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2. 5. 18:22ㆍ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 한국감정원 보도자료 ]
|
□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이 2022년 1월 5주(1.3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0% 보합, 전세가격은 0.00% 보합을 기록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 [전국 : 0.14%]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 축소됐다. 수도권(0.18%→0.16%) 및 서울(0.11%→0.10%), 지방(0.16%→0.13)은 상승폭 축소(5대광역시(0.12%→0.09%), 8개도(0.21%→0.18%), 세종(-0.21%→-0.26%))됐다.
ㅇ 시도별로는 인천(0.22%), 충북(0.22%), 충남(0.21%), 전북(0.21%), 경남(0.20%), 제주(0.19%), 광주(0.18%), 경기(0.17%), 강원(0.16%)등은 상승, 세종(-0.26%), 대구(-0.03%)는 하락했다.
-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60→160개)은 유지, 보합 지역(6→5개)은 감소, 하락 지역(10→11개)은 증□ [전국 : 0.00%]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2%) 대비 보합 전환됐다. 수도권(0.00%→-0.02%)은 하락 전환, 서울(-0.01%→-0.01%)은 하락폭 유지, 지방(0.03%→0.02%)은 상승폭 축소(5대광역시(0.00%→-0.01%), 8개도(0.07%→0.04%), 세종(-0.19%→-0.13%))됐다.
ㅇ 시도별로는 광주(0.08%), 전북(0.07%), 충남(0.06%), 강원(0.04%), 충북(0.04%) 등은 상승, 전남(0.00%)은 보합, 세종(-0.13%), 대구(-0.08%), 울산(-0.04%)은 하락했다.
-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02→68개) 및 보합 지역(20→19개)은 감소, 하락 지역(54→89개)은 증가
□ [수도권 : -0.02%] 서울 0.01% 하락, 인천 0.04% 하락, 경기 0.03% 하락
ㅇ [서울 : -0.01% → -0.01%] 25개구 중 19개구 하락, 6개구 보합
- 글로벌 통화긴축 예정에 따른 우려와 설 연휴를 앞두고 거래 감소하며 서울 대부분 지역(19개구)이 하락*했고, 상승세 지속되던 강남3구도 보합 전환되며, 서울 전체 2주 연속 하락
* 서울 25개구 中 상승 지역 없음
- (강북 14개구 : -0.02%) 성북구(-0.03%)는 길음ㆍ종암동 위주로 매물 적체되며 하락폭 확대됐고, 노원구(-0.03%)는 상계ㆍ중계동 대단지 위주로, 강북구(-0.02%)는 미아동 위주로 하락하며 강북 지역 전체 하락폭 확대(-0.01%→-0.02%)
- (강남 11개구 : 0.00%) 강남구(0.00%)는 일원ㆍ대치동 위주로 호가보다 낮은 급매물 거래되며, 서초(0.00%)ㆍ송파구(0.00%)는 일부 인기단지는 상승했으나, 그 외 단지는 하락하는 등 혼조세 보이며 보합세 나타냈고, 강동(-0.02%)ㆍ영등포(-0.01%)ㆍ강서구(-0.01%) 등은 급매물 위주로 간헐적 거래되며 하락
ㅇ [인천 : +0.02% → -0.04%] 8개구 중 7개구 하락, 1개구 상승
- 계양구(0.01%)는 중저가 수요 있는 작전동 역세권 일부 단지는 상승했으나, 대출규제 및 신규 입주물량 등으로 동구(-0.08%)는 송현동 구축 위주로, 미추홀구(-0.07%)는 용현ㆍ주안동 대단지 위주로, 중구(-0.07%)는 중산동 위주로 하락하며 인천 전체 하락 전환
ㅇ [경기 : 0.00% → -0.03%] 45개 시ㆍ구 중 18개 하락 전환, 8개 지역 하락폭 확대되며 경기 전체 하락 전환
- 이천시(0.16%)는 직주근접 수요 있는 대월면 위주로 상승했으나 상승폭은 축소됐고, 그 외 지역은 대체로 그간 상승폭 높았던 화성(-0.09%)ㆍ안양(-0.07%)ㆍ남양주시(-0.07%) 등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하며 경기 전체 하락 전환
* 인천 및 경기는 ’19년 8월 이후 약 2년 5개월 만에 하락 전환
□ [지방 : 0.02%] 5대광역시 0.01% 하락, 8개도 0.04% 상승, 세종 0.13% 하락
ㅇ [광주 : +0.09% → +0.08%] 광산구(0.14%)는 정주여건 양호한 하남ㆍ신창동 위주로, 북구(0.08%)는 우산ㆍ중흥동 위주로 상승세 보이나, 전반적으로 상승폭 소폭 축소
ㅇ [대구 : -0.08% → -0.08%] 입주물량 부담 등의 영향 있는 가운데 달서구(-0.15%)는 감삼ㆍ장기동 위주로, 동구(-0.07%)는 검사ㆍ방촌동 위주로 하락하며 8개구 중 4개구 하락폭 확대
ㅇ [세종 : -0.19% → -0.13%]
- 신규 입주물량, 거래활동 위축 등의 영향으로 하락세 지속
ㅇ [8개도 : +0.07% → +0.04%]
- (전북 : +0.07%) 전주 덕진구(0.10%)는 금암ㆍ진북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김제시(-0.05%)는 하락 전환하며 상승폭 축
승
< 지역별 2021년 11월 5주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 비교(전주 대비%) >
구 분 | 1.24(전기) | 1.31(당기) | 비 고 | |
1 | 전북 | 0.12 | 0.07 | 상승폭 축소 |
2 | 충남 | 0.07 | 0.06 | 상승폭 축소 |
3 | 강원 | 0.04 | 0.04 | 상승폭 유지 |
4 | 충북 | 0.09 | 0.04 | 상승폭 축소 |
5 | 경북 | 0.06 | 0.04 | 상승폭 축소 |
6 | 경남 | 0.08 | 0.04 | 상승폭 축소 |
7 | 제주 | 0.06 | 0.03 | 상승폭 축소 |
8 | 전남 | 0.00 | 0.00 | 보합 유지 |
전북(8개도 중 1위) | 1.24 | 1.31 | |
1 | 전북 전주시 덕진구 | 0.17 | 0.10 |
2 | 전북 남원시 | 0.16 | 0.10 |
3 | 전북 정읍시 | 0.09 | 0.08 |
4 | 전북 전주시 완산구 | 0.09 | 0.07 |
5 | 전북 익산시 | 0.10 | 0.06 |
6 | 전북 군산시 | 0.13 | 0.05 |
7 | 전북 김제시 | 0.09 | -0.05 |
전남(8개도 중 8위) | 1.24 | 1.31 | |
1 | 전남 나주시 | 0.11 | 0.14 |
2 | 전남 목포시 | 0.04 | 0.04 |
3 | 전남 무안군 | 0.01 | 0.04 |
4 | 전남 여수시 | -0.01 | -0.01 |
5 | 전남 광양시 | -0.04 | -0.03 |
6 | 전남 순천시 | -0.03 | -0.07 |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 [전국 : 0.00%]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1%) 대비 보합 전환됐다. 수도권(-0.02%→-0.02%)은 하락폭 유지, 서울(0.00%→-0.02%)은 하락 전환, 지방(0.04%→0.02%)은 상승폭 축소(5대광역시(0.00%→0.00%), 8개도(0.09%→0.05%), 세종(-0.30%→-0.26%))됐다.
ㅇ 시도별로는 광주(0.07%), 충북(0.06%), 경북(0.06%), 경남(0.06%), 강원(0.05%)등은 상승, 울산(0.00%)은 보합, 세종(-0.26%), 대구(-0.09%), 대전(-0.04%)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07→75개)은 감소, 보합 지역(23→38개) 및 하락 지역(46→63개)은
감소
□ [수도권 : -0.02%] 서울 0.02% 하락, 인천 0.04% 하락, 경기 0.02% 하락
ㅇ [서울 : 0.00% → -0.02%] 25개구 중 18개구 하락, 4개구 보합
- 설 연휴에 따른 거래 감소와 금리인상 부담*, 계절적 비수기 영향 등으로 수요 감소한 가운데, 구축 위주로 매물 누적되고 가격 하락하며 ’19년 6월 이후 약 2년 8개월 만에 하락 전환
* ’22.2.3일 기준 시중은행 전세자금 대출 금리 : 3.45%∼4.95%, 금융감독원
- (강북 14개구 : -0.02%) 강북구(0.01%)는 미아동 소형 위주로 상승했으나, 그 외 지역은 대체로 매물 누적된 가운데 성북구(-0.04%)는 길음뉴타운 대단지 위주로, 노원구(-0.04%)는 상계ㆍ하계동 구축 위주로 하락세 지속되며 강북 전체 하락폭 확대
- (강남 11개구 : -0.01%) 서초구(0.00%)는 대체로 혼조세 보이며 보합 전환 됐으나, 송파구(-0.03%)는 가락ㆍ장지동 대단지 위주로, 동작구(-0.03%)는 사당ㆍ흑석동 위주로, 강남구(-0.01%)는 개포ㆍ수서동 구축 위주로 하락
ㅇ [인천 : -0.06% → -0.04%]
- 미추홀구(0.04%)는 정비사업 이주수요 있는 일부 지역 위주로 상승했으나, 계양구(0.00%)는 설 연휴 등으로 거래 감소하며 보합 전환 됐고, 서구(-0.17%)는 신규 입주물량 영향 있는 가정ㆍ청라동 위주로, 연수구(-0.10%)는 연수ㆍ동춘동 구축 위주로 하락
ㅇ [경기 : -0.02% → -0.02%]
- 이천시(0.21%)는 근로자 수요 있는 부발읍 위주로, 파주시(0.11%)는 금촌동ㆍ문산읍 중저가 위주로 상승했으나, 안산ㆍ광주ㆍ포천시(0.00%)는 단지별로 혼조세 보이며 보합 전환 됐고, 안양 동안구(-0.16%)ㆍ군포시(-0.13%)ㆍ수원 영통구(-0.09%) 등은 인근지역 입주물량 증가* 영향 등으로 하락세 지속
* 평촌자이아이파크 2,637세대(’21.12월), 수원하늘채더퍼스트 3,236세대(‘21.12월) 등
□ [지방 : 0.02%] 5대광역시 0.00% 보합, 8개도 0.05% 상승, 세종 0.26% 하락
ㅇ [5대광역시 : 0.00% → 0.00%]
- (광주 : 0.07%) 광산구(0.17%)는 월계ㆍ운남동 중소형 평형 위주로 매매가격 상승과 동반하여, 남구(0.06%)는 학군수요 있는 봉선ㆍ진월동 위주로, 북구(0.05%)는 신안ㆍ동림동 중저가 위주로 상승
- (대구 : -0.09%) 달서구(-0.24%)는 본ㆍ대천동 구축 위주로, 동구(-0.09%)는 입주물량 영향 있는 신암ㆍ신천ㆍ봉무동 위주로, 중구(-0.08%)는 대신ㆍ남산동 위주로 하락
ㅇ [세종 : -0.30% → -0.26%]
- 전세 거래 감소 및 하락 거래 발생하며 하락세 지속
ㅇ [8개도 : +0.09% → +0.05%]
- (경북 : +0.06%) 구미시(0.11%)는 근로자 및 중저가 수요 있는 옥계동 구축 위주로, 경주시(0.10%)는 황성ㆍ용강동 위주로
< 지역별 2022년 2월 5주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 비교(전주 대비%) >
구 분 | 1.24(전기) | 1.31(당기) | 비 고 | |
1 | 충북 | 0.15 | 0.06 | 상승폭 축소 |
2 | 경북 | 0.06 | 0.06 | 상승폭 유지 |
3 | 경남 | 0.11 | 0.06 | 상승폭 축소 |
4 | 강원 | 0.11 | 0.05 | 상승폭 축소 |
5 | 충남 | 0.10 | 0.05 | 상승폭 축소 |
6 | 전북 | 0.07 | 0.05 | 상승폭 축소 |
7 | 제주 | 0.07 | 0.04 | 상승폭 축소 |
8 | 전남 | 0.02 | 0.01 | 상승폭 축소 |
충북(8개도 중 1위) | 1.24 | 1.31 | |
1 | 충북 제천시 | 0.32 | 0.16 |
2 | 충북 충주시 | 0.37 | 0.15 |
3 | 충북 청주시 상당구 | 0.10 | 0.06 |
4 | 충북 청주시 흥덕구 | 0.02 | 0.04 |
5 | 충북 청주시 서원구 | 0.10 | 0.01 |
6 | 충북 청주시 청원구 | 0.11 | 0.01 |
7 | 충북 음성군 | 0.09 | 0.00 |
전남(8개도 중 8위) | 1.24 | 1.31 | |
1 | 전남 나주시 | 0.14 | 0.15 |
2 | 전남 무안군 | 0.04 | 0.07 |
3 | 전남 목포시 | 0.02 | 0.04 |
4 | 전남 순천시 | 0.04 | 0.00 |
5 | 전남 광양시 | -0.02 | -0.01 |
6 | 전남 여수시 | -0.04 | -0.04 |
※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쉬운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감정원” 검색 후 설치
붙임 1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붙임 2 : 규제지역 주간 아파트 변동률 통계표
붙임 3 :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 붙임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자료출처 : 한국감정원(http://www.reb.go.kr) |
'부동산 지식 창고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감정원 2022년 2월 3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 (0) | 2022.02.25 |
---|---|
한국부동산원 2022년 2월 1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2022. 02. 10) (0) | 2022.02.10 |
[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조사:2022년 1월 4주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2022. 1. 27.) (0) | 2022.01.29 |
[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조사:2022년 1월 3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2022. 1. 20.) (0) | 2022.01.22 |
[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조사:2022년 1월 2주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2022. 1. 13.) (0) | 2022.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