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 11. 15:03ㆍ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 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
|
□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이 2024년 1월 2주(1.8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5% 하락, 전세가격은 0.03% 상승을 기록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 [전국 : -0.05%]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5%) 대비 하락폭 유지됐다. 수도권(-0.06%→-0.06%), 서울(-0.04%→-0.04%) 및 지방(-0.04%→-0.04%)은 모두 하락폭 유지됐다. (5대광역시(-0.05%→-0.05%), 세종(-0.03%→-0.09%), 8개도(-0.03%→-0.02%))
ㅇ 시도별로는 대구(-0.10%), 세종(-0.09%), 부산(-0.07%), 경기(-0.07%), 제주(-0.05%), 경남(-0.05%), 인천(-0.04%) 등은 하락, 충북(0.00%), 충남(0.00%)은 보합, 대전(0.01%)은 상승했다.
-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23→25개)은 증가, 보합 지역(12→8개)은 감소, 하락 지역(141→145개)은 증가
□ [수도권 : -0.06%] 서울 0.04% 하락, 인천 0.04% 하락, 경기 0.07% 하락
ㅇ [서울 : -0.04% → -0.04%]
- 불확실한 금융상황 및 부동산 경기 위축 우려로 매수관망세가 길어지는 가운데 매물가격 하향조정이 점진적으로 진행중이고 일부 선호단지에서도 급매물 거래 나타나는 등 하락세 지속
- (강북 14개구 : -0.04%) 노원구(-0.07%)는 상계‧하계‧공릉동 위주로, 강북구(-0.06%)는 미아동 주요 대단지 위주로, 도봉구(-0.04%)는 쌍문‧창‧도봉동 위주로, 서대문구(-0.04%)는 홍은‧북아현동 위주로 매도희망가격 하락하며 하락세 지속
- (강남 11개구 : -0.04%) 송파구(-0.11%)는 문정‧잠실동 구축 대단지 위주로, 동작구(-0.07%)는 상도‧사당‧대방동 위주로, 구로구(-0.06%)는 구로‧항동 위주로, 강서구(-0.05%)는 염창‧방화‧등촌동 주요단지 위주로 매물 적체되는 등 하락기조 유지
ㅇ [인천 : -0.03% → -0.04%]
- 거래 관망세 속 매수문의 감소로 미추홀구(-0.10%)는 용현·주안·학익동 구축 위주로, 남동구(-0.05%)는 논현·서창동 위주로, 연수구(-0.04%)는 선학·청학동 위주로, 부평구(-0.04%)는 산곡·삼산동 위주로 하락하는 등 중구(0.00%)를 제외한 인천 전체 하락기조 유지
ㅇ [경기 : -0.07% → -0.07%]
- 과천시(0.06%)는 재건축 이슈지역 위주로 저가매물 소진되며 상승했으나, 오산시(-0.22%)는 지곶‧원동 주요단지 위주로, 광주시(-0.17%)는 입주물량 영향 있는 신현‧양벌동 위주로, 성남 분당구(-0.17%)는 야탑‧이매‧금곡동 위주로, 성남 중원구(-0.16%)는 상대원‧성남동 원도심 위주로, 고양 일산서구(-0.14%)는 가좌‧주엽‧탄현동 위주로 하락
□ [지방 : -0.04%] 5대광역시 0.05% 하락, 세종 0.09% 하락, 8개도 0.02% 하락
ㅇ [5대광역시 : -0.05% → -0.05%]
- (대구 : -0.07% → -0.10%) 서구(-0.25%)는 중리·내당동 위주로, 중구(-0.17%)는 대봉·남산동 준신축 위주로, 달서구(-0.13%)는 이곡·상인동 구축 및 대단지 위주로 하락
- (부산 : -0.06% → -0.07%) 동구(-0.14%)는 수정·좌천동 구축 위주로, 수영구(-0.13%)는 거래량 감소 지속되며 망미·광안동 위주로, 부산진구(-0.12%)는 범전·개금동 위주로 하락
ㅇ [세종 : -0.02% → -0.09%]
- 고운·나성·아름동 위주로 매매수요 감소하며 하락
ㅇ [8개도 : -0.03% → -0.02%]
- (제주 : -0.03% → -0.05%) 제주시(-0.05%)는 이도이·노형동 위주로, 서귀포시(-0.02%)는 동홍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하락
< 지역별 2024년 1월 2주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 비교(전주 대비%) >
구 분 | ‘24.1.1(전기) | 1.8(당기) | 비 고 | |
1 | 충북 | -0.03 | 0.00 | 하락에서 보합 전환 |
2 | 충남 | -0.03 | 0.00 | 하락에서 보합 전환 |
3 | 강원 | -0.01 | -0.01 | 하락폭 유지 |
4 | 전북 | -0.01 | -0.01 | 하락폭 유지 |
5 | 경북 | -0.03 | -0.02 | 하락폭 축소 |
6 | 전남 | -0.05 | -0.03 | 하락폭 축소 |
7 | 경남 | -0.04 | -0.05 | 하락폭 확대 |
8 | 제주 | -0.03 | -0.05 | 하락폭 확대 |
충북(8개도 중 1위) | ‘24.1.1 | 1.8 | |
1 | 충북 청주시 청원구 | -0.02 | 0.03 |
2 | 충북 충주시 | -0.01 | 0.02 |
3 | 충북 청주시 상당구 | -0.03 | 0.02 |
4 | 충북 청주시 서원구 | -0.02 | 0.02 |
5 | 충북 청주시 흥덕구 | -0.09 | -0.01 |
6 | 충북 제천시 | 0.01 | -0.05 |
7 | 충북 음성군 | -0.03 | -0.10 |
제주(8개도 중 8위) | ‘24.1.1 | 1.8 | |
1 | 제주 서귀포시 | -0.02 | -0.02 |
2 | 제주 제주시 | -0.03 | -0.05 |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 [전국 : 0.03%]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3%) 대비 상승폭 유지됐다. 수도권(0.06%→0.05%)은 상승폭 축소, 서울(0.07%→0.08%)은 상승폭 확대, 지방(0.00%→0.00%)은 보합 유지됐다. (5대광역시(0.00%→-0.01%), 세종(-0.02%→0.04%), 8개도(0.00%→0.01%))
ㅇ 시도별로는 대전(0.10%), 전북(0.07%), 충북(0.06%), 경기(0.05%), 울산(0.02%) 등은 상승, 대구(-0.04%), 부산(-0.04%), 경북(-0.03%), 제주(-0.02%), 경남(-0.01%) 등은 하락했다.
-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98→100개)은 증가, 보합 지역(15→10개)은 감소, 하락 지역(63→68개)은 증가
□ [수도권 : 0.05%] 서울 0.08% 상승, 인천 0.01% 상승, 경기 0.05% 상승
ㅇ [서울 : 0.07% → 0.08%]
- 계절적 영향과 연휴 등으로 전세문의 감소하면서 지역‧단지별 등락이 혼재되어 나타나나, 역세권 인근 단지 등 선호도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매물부족 현상 지속되며 상승세 유지
- (강북 14개구 : 0.10%) 노원구(0.16%)는 상계‧월계동 주요단지 위주로, 은평구(0.16%)는 응암‧녹번동 주요단지 위주로, 동대문구(0.15%)는 전농‧휘경‧답십리동 위주로, 중랑구(0.11%)는 면목‧묵동 위주로, 도봉구(0.10%)는 창‧방학‧쌍문동 위주로 상승
- (강남 11개구 : 0.07%) 구로구(0.20%)는 구로‧고척‧개봉동 위주로, 영등포구(0.11%)는 양평‧당산‧문래동 위주로, 강서구(0.09%)는 화곡‧가양동 주요단지 위주로, 강남구(0.06%)는 압구정‧개포동 위주로, 동작구(0.06%)는 사당‧신대방동 위주로 상승
ㅇ [인천 : 0.01% → 0.01%]
- 서구(0.12%)는 정주여건 양호한 가정·청라·검암동 신도심 위주로, 부평구(0.01%)는 십정·청천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미추홀구(-0.06%)는 용현·관교동 위주로, 동구는(-0.04%)는 송림·송현동 위주로, 남동구(-0.03%)는 논현·간석동 위주로 하락하는 등 신도심 내 신축아파트 선호현상에 따라 지역별 상승과 하락의 혼조세를 보이고 있음
ㅇ [경기 : 0.05% → 0.05%]
- 고양 덕양구(0.24%)는 도내·동산동 준신축 대단지 위주로, 수원 팔달구(0.23%)는 우만·화서동 주요단지 위주로, 화성시(0.23%)는 영천·반송동 동탄신도시 위주로, 수원 영통구(0.22%)는 정주여건 양호한 망포·영통동 위주로, 구리시(0.22%)는 수택·인창동 주요단지 위주로, 고양 일산서구(0.20%)는 주엽·덕이동 소형 규모 위주로 상승
□ [지방 : 0.00%] 5대광역시 0.01% 하락, 세종 0.04% 하락, 8개도 0.01% 상승
ㅇ [5대광역시 : 0.00% → -0.01%]
- (대구 : -0.03% → -0.04%) 수성구(-0.07%)는 시지·신매동 구축 위주로, 달성군(-0.05%)은 현풍·유가읍 위주로, 남구(-0.05%)는 이천·봉덕동 중대형 규모 위주로 하락
- (부산 : -0.03% → -0.04%) 북구(-0.13%)는 덕천·만덕·화명동 구축 위주로, 영도구(-0.10%)는 동삼·영선동 소형 규모 위주로, 동래구(-0.09%)는 안락·수안·명륜동 위주로 하락
ㅇ [세종 : -0.02% → 0.04%]
- 어진·새롬·고운동 위주로 상승하며 하락에서 상승 전환
ㅇ [8개도 : 0.00% → 0.01%]
- (전북 : 0.05% → 0.07%) 전주 덕진구(0.14%)는 덕진·송천동 위주로, 전주 완산구(0.11%)는 중화산·효자동 위주로 상승
< 지역별 2024년 1월 2주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 비교(전주 대비%) >
구 분 | ‘24.1.1(전기) | 1.8(당기) | 비 고 | |
1 | 전북 | 0.05 | 0.07 | 상승폭 확대 |
2 | 충북 | 0.06 | 0.06 | 상승폭 유지 |
3 | 강원 | -0.01 | 0.01 | 하락에서 상승 전환 |
4 | 충남 | 0.02 | -0.01 | 상승에서 하락 전환 |
5 | 전남 | -0.03 | -0.01 | 하락폭 축소 |
6 | 경남 | -0.01 | -0.01 | 하락폭 유지 |
7 | 제주 | -0.02 | -0.02 | 하락폭 유지 |
8 | 경북 | -0.04 | -0.03 | 하락폭 축소 |
전북(8개도 중 1위) | ‘24.1.1 | 1.8 | |
1 | 전북 전주시 덕진구 | 0.11 | 0.14 |
2 | 전북 전주시 완산구 | 0.09 | 0.11 |
3 | 전북 김제시 | 0.01 | 0.07 |
4 | 전북 정읍시 | 0.08 | 0.06 |
5 | 전북 익산시 | -0.02 | 0.00 |
6 | 전북 군산시 | 0.00 | -0.01 |
7 | 전북 남원시 | 0.00 | -0.01 |
경북(8개도 중 8위) | ‘24.1.1 | 1.8 | |
1 | 경북 포항시 남구 | 0.02 | 0.11 |
2 | 경북 상주시 | 0.03 | 0.09 |
3 | 경북 경주시 | 0.00 | 0.04 |
4 | 경북 김천시 | -0.02 | 0.03 |
5 | 경북 문경시 | 0.04 | 0.03 |
6 | 경북 영주시 | 0.03 | 0.02 |
7 | 경북 영천시 | 0.02 | 0.01 |
8 | 경북 칠곡군 | 0.00 | 0.01 |
9 | 경북 안동시 | -0.01 | 0.00 |
10 | 경북 포항시 북구 | -0.06 | -0.01 |
11 | 경북 구미시 | -0.07 | -0.10 |
12 | 경북 경산시 | -0.13 | -0.14 |
※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쉬운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감정원” 검색 후 설치
붙임 1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붙임 2 : 규제지역 주간 아파트 변동률 통계표
붙임 3 :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 붙임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자료출처 : 한국부동산원(http://www.reb.or.kr) |
'부동산 지식 창고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조사:2024년 4월 5주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2024. 5. 2.) (0) | 2024.05.02 |
---|---|
[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조사:2024년 1월 4주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2024. 1. 25.) (0) | 2024.01.25 |
한국감정원 2022년 2월 3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 (0) | 2022.02.25 |
한국부동산원 2022년 2월 1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2022. 02. 10) (0) | 2022.02.10 |
한국 부동산원 2022년 1월 5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2022. 02. 04.) (0) | 2022.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