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2. 25. 19:51ㆍ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 한국감정원 보도자료 ]
|
□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이 2022년 2월 3주(2.2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1% 하락, 전세가격은 0.01% 하락을 기록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 [전국 : -0.01%]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0%) 보합에서 하락 전환*됐다. 수도권(-0.02%→-0.02%) 및 서울(-0.02%→-0.02%)은 하락폭 유지, 지방(0.01%→0.00%)은 보합 전환(5대광역시(-0.02%→-0.03%), 8개도(0.05%→0.04%), 세종(-0.13%→-0.24%))됐다.
* '19.9.2주 하락 이후 128주(약 2년 5개월)만에 하락 전환
ㅇ 시도별로는 경남(0.08%), 광주(0.07%), 강원(0.05%) 등은 상승, 부산(0.00%)은 보합, 세종(-0.24%), 대구(-0.13%), 대전(-0.05%), 경기(-0.03%), 전남(-0.02%), 인천(-0.02%), 서울(-0.02%), 울산(-0.01%)은 하락했다.
-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67→66개)은 감소, 보합 지역(15→17개)은 증가, 하락 지역(94→93개)은 감소
□ [수도권 : -0.02%] 서울 0.02% 하락, 인천 0.02% 하락, 경기 0.03% 하락
ㅇ [서울 : -0.02% → -0.02%]
- 시장불확실성, 전세가격 하락 등 다양한 하방요인에 따른 매수심리 위축으로 관망세 지속되는 가운데, 대체로 가격 조정된 급매물 위주로 거래되며 지난주 하락폭 유지
- (강북 14개구 : -0.03%) 성북구(-0.09%)는 길음뉴타운과 정릉동 위주로 가격 조정된 하락거래 발생하며, 서대문구(-0.08%)는 매수세 끊기고 매물 적체되며, 은평구(-0.07%)는 응암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
- (강남 11개구 : -0.01%) 강동구(-0.03%)는 상일ㆍ명일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폭 확대됐고, 송파구(-0.02%)는 잠실ㆍ신천동 인기 단지 위주로 하락거래 발생하며, 강남구(-0.01%)는 도곡ㆍ압구정동 재건축이나 중대형은 상승했으나, 중소형 위주로 하락. 서초구(-0.01%)는 반포동 일부 신축은 상승했으나, 그 외 단지는 약보합세 보이며 하락 전환
ㅇ [인천 : -0.01% → -0.02%]
- 중구(0.00%)ㆍ연수구(0.00%)는 대체로 관망세 보이며 보합 전환. 서구(-0.05%)는 경서ㆍ청라동 주요 단지 위주로, 동구(-0.02%)는 만석동 위주로 거래심리 위축되며, 계양구(-0.02%)는 병방ㆍ효성동 구축 위주로 하락하며 인천 전체 하락세 지속
ㅇ [경기 : -0.02% → -0.03%]
- 이천시(0.21%)는 창전ㆍ갈산동 구축 위주로, 파주시(0.07%)는 재개발정비사업 이주수요 영향 있는 아동동ㆍ금촌동ㆍ조리읍 위주로 상승하였으나, 시흥시(-0.15%) 등 9개 시ㆍ구에서 매물 누적되며 하락폭 확대되는 등 전반적으로 매수세 감소하며 경기 전체 하락세 지속
□ [지방 : 0.00%] 5대광역시 0.03% 하락, 8개도 0.04% 상승, 세종 0.24% 하락
ㅇ [5대광역시 : -0.02% → -0.03%]
- (광주 : +0.05% → +0.07%) 광산구(0.11%)는 첨단지구 주요 단지 위주로, 북구(0.09%)는 교통환경 개선 기대감 있는 지역 위주로, 남구(0.06%)는 학군수요 있는 백운ㆍ봉선동 위주로 상승
- (대구 : -0.09% → -0.13%) 매물적체 현상 지속되는 가운데, 달서구(-0.24%)는 본ㆍ성당동 위주로, 동구(-0.16%)는 율하동 위주로 하락하는 등 대구 8개구 중 5개구에서 하락폭 확대
ㅇ [세종 : -0.13% → -0.24%]
- 신규 입주물량, 거래활동 위축 등의 영향으로 하락세 지속
ㅇ [8개도 : +0.05% → +0.04%]
- (전남 : 0.00% → -0.02%) 광양시(-0.09%)는 중ㆍ마동 위주로, 순천시(-0.04%)는 가곡동 위주로 하락하며 전남지역 하락 전환
< 지역별 2022년 2월 3주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 비교(전주 대비%) >
구 분 | 2.14(전기) | 2.21(당기) | 비 고 | |
1 | 경남 | 0.09 | 0.08 | 상승폭 축소 |
2 | 강원 | 0.08 | 0.05 | 상승폭 축소 |
3 | 전북 | 0.07 | 0.05 | 상승폭 축소 |
4 | 제주 | 0.04 | 0.05 | 상승폭 확대 |
5 | 충북 | 0.05 | 0.04 | 상승폭 축소 |
6 | 경북 | 0.03 | 0.03 | 상승폭 유지 |
7 | 충남 | 0.01 | 0.01 | 상승폭 유지 |
8 | 전남 | 0.00 | -0.02 | 보합에서 하락 전환 |
경남(8개도 중 1위) | 2.14 | 2.21 | |
1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 0.22 | 0.19 |
2 | 경남 진주시 | 0.17 | 0.17 |
3 | 경남 창원시 성산구 | 0.16 | 0.15 |
4 |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 0.18 | 0.14 |
5 | 경남 창원시 의창구 | 0.10 | 0.09 |
6 | 경남 창원시 진해구 | 0.09 | 0.09 |
7 | 경남 거제시 | 0.05 | 0.05 |
8 | 경남 사천시 | 0.03 | 0.04 |
9 | 경남 양산시 | 0.05 | 0.04 |
10 | 경남 통영시 | 0.03 | 0.02 |
11 | 경남 밀양시 | 0.00 | 0.01 |
12 | 경남 김해시 | 0.00 | -0.01 |
전남(8개도 중 8위) | 2.14 | 2.21 | |
1 | 전남 나주시 | 0.11 | 0.08 |
2 | 전남 목포시 | 0.03 | 0.02 |
3 | 전남 무안군 | -0.03 | 0.00 |
4 | 전남 여수시 | -0.07 | -0.03 |
5 | 전남 순천시 | 0.03 | -0.04 |
6 | 전남 광양시 | -0.08 | -0.09 |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 [전국 : -0.01%]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1%) 하락폭을 유지했다. 수도권(-0.04%→-0.05%)은 하락폭 확대, 서울(-0.03%→-0.03%)은 하락폭 유지, 지방(0.02%→0.02%)은 상승폭 유지(5대광역시(-0.01%→-0.01%), 8개도(0.06%→0.06%), 세종(-0.20%→-0.30%))됐다.
ㅇ 시도별로는 충북(0.10%), 경남(0.08%), 울산(0.07%), 광주(0.06%) 등은 상승, 전남(0.00%)은 보합, 세종(-0.30%), 인천(-0.12%), 대전(-0.09%), 대구(-0.09%), 경기(-0.04%), 서울(-0.03%)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83→79개) 및 보합 지역(24→21개)은 감소, 하락 지역(69→76개)은 증가
□ [수도권 : -0.05%] 서울 0.03% 하락, 인천 0.12% 하락, 경기 0.04% 하락
ㅇ [서울 : -0.03% → -0.03%]
- 전세대출금리 부담 및 방학 이사수요 마무리 등으로 전세문의 감소하고 하락세 지속되는 가운데, 신규 입주물량 영향 있는 지역이나 고가 단지 위주로 하락
- (강북 14개구 : -0.03%) 서대문구(-0.11%)는 홍제동 구축 위주로, 성북구(-0.08%)는 길음동 신규 입주물량 영향 등으로 하락폭 확대됐고, 도봉(-0.01%)ㆍ중랑구(-0.01%)는 창ㆍ신내동 매물적체 영향 등으로 하락 전환되며 강북 전체 하락폭 확대
- (강남 11개구 : -0.03%) 강남구(-0.05%)는 대치ㆍ역삼동 고가 단지 또는 재건축 위주로, 서초구(-0.03%)는 잠원ㆍ반포동 구축 위주로, 강동구(-0.03%)는 둔촌ㆍ암사동 대단지 위주로, 송파구(-0.02%)는 장지동 (준)신축과 풍납ㆍ가락동 구축 위주로 매물 적체되며 하락세 지속. 양천구(-0.07%)는 목동신시가지 위주로, 강서구(-0.04%)는 등촌ㆍ화곡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
ㅇ [인천 : -0.06% → -0.12%]
- 대체로 신규 입주물량 영향 지속되는 가운데, 연수구(-0.38%)는 송도신도시 내 신축 위주로, 서구(-0.30%)는 매물 적체되며 지난주 대비 하락폭 확대
ㅇ [경기 : -0.04% → -0.04%]
- 이천시(0.27%)는 정주환경 양호한 부발읍 및 증포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그 외 지역은 전반적으로 매물적체 현상 지속되는 가운데 의왕시(-0.26%)는 내손동 중소형 위주로, 안양 동안구(-0.18%)는 평촌ㆍ호계동 위주로, 화성시(-0.17%)는 장지ㆍ청계동 신축 위주로 하락폭 확대되며 경기 전체 하락세 지속
□ [지방 : 0.02%] 5대광역시 0.01% 하락, 8개도 0.06% 상승, 세종 0.30% 하락
ㅇ [5대광역시 : -0.01% → -0.01%]
- (울산 : -0.01% → +0.07%) 남구(0.15%)는 정주여건 양호한 야음ㆍ삼산동 위주로, 울주군(0.15%)은 범서읍 등 도심 접근성 양호한 일부 단지 위주로, 중구(0.01%)는 약사ㆍ반구동 중소형 위주로 상승하며 울산 전체 하락에서 상승 전환
- (대전 : -0.05% → -0.09%) 서구(-0.15%)는 매물적체 영향으로 도안ㆍ관저동 대단지 위주로, 유성구(-0.10%)는 죽ㆍ원신흥동 위주로 매매가격과 동반하여 하락하며 대전 전체 하락폭 확대
ㅇ [세종 : -0.20% → -0.30%]
- 전세매물 누적 및 거래심리 위축되며 하락폭 확대
ㅇ [8개도 : +0.06% → +0.06%]
- (충북 : +0.06% → +0.10%) 충주시(0.22%)는 연수ㆍ칠금동 중저가 위주로, 청주 상당구(0.15%)는 용암ㆍ금천동 구축 위주로 상승
< 지역별 2022년 2월 3주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 비교(전주 대비%) >
구 분 | 2.14(전기) | 2.21(당기) | 비 고 | |
1 | 충북 | 0.06 | 0.10 | 상승폭 확대 |
2 | 경남 | 0.09 | 0.08 | 상승폭 축소 |
3 | 충남 | 0.06 | 0.06 | 상승폭 유지 |
4 | 경북 | 0.06 | 0.05 | 상승폭 축소 |
5 | 전북 | 0.04 | 0.04 | 상승폭 유지 |
6 | 강원 | 0.06 | 0.03 | 상승폭 축소 |
7 | 제주 | 0.04 | 0.03 | 상승폭 축소 |
8 | 전남 | 0.03 | 0.00 | 상승에서 보합 전환 |
충북(8개도 중 1위) | 2.14 | 2.21 | |
1 | 충북 충주시 | 0.07 | 0.22 |
2 | 충북 청주시 상당구 | 0.05 | 0.15 |
3 | 충북 음성군 | 0.00 | 0.10 |
4 | 충북 청주시 서원구 | 0.05 | 0.09 |
5 | 충북 청주시 청원구 | 0.12 | 0.07 |
6 | 충북 제천시 | 0.07 | 0.07 |
7 | 충북 청주시 흥덕구 | 0.03 | 0.04 |
전남(8개도 중 8위) | 2.14 | 2.21 | |
1 | 전남 순천시 | 0.08 | 0.06 |
2 | 전남 무안군 | 0.05 | 0.06 |
3 | 전남 목포시 | 0.02 | 0.02 |
4 | 전남 나주시 | 0.16 | 0.02 |
5 | 전남 광양시 | 0.01 | -0.04 |
6 | 전남 여수시 | -0.05 | -0.09 |
※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쉬운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감정원” 검색 후 설치
붙임 1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붙임 2 : 규제지역 주간 아파트 변동률 통계표
붙임 3 :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 붙임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자료출처 : 한국감정원(http://www.reb.go.kr) |
'부동산 지식 창고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조사:2024년 1월 4주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2024. 1. 25.) (0) | 2024.01.25 |
---|---|
[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조사:2024년 1월 2주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2024. 1. 11.) (0) | 2024.01.11 |
한국부동산원 2022년 2월 1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2022. 02. 10) (0) | 2022.02.10 |
한국 부동산원 2022년 1월 5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2022. 02. 04.) (0) | 2022.02.05 |
[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조사:2022년 1월 4주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2022. 1. 27.) (0) | 2022.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