상승ㆍ하락 혼조세 보이며 보합 전환. 동작(-0.01%)ㆍ강동구(-0.01%)는 급매물 위주로 거래되며 하락 전환
ㅇ [인천 : +0.04% → +0.02%] 8개구 중 2개구 하락, 1개구 보합
- 계양구(0.06%)는 작전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했으나, 중구(0.00%)는 대체로 관망세 보이며 보합 전환 됐고, 동구(-0.03%)는 송현동 중소형 위주로, 연수구(-0.01%)는 송도ㆍ연수동 일부 대단지 위주로 하락하며 인천 전체 상승폭 축소
ㅇ [경기 : +0.01% → 0.00%] 45개 시ㆍ구 중 용인 수지구 등 4개 하락 전환, 의왕시 등 9개 하락폭 확대되며 경기 전체 보합 전환
- 이천시(0.21%), 안성시(0.12%) 등은 중저가 위주로 상승했으나, 그 외 지역은 대체로 관망세 짙어지는 가운데, 용인 수지구(-0.03%)는 풍덕천ㆍ죽전동 위주로 급매물 거래되며 하락 전환, 안양 동안구(-0.16%)는 전세가격 하락과 동반하여 하락폭 확대되며, ‘19년 8월 이후 약 2년 5개월 만에 경기 전체 보합 전환
□ [지방 : 0.03%] 5대광역시 0.00% 보합, 8개도 0.07% 상승, 세종 0.19% 하락
ㅇ [광주 : +0.11% → +0.09%] 광산구(0.15%)는 교통호재 등 있는 산월ㆍ장덕동 중저가 위주로, 북구(0.09%)는 삼각ㆍ두암동 위주로, 남구(0.09%)는 정주여건 양호한 방림ㆍ봉선동 위주로 상승
ㅇ [대구 : -0.08% → -0.08%] 입주물량 부담 등의 영향으로 매수심리 위축된 가운데 매물 적체 지속되며 달서구(-0.14%)는 유천ㆍ본리동 위주로, 수성구(-0.08%)는 황금ㆍ수성동 위주로 하락
ㅇ [세종 : -0.22% → -0.19%]
- 소규모 단지 위주로 간헐적 거래 있으나, 매물적체 등 영향으로 대체로 거래심리 위축되며 하락세 지속
ㅇ [8개도 : +0.06% → +0.07%]
- (전북 : +0.12%) 전주 덕진구(0.17%)는 교통망 개선 기대감 있는 인후ㆍ우아동 중저가 위주로, 남원시(0.16%)는 도통ㆍ죽항동 위주로 상승
< 지역별 2022년 1월 4주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 비교(전주 대비%) >
구 분 | 1.17(전기) | 1.24(당기) | 비 고 | |
1 | 전북 | 0.10 | 0.12 | 상승폭 확대 |
2 | 충북 | 0.05 | 0.09 | 상승폭 확대 |
3 | 경남 | 0.07 | 0.08 | 상승폭 확대 |
4 | 충남 | 0.06 | 0.07 | 상승폭 확대 |
5 | 경북 | 0.07 | 0.06 | 상승폭 축소 |
6 | 제주 | 0.08 | 0.06 | 상승폭 축소 |
7 | 강원 | 0.05 | 0.04 | 상승폭 축소 |
8 | 전남 | 0.00 | 0.00 | 보합 유지 |
전북(8개도 중 1위) | 1.17 | 1.24 | |
1 | 전북 전주시 덕진구 | 0.08 | 0.17 |
2 | 전북 남원시 | 0.14 | 0.16 |
3 | 전북 군산시 | 0.17 | 0.13 |
4 | 전북 익산시 | 0.03 | 0.10 |
5 | 전북 전주시 완산구 | 0.10 | 0.09 |
6 | 전북 정읍시 | 0.19 | 0.09 |
7 | 전북 김제시 | -0.10 | 0.09 |
전남(8개도 중 8위) | 1.17 | 1.24 | |
1 | 전남 나주시 | 0.10 | 0.11 |
2 | 전남 목포시 | 0.04 | 0.04 |
3 | 전남 무안군 | 0.10 | 0.01 |
4 | 전남 여수시 | -0.02 | -0.01 |
5 | 전남 순천시 | -0.04 | -0.03 |
6 | 전남 광양시 | -0.05 | -0.04 |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 [전국 : +0.01%]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 축소됐다. 수도권(0.00%→-0.02%)은 하락 전환, 서울(0.01%→0.00%)은 보합 전환, 지방(0.04%→0.04%)은 상승폭 유지(5대광역시(0.02%→0.00%), 8개도(0.07%→0.09%), 세종(-0.41%→-0.30%))됐다.
ㅇ 시도별로는 충북(0.15%), 강원(0.11%), 경남(0.11%), 충남(0.10%) 등은 상승, 서울(0.00%)은 보합, 세종(-0.30%), 대전(-0.12%), 대구(-0.06%), 인천(-0.06%), 경기(-0.02%)는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10→107개)은 감소, 보합 지역(22→23개) 및 하락 지역(44→46개)은 증소
□ [수도권 : -0.02%] 서울 0.00% 보합, 인천 0.06% 하락, 경기 0.02% 하락
ㅇ [서울 : +0.01% → 0.00%] 25개구 중 9개구 하락, 6개구 보합
- 설 연휴를 앞두고 전세문의 한산한 가운데, 대출금리 인상 부담 영향 등으로 대체로 매물 누적되며 서울 전체 보합 전환
- (강북 14개구 : -0.01%) 중랑구(0.03%)는 중화ㆍ면목동 일대 중저가 또는 역세권 위주로, 용산구(0.01%)는 이촌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성동(0.00%)ㆍ광진구(0.00%)에서 보합 전환됐고, 노원(-0.04%)ㆍ성북구(-0.02%) 등 지역에서 하락세 지속되며 강북 전체 하락 전환
- (강남 11개구 : 0.00%) 강남구(0.01%)는 개포ㆍ압구정동 재건축 등 상대적 가격 수준 낮은 단지 위주로, 서초구(0.01%)는 잠원ㆍ반포동 주요 단지와 방배동 중저가 위주로 상승했으나, 동작구(-0.02%)는 상도ㆍ사당ㆍ신대방동 주요 단지 위주로, 송파구(-0.01%)는 장지동 (준)신축과 가락ㆍ풍납동 구축 위주로, 양천구(-0.01%)는 목동 신시가지 위주로 매물 적체되며 하락 전환
ㅇ [인천 : -0.03% → -0.06%] 8개구 중 2개구 하락, 1개구 보합 전환
- 미추홀구(0.07%)는 정비사업 이주수요 등의 영향으로, 계양구(0.06%)는 정주여건 양호한 계산ㆍ작전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동구(0.00%)는 상승에서 보합 전환. 서구(-0.32%)는 신규 입주물량 증가* 영향 등으로 하락폭 확대되며 인천 전체 하락폭 확대
* 인천 아파트 입주물량(임대 포함) : ’21년 약 2.1만 → ’22년 약 3.8만 세대(예정)
ㅇ [경기 : 0.00% → -0.02%] 45개 시ㆍ구 중 23개 하락, 4개 보합
- 안양 동안구(-0.32%)ㆍ의왕시(-0.22%)ㆍ수원 권선구(-0.05%) 등은 인근지역 입주물량 증가* 영향 등으로 하락했고, 동두천(0.00%)ㆍ양주시(0.00%)는 보합 유지되며 경기 전체 하락 전환
* 과천제이드자이 647세대(‘21.12월), 수원하늘채더퍼스트 3,236세대(‘21.12월) 등
□ [지방 : 0.04%] 5대광역시 0.00% 보합, 8개도 0.09% 상승, 세종 0.30% 하락
ㅇ [5대광역시 : +0.02% → 0.00%]
- (대전 : -0.12%) 매물적체 등의 영향으로 하락세 보이는 가운데 서구(-0.26%)는 도안ㆍ복수동 중소형 평형 위주로, 유성구(-0.12%)는 송강ㆍ지족동 구축 위주로 하락
- (대구 : -0.06%) 신규 입주 및 매물적체 등의 영향으로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세 유지되고 있으며, 달서구(-0.17%)는 유천ㆍ대곡동 (준)신축 위주로, 중구(-0.09%)는 수창ㆍ남산동 대단지 위주로, 수성구(-0.05%)는 범물ㆍ지산동 위주로 하락
ㅇ [세종 : -0.41% → -0.30%]
- 전세 거래 감소 및 하락 거래 발생하며 하락세 지속
ㅇ [8개도 : +0.07% → +0.09%]
- (충북 : +0.15%) 충주시(0.37%)는 중앙탑면ㆍ호암동 등에서 상승 거래 발생하며, 제천시(0.32%)는 정주여건 개선 기대감 있는 청전ㆍ하소동 위주로 상승
< 지역별 2022년 1월 4주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 비교(전주 대비%) >
구 분 | 1.17(전기) | 1.24(당기) | 비 고 | |
1 | 충북 | 0.11 | 0.15 | 상승폭 확대 |
2 | 강원 | 0.03 | 0.11 | 상승폭 확대 |
3 | 경남 | 0.09 | 0.11 | 상승폭 확대 |
4 | 충남 | 0.05 | 0.10 | 상승폭 확대 |
5 | 전북 | 0.07 | 0.07 | 상승폭 유지 |
6 | 제주 | 0.13 | 0.07 | 상승폭 축소 |
7 | 경북 | 0.08 | 0.06 | 상승폭 축소 |
8 | 전남 | 0.00 | 0.02 | 보합에서 상승 전환 |
충북(8개도 중 1위) | 1.17 | 1.24 | |
1 | 충북 충주시 | 0.16 | 0.37 |
2 | 충북 제천시 | 0.11 | 0.32 |
3 | 충북 청주시 청원구 | 0.12 | 0.11 |
4 | 충북 청주시 상당구 | 0.15 | 0.10 |
5 | 충북 청주시 서원구 | 0.11 | 0.10 |
6 | 충북 음성군 | 0.00 | 0.09 |
7 | 충북 청주시 흥덕구 | 0.06 | 0.02 |
전남(8개도 중 8위) | 1.17 | 1.24 | |
1 | 전남 나주시 | 0.14 | 0.14 |
2 | 전남 순천시 | -0.02 | 0.04 |
3 | 전남 무안군 | 0.07 | 0.04 |
4 | 전남 목포시 | 0.01 | 0.02 |
5 | 전남 광양시 | -0.02 | -0.02 |
6 | 전남 여수시 | -0.02 | -0.04 |
※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쉬운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감정원” 검색 후 설치
붙임 1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붙임 2 : 규제지역 주간 아파트 변동률 통계표
붙임 3 :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 붙임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자료출처 : 한국부동산원(http://www.reb.go.kr) |
'부동산 지식 창고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부동산원 2022년 2월 1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2022. 02. 10) (0) | 2022.02.10 |
---|---|
한국 부동산원 2022년 1월 5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2022. 02. 04.) (0) | 2022.02.05 |
[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조사:2022년 1월 3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2022. 1. 20.) (0) | 2022.01.22 |
[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조사:2022년 1월 2주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2022. 1. 13.) (0) | 2022.01.14 |
[한국부동산원]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 2022년 1월 주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2022. 01. 06.) (0) | 2022.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