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 2022년 1월 주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2022. 01. 06.)

2022. 1. 10. 16:57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 한국감정원 보도자료 ]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2022년 1월 1주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매매가격 0.03% 상승, 전세가격 0.04% 상승
2022. 1. 6.(목요일)

 

□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이 2022년 1월 1주(1.3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3% 상승, 전세가격은 0.04% 상승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 [전국 : 0.03%]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 축소됐다. 수도권(0.04%→0.03%) 및 서울(0.04%→0.03%), 지방(0.05%→0.03%)은 상승폭 축소(5대광역시(0.02%→0.01%), 8개도(0.10%→0.06%), 세종(-0.63%→-0.41%))됐다.

 

ㅇ 시도별로는 광주(0.10%), 전북(0.09%), 강원(0.08%), 경북(0.08%), 제주(0.08%), 인천(0.07%), 충남(0.07%) 등은 상승, 전남(0.00%)은 보합, 세종(-0.41%), 대전(-0.06%), 대구(-0.05%)는 하락했다.

 

-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36→122개)은 감소, 보합 지역(10→19개) 및 하락 지역(30→35개)은 증가

 

 

□ [수도권 : 0.03%] 서울 0.03% 상승, 인천 0.07% 상승, 경기 0.02% 상승

 

ㅇ [서울 : +0.04% → +0.03%] 4개구 보합 전환, 3개구 하락

- 매수심리와 거래활동 위축세 지속되며 급매물 위주로 간헐적 거래되는 가운데, 호가 유지하던 강남권도 하락 실거래 증가하며 상승폭 축소

 

- (강북 14개구 : +0.01%) 호가 하락하고 급매물 출현하며 강북(-0.01%)ㆍ도봉(-0.01%)ㆍ은평구(-0.01%)는 하락했고, 동대문(0.00%)ㆍ성동(0.00%)ㆍ광진(0.00%)ㆍ성북구(0.00%)는 보합 전환

 

- (강남 11개구 : +0.04%) 서초구(0.07%)는 구축 대단지 위주로, 강남구(0.05%)는 상대적 저평가 인식 있는 중대형이나 진척 기대감(신통기획 등) 있는 재건축 위주로, 송파구(0.03%)는 인기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상승폭은 축소. 관악(0.00%)ㆍ금천구(0.00%)는 보합 유지

 

ㅇ [인천 : +0.09% → +0.07%] 8개구 중 5개구 상승폭 축소

 

- 계양구(0.17%)는 정주여건 양호한 작전ㆍ효성동 중저가 위주로, 미추홀구(0.11%)는 용현ㆍ학익동 주요 단지 위주로, 부평구(0.10%)는 교통환경 양호한 갈산ㆍ청천동 역세권 구축이나 중저가 위주로, 동구(0.06%)는 저가인식 있는 만석ㆍ화수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대체로 관망세 지속되며 지난주 대비 상승폭 축소

 

ㅇ [경기 : +0.04% → +0.02%] 45개 시군구 중 25개 상승폭 축소 수원 팔달(0.00%)ㆍ고양 일산서구(0.00%) 보합 전환, 의정부(-0.02%)ㆍ하남시(-0.07%) 하락 전환

 

- 전반적으로 상승폭 축소 분위기 지속되는 가운데, 수원 팔달(0.00%)ㆍ고양 일산서구(0.00%)는 관망세 보이며 보합 전환, 하남시(-0.07%)는 감이ㆍ신장동 위주로, 의정부시(-0.02%)는 민락ㆍ낙양동 위주로 급매물 거래 발생하며 하락 전환

□ [지방 : 0.03%] 5대광역시 0.01% 상승, 8개도 0.06% 상승, 세종 0.41% 하락

 

ㅇ [광주 : +0.12% → +0.10%] 광산구(0.13%)는 우산ㆍ월계동 구축 중소형 위주로, 서구(0.10%)는 주거환경 양호한 쌍촌ㆍ화정동 위주로, 북구(0.09%)는 삼각ㆍ신용동 대단지 위주로 상승

 

ㅇ [대전 : 0.00% → -0.06%] 5개구 중 3개구 하락, 1개구 보합

- 동구(0.06%)는 용운ㆍ용전동 중소형 위주로 상승했으나, 서구(-0.16%)는 둔산지구 위주로, 유성구(-0.05%)는 봉명ㆍ상대동 위주로 하락폭 확대

 

ㅇ [세종 : -0.63% → -0.41%]

 

- 매물 적체, 매수심리 위축 등 영향으로 하락세 지속

 

ㅇ [8개도 : +0.10% → +0.06%]

 

- (전북 : +0.09%) 정읍시(0.23%)는 학군 양호한 상ㆍ수성동 위주로, 군산시(0.17%)는 나운동 구축 위주로 상승

 

< 지역별 2022년 1월 1주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 비교(전주 대비%) >

구 분 12.27(전기) ‘22.1.3(당기) 비 고
1 전북 0.10 0.09 상승폭 축소
2 강원 0.08 0.08 상승폭 유지
3 경북 0.09 0.08 상승폭 축소
4 제주 0.08 0.08 상승폭 유지
5 충남 0.12 0.07 상승폭 축소
6 경남 0.12 0.06 상승폭 축소
7 충북 0.10 0.03 상승폭 축소
8 전남 0.03 0.00 상승에서 보합 전환

전북(8개도 중 1위) 12.27 ‘22.1.3
1 전북 정읍시 0.15 0.23
2 전북 군산시 0.01 0.17
3 전북 전주시 덕진구 0.14 0.11
4 전북 남원시 0.09 0.10
5 전북 익산시 0.11 0.06
6 전북 김제시 0.07 0.02
7 전북 전주시 완산구 0.11 0.01

전남(8개도 중 8위) 12.27 ‘22.1.3
1 전남 나주시 0.14 0.16
2 전남 무안군 0.10 0.13
3 전남 목포시 0.02 0.03
4 전남 순천시 0.04 -0.03
5 전남 여수시 -0.01 -0.04
6 전남 광양시 -0.01 -0.06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 [전국 : +0.04%]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 축소됐다. 수도권(0.03%→0.02%) 및 서울(0.04%→0.02%), 지방(0.07%→0.06%)은 상승폭 축소(5대광역시(0.04%→0.04%), 8개도(0.11%→0.09%), 세종(-0.39%→-0.33%))됐다.

 

ㅇ 시도별로는 울산(0.16%), 충북(0.14%), 경북(0.11%), 제주(0.11%), 전북(0.10%), 광주(0.09%), 경남(0.09%), 충남(0.07%), 강원(0.06%) 등은 상승, 세종(-0.33%), 대전(-0.05%), 대구(-0.02%)는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42→129개)은 감소, 보합 지역(11→22개) 및 하락 지역(23→25개)은 증가

 

 

□ [수도권 : 0.02%] 서울 0.02% 상승, 인천 0.04% 상승, 경기 0.01% 상승

 

ㅇ [서울 : +0.04% → +0.02%] 25개구 중 17개구 상승폭 축소

은평(0.00%)ㆍ서대문구(0.00%) 보합 전환, 금천구(-0.01%) 하락 전환

 

- (강북 14개구 : +0.01%) 광진구(0.05%)는 학군 등 양호한 자양ㆍ광장동 구축 위주로, 중랑구(0.02%)는 면목ㆍ묵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했으나, 성북구(-0.01%)는 길음동 구축 위주로 하락

 

- (강남 11개구 : +0.03%) 강남구(0.06%)는 학군수요 있는 역삼ㆍ대치동 주요 단지 위주로, 송파구(0.03%)는 가격 메리트 있는 신천동 재건축 및 장지동 중저가 위주로, 서초구(0.02%)는 잠원ㆍ반포동 구축 위주로, 강동구(0.01%)는 정주여건 양호한 고덕ㆍ성내동 일부 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높은 전세가 부담 등으로 강남 4구 전체 상승폭 축소. 구로구(0.07%)는 개봉동 중저가 위주로 상승했으나, 금천구(-0.01%)는 시흥동 대단지 위주로 매물 적체되며 하락 전환

 

ㅇ [인천 : +0.04% → +0.04%] 8개구 중 4개구 상승폭 축소

 

- 동구(0.12%)는 직주근접 수요 있는 만석ㆍ송현동 일부 단지 위주로, 미추홀구(0.12%)는 정비사업 이주수요 등의 영향으로 용현ㆍ관교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서구(-0.04%)는 신규 입주물량* 영향 있는 가운데, 가정동과 검단신도시 중심으로 하락세 지속

* 루원시티 1차 SK리더스뷰 2,378세대(‘22.1월 예정) 등

 

ㅇ [경기 : +0.03% → +0.01%] 45개 시군구 중 17개 상승폭 축소 하남(-0.07%)ㆍ성남시(-0.01%) 등 5개 지역 하락 전환

 

- 하남시(-0.07%)는 학암ㆍ감이동 위주로, 성남시(-0.01%)는 인근 지역 입주예정 물량* 영향으로 중원구(-0.10%) 등에서 하락하며 하락 전환됐고, 양주시(0.00%)는 덕계동 위주로 하락하며 보합 전환

* 호반써밋송파 1,2차, 1,389세대(‘22.2월 예정) 등

 

□ [지방 : 0.06%] 5대광역시 0.04% 상승, 8개도 0.09% 상승, 세종 0.33% 하락

 

ㅇ [5대광역시 : +0.04% → +0.04%]

 

- (울산 : +0.16%) 남구(0.26%)는 정주여건 양호한 신정ㆍ야음동 위주로, 북구(0.19%)는 산하ㆍ매곡동 (준)신축 위주로, 중구(0.09%)는 복산ㆍ동동 중소형 단지 위주로 상승

 

- (대전 : -0.05%) 신규 입주물량* 영향 등으로 하락세 지속되고 있으며, 유성구(-0.13%)는 봉명ㆍ죽동 위주로 매매가격 하락과 동반하여, 서구(-0.11%)는 둔산ㆍ월평동 구축 위주로 하락

* 대전아이파크시티 2,560세대, 갑천트리풀시티 1,762세대(’21.11월)

 

ㅇ [세종 : -0.39% → -0.33%]

 

- 신규 입주물량 및 매물 적체 영향 등으로 하락세 지속

 

ㅇ [8개도 : +0.11% → +0.09%]

 

- (충북 : +0.14%) 청주 서원구(0.22%)는 개신ㆍ성화동 대단지 위주로, 제천시(0.20%)는 거주여건 양호한 장락동 위주로 상승

 

< 지역별 2022년 1월 1주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 비교(전주 대비%) >

구 분 12.27(전기) ‘22.1.3(당기) 비 고
1 충북 0.22 0.14 상승폭 축소
2 경북 0.12 0.11 상승폭 축소
3 제주 0.02 0.11 상승폭 확대
4 전북 0.07 0.10 상승폭 확대
5 경남 0.10 0.09 상승폭 축소
6 충남 0.10 0.07 상승폭 축소
7 강원 0.07 0.06 상승폭 축소
8 전남 0.04 0.03 상승폭 축소

충북(8개도 중 1위) 12.27 ‘22.1.3
1 충북 청주시 서원구 0.24 0.22
2 충북 제천시 0.31 0.20
3 충북 청주시 청원구 0.18 0.18
4 충북 청주시 상당구 0.16 0.14
5 충북 충주시 0.36 0.12
6 충북 청주시 흥덕구 0.17 0.11
7 충북 음성군 0.01 0.00

전남(8개도 중 8) 12.27 ‘22.1.3
1 전남 나주시 0.18 0.17
2 전남 무안군 0.09 0.06
3 전남 목포시 0.04 0.03
4 전남 여수시 0.05 0.02
5 전남 광양시 0.01 0.01
6 전남 순천시 0.01 0.00

※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쉬운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감정원” 검색 후 설치

 

붙임 1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붙임 2 : 규제지역 주간 아파트 변동률 통계표

붙임 3 :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 붙임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220106(보도자료)_주간아파트가격동향 (20220103기준).hwp
1.11MB

※ 자료출처 : 한국부동산원(http://www.reb.go.kr)

 

사업자 정보 표시
금마루 | 손기원 | 서울시 강동구 성내동 77-40 금마루 | 사업자 등록번호 : 201-24-67406 | TEL : 02-472-5110 | Mail : dolis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