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 30. 19:51ㆍ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한국감정원, 2018년 4분기 및 연간 상업용부동산
임대시장 동향 조사 결과 발표
[연간] 투자수익률 상승 [4분기]오피스, 상가 모두 임대로 하락
[권리금] 평균 권리금 4,535만원으로 조사
[한국감정원 보도자료 2019. 01. 30.(수)]
한국감정원, 2018년 연간 및 4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 조사 결과 발표 ⓒ新토지개혁 발해크루
정무이앤에이 부동산 투자 그룹 부동산 투자전략&종합 자산관리 전문가 이천수 팀장
|
'18년 4분기 및 연간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결과 발표
[4분기] 상업용 부동산인 오피스, 상가 모두 임대료 하락
[연간] 자산관리 상승 등으로 상업용 부동산 투자수익률 상승
[권리금] 평균 권리금 4,535만원, 권리금 존재 비율 69.6%(2018.9.1 기준)
|
□ 한국감정원은 전국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2018년 4분기(12.31.기준) 임대료, 공실률, 투자수익률 등 임대시장 동향을 조사·발표했다.
* 오피스(일반 6층 이상), 중대형 상가(일반 3층 이상이거나 연면적 330㎡ 초과), 소규모 상가(일반 2층 이하이고 연면적 330㎡ 이하), 집합상가의 4개 건물 유형으로 구분·조사
** (유의사항) 가중치 변경(2018년 1분기)에 의한 기준시점이 변경되었으며, 표본 확대에 따른 표본구성변화 등에 따라 변동이 발생될 수 있으니 통계의 시계열적인 해석시 유의
< 상업용 부동산 임대 동향 조사 건물 유형 >
분류 항목 | 오피스 | 중대형 상가 | 소규모 상가 | 집합 상가 |
기준 | ①일반건축물대장상 건물 ②(주용도) 업무시설 | ①일반건축물대장상 건물 | ①집합건축물대장상 건물 | |
②(주용도)제1․2종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운동시설, 위락시설 | ||||
소유형태 | 건물전체 1인 또는 공동 소유 | 건물 내 호별 개별소유 | ||
표본수 | 824개 동 | 2,826개 동 | 2,705개 동 | 23,000개 호 |
분류기준 | 6층 이상 | 3층 이상이거나, 연면적 330㎡ 초과 | 2층 이하이고, 연면적 330㎡ 이하 | 구분없음 |
[ 2018년 4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 동향 조사 ]
□ 2018년 4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조사 결과, 오피스는 전분기 대비 임대료와 공실률 모두 소폭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고, 상가는 모든 유형에서 임대료가 하락 하였다.
□ (공실률) 전분기 대비 오피스는 0.2%p 하락한 12.4%로 나타났으며, 중대형 상가는 0.1%p 상승한 10.8%, 소규모 상가는 0.3%p 하락한 5.3%로 나타났다.
□ (임대료) 임대료 변동추이를 나타내는 임대가격지수는 전분기 대비 오피스는 0.14% 하락하였으며, 상가의 경우 중대형 0.21%, 소규모 0.36%, 집합 0.16% 하락한 가운데
○ 전국 평균 임대료는 오피스(3층 이상 평균)가 17.2천원/㎡, 상가(1층 기준)는 중대형 29.0천원/㎡, 소규모 20.8천원/㎡ 순으로 나타났다.
□ (투자수익률)3분기 재산새 납부 등 일시적 운영경비 증가 영향이 사라지면서 소득수일률*이 대부분 개선된 가운데, 전분기 대비 오피스는 0.21%p 상승한 1.96%, 중대형 상가는 0.21%p 상승한 1.75% 소규모 상가는 0.15%p 상승한 1.58%를 나타냈으며, 집합상가만 0.02%p 하락한 1.73%로 나타났다.
* (소득수익률) 오피스 1.11%, 중대형 상가 1.09%, 소규모 상가 0.96%, 집합 상가 1.20%
○ 자본수익률은 오피스 0.85%, 중대형 상가 0.66%, 소규모 상가 0.62%, 집합 상가 0.53%로 자산가치의 상승을 나타냈다.
□ (지역 동향) 제주지역은 관광객 증가에 따른 상권활성화 등으로 상가 임대료가 상승하였으며, 충남지역은 지역 경기 부진, 유동인구 감소 등으로 상가 임대료가 하락했다.
* (제주 임대가격 지수, 전기대비) 중대형 0.03%, 소규모 0.14%, 집합 0.09% ↑
** (충남 임대가격 지수, 전기대비) 중대형 0.99%, 소규모 0.99%, 집합 0.43% ↓
[ 2018년 연간 상업용 부동산 임대시장 결산 ]
1. 공실률 |
□ 오피스는 전년대비 신규공급은 일부 감소한 반면, 임차수요는 증가함에 따라 공실률이 연초대비 0.3%p 감소한 12.4%를 기록하였으나, 상가의 경우 중대형 상가는 10.4% → 10.8%, 소규모 상가는 4.7% → 5.3%로 공실률을 기록하는 등 상가 공실률은 높아졌다.
*(오피스 공급면적, 건출물대장 기준) 1,831,135㎡(2017년) → 1,814,913㎡(2018년), 0.9% ↓
○ 서울은 모든 유형에서 전국 평균 이하의 공실 수준을 보인 가운데, 오피스는 신규 임차 및 공유 오피스 증가로, 중대형 및 소규모 상가는 일부 상권에서의 신규 입점 수요 증가 등으로 공실이 감소했다.
○ 반면에, 광주는 일부 상권에서 경기 부진, 임차수요 감소 등으로, 경남은 제조업 등 지역 경기 부진 등으로 모든 유형에서 공실률이 증가했다.
(단위: %, 연초대비 %p)
구 분 | 전국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
오피스 | 2018년 | 12.4 | 11.4 | 15.2 | 11.2 | 17.3 | 17.0 | 16.3 | 17.0 | - |
연초대비 | -0.3 | -0.5 | -0.8 | 0.1 | 3.9 | 2.6 | -3.8 | 0.0 | - | |
중대형 상가 | 2018년 | 10.8 | 7.0 | 10.3 | 13.7 | 12.9 | 12.2 | 10.9 | 15.1 | 14.3 |
연초대비 | 0.3 | -0.7 | 0.5 | 1.2 | 0.2 | 1.6 | 0.1 | 2.1 | 0.0 | |
소규모 상가 | 2018년 | 5.3 | 2.4 | 6.3 | 3.3 | 5.1 | 4.3 | 7.4 | 2.4 | 11.6 |
연초대비 | 0.6 | -1.4 | 0.3 | -1.8 | 0.7 | 2.3 | 1.9 | -0.9 | 2.8 | |
구 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오피스 | 2018년 | 4.4 | 18.9 | 19.3 | 14.9 | 15.9 | 24.4 | 22.6 | 15.9 | 10.5 |
연초대비 | -0.7 | 3.5 | 2.5 | -0.4 | -6.4 | 2.5 | 5.1 | 2.1 | 0.0 | |
중대형 상가 | 2018년 | 8.1 | 10.3 | 14.8 | 14.2 | 15.2 | 13.8 | 18.8 | 11.4 | 7.4 |
연초대비 | 0.1 | 0.1 | 1.2 | 0.4 | 0.3 | 1.6 | 0.9 | 1.3 | 0.3 | |
소규모 상가 | 2018년 | 5.0 | 4.1 | 6.7 | 5.1 | 9.8 | 6.8 | 5.8 | 7.9 | 1.8 |
연초대비 | 2.1 | 1.0 | 1.0 | 1.4 | 2.2 | -0.6 | 1.5 | 1.3 | 0.0 | |
※ 12.31일 기준 공실률, 연초대비 변동률은 ’18년 1분기(3.31일 기준) 대비 |
2. 임대료* 및 임대각겨 지수** |
*상권의 평균 임대료 수준을 관찰하기 위하여 현재시점에서 임대인과 임차인 간 실제 계약된 임대료를 기준으로 산정하며, 유형별․지역별 비교 목적으로 이용
**상권의 임대료 추세를 관찰하기 위하여 현재 계약된 임대료가 아닌 해당시점에서 거래 가능한 임대료를 기준으로 산정하며, 임대료 변동 추세 목적으로 이용
□오피스는 공급 및 렌트프리 증가 등에 따라 임대가격 지수가 전년대비 0.52% 하락했으며, 상가는 소비심리의 위축 등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0.19%~0.75% 하락했다.
(기준시점=2017.4분기, 단위 : p, 전년 대비 %)
구 분 | 2015 | 2016 | 2017 | 2018 | 전년대비 |
오피스 | 100.3 | 100.0 | 100.0 | 99.5 | -0.52 |
중대형 상가 | 99.5 | 99.6 | 100.0 | 99.8 | -0.19 |
소규모 상가 | 99.8 | 99.9 | 100.0 | 99.2 | -0.75 |
집합 상가 | 99.8 | 99.7 | 100.0 | 99.7 | -0.31 |
ㅇ서울은 모든 유형에서 전국 평균 대비 높은 임대료 수준을 보인 가운데, 상가 임대료도 0.2%~0.7% 상승했다.
ㅇ제주는 모든 유형에서 임대료가 상승했으나, 세종은 공급대비 임차수요 부족 및 공실 장기화 등으로 인해 상가 임대료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단위 : 천원/㎡, 전년대비 %)
구 분 | 전국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
오피스 | 2018년 | 17.2 | 22.4 | 7.7 | 7.2 | 8.9 | 5.6 | 4.8 | 7.6 | - |
전년대비 | -0.5 | -0.4 | -1.4 | -0.8 | 0.6 | -0.8 | -2.0 | -1.5 | - | |
중대형 상가 | 2018년 | 29.0 | 58.2 | 32.1 | 22.0 | 27.7 | 23.6 | 17.2 | 17.8 | 16.8 |
전년대비 | -0.2 | 0.7 | 0.2 | 0.1 | 0.5 | 0.6 | -0.7 | -1.7 | -3.3 | |
소규모 상가 | 2018년 | 20.8 | 52.5 | 26.7 | 20.1 | 20.4 | 16.5 | 12.6 | 14.2 | 19.2 |
전년대비 | -0.8 | 0.4 | -1.0 | 0.4 | 0.2 | 1.4 | -0.5 | -1.2 | -6.6 | |
집합 상가 | 2018년 | 28.5 | 52.2 | 30.8 | 25.5 | 27.0 | 23.9 | 25.5 | 21.8 | 31.8 |
전년대비 | -0.3 | 0.2 | -0.9 | 0.1 | 0.8 | -1.5 | -2.2 | -1.6 | -5.6 | |
구 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오피스 | 2018년 | 12.4 | 6.1 | 4.1 | 7.1 | 4.2 | 4.9 | 6.2 | 6.0 | 4.5 |
전년대비 | 0.8 | -0.7 | -3.5 | -4.2 | 0.0 | -2.7 | -1.5 | -0.8 | 0.7 | |
중대형 상가 | 2018년 | 30.2 | 18.1 | 22.3 | 13.6 | 15.4 | 11.5 | 14.0 | 15.8 | 12.8 |
전년대비 | 0.3 | 0.5 | -1.1 | -2.6 | -0.4 | -0.4 | -1.7 | -1.8 | 1.0 | |
소규모 상가 | 2018년 | 25.3 | 12.2 | 11.6 | 12.8 | 10.4 | 10.0 | 12.0 | 14.6 | 11.7 |
전년대비 | -0.3 | 0.4 | -1.7 | -3.0 | -0.6 | -0.4 | -1.0 | -2.2 | 0.4 | |
집합 상가 | 2018년 | 31.2 | 19.0 | 16.7 | 16.1 | 21.8 | 16.8 | 16.1 | 22.3 | 10.1 |
전년대비 | 0.4 | 0.3 | -2.0 | -1.5 | -2.2 | -1.3 | -1.7 | -0.9 | 1.1 | |
※ 12.31일 기준 임대료, 전년대비 변동률은 임대가격지수 변동률 |
3. 투자수익률 |
□상업용부동산의 2018년 연간 투자수익률은 6~7%대로 모든 유형에서 전년도 대비 다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산가치 상승 영향 등으로 다른 투자 상품*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채권) 국고채(3년) 2.10%, 회사채(3년,AA-) 2.65%
(금융상품) 정기예금 수신금리(’18.11월) 1.95%, CD유통수익률(91일) 1.68%
(종합주가지수) 2,467.49(’17.12.28)→2,041.04(’18.12.28), 17.3%↓
(타 부동산) 주택 매매 1.10%(2018년), 지가변동률 4.58%(`18.1~`18.12)
ㅇ지난해 말 소폭의 금리인상*이 있었으나, 상업용 건물에 대한 투자수요가 유입됨에 따라 오피스 및 상가 모든 유형에서 자산가치 상승폭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며 자본수익률이 상승한 반면,임대료는 하락하면서 소득수익률은 다소 하락하였다.
*(기준금리) 1.50%(`15.6.11)→1.25%(`16.6.9)→1.50%(`17.11.30)→1.75%(`18.11.30)
(단위 : %, 전년대비 %p)
구 분 | 2015 | 2016 | 2017 | 2018 | 전년대비 | |
오피스 | 소득수익률 | 4.62 | 4.54 | 4.52 | 4.38 | -0.14 |
자본수익률 | 1.26 | 1.22 | 1.86 | 3.13 | 1.27 | |
투자수익률 | 5.93 | 5.80 | 6.44 | 7.61 | 1.17 | |
중대형 상가 | 소득수익률 | 4.71 | 4.60 | 4.43 | 4.27 | -0.16 |
자본수익률 | 1.47 | 1.68 | 2.21 | 2.56 | 0.35 | |
투자수익률 | 6.24 | 6.34 | 6.71 | 6.91 | 0.19 | |
소규모 상가 | 소득수익률 | 4.21 | 4.10 | 3.96 | 3.79 | -0.17 |
자본수익률 | 1.59 | 1.78 | 2.30 | 2.49 | 0.20 | |
투자수익률 | 5.85 | 5.93 | 6.32 | 6.35 | 0.03 | |
집합 상가 | 소득수익률 | 5.62 | 5.27 | 4.89 | 4.82 | -0.07 |
자본수익률 | 1.63 | 1.60 | 1.53 | 2.32 | 0.79 | |
투자수익률 | 7.32 | 6.93 | 6.48 | 7.23 | 0.75 |
□오피스는 서울, 부산, 인천, 경기 등에서 7~9%대로 높은 투자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으나, 충북, 충남, 경남 등은 3%대의 저조한 수익률을 보이는 등 지역별로 큰 편차를 보였다.
□상가의 경우에도 서울, 부산, 인천, 경기 등이 7~8%대로 높게 나타난 반면, 대전, 충북, 충남, 전북, 경북, 경남 등은 4~5%대로 나타났으며, 특히 세종시의 집합상가는 3.68%로 모든 유형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단위 : %)
구 분 | 전국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
오피스 | 소득수익률 | 4.38 | 4.50 | 3.80 | 4.24 | 5.00 | 3.40 | 3.12 | 4.04 | - |
자본수익률 | 3.13 | 3.82 | 3.66 | 1.84 | 2.52 | 1.33 | 0.86 | 2.37 | - | |
투자수익률 | 7.61 | 8.44 | 7.56 | 6.14 | 7.61 | 4.77 | 4.00 | 6.48 | - | |
중대형 상가 | 소득수익률 | 4.27 | 3.85 | 3.96 | 4.06 | 5.22 | 5.06 | 4.16 | 3.93 | 4.23 |
자본수익률 | 2.56 | 4.22 | 4.50 | 2.25 | 2.49 | 1.61 | 1.07 | 2.17 | 1.97 | |
투자수익률 | 6.91 | 8.20 | 8.60 | 6.38 | 7.80 | 6.74 | 5.26 | 6.16 | 6.26 | |
소규모 상가 | 소득수익률 | 3.79 | 3.02 | 3.29 | 3.18 | 4.41 | 4.84 | 3.58 | 2.92 | 3.52 |
자본수익률 | 2.49 | 4.97 | 4.93 | 3.19 | 2.64 | 2.43 | 1.79 | 2.82 | 1.99 | |
투자수익률 | 6.35 | 8.11 | 8.33 | 6.45 | 7.14 | 7.36 | 5.41 | 5.80 | 5.57 | |
집합 상가 | 소득수익률 | 4.82 | 4.71 | 4.13 | 4.45 | 5.55 | 4.87 | 4.49 | 4.82 | 3.91 |
자본수익률 | 2.32 | 3.16 | 3.17 | 2.42 | 2.29 | 1.56 | 0.56 | 1.61 | -0.22 | |
투자수익률 | 7.23 | 7.97 | 7.39 | 6.94 | 7.94 | 6.49 | 5.06 | 6.48 | 3.68 | |
구 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오피스 | 소득수익률 | 6.41 | 3.80 | 3.11 | 3.84 | 3.06 | 3.89 | 3.81 | 3.66 | 3.07 |
자본수익률 | 2.86 | 1.57 | 0.12 | -0.23 | 1.43 | 0.18 | 0.22 | 0.07 | 3.38 | |
투자수익률 | 9.40 | 5.41 | 3.23 | 3.60 | 4.52 | 4.08 | 4.04 | 3.73 | 6.52 | |
중대형 상가 | 소득수익률 | 5.06 | 4.74 | 5.26 | 3.98 | 4.51 | 4.67 | 3.83 | 3.82 | 3.70 |
자본수익률 | 2.69 | 1.19 | 0.41 | 0.57 | 0.89 | 1.08 | 0.83 | 0.41 | 2.88 | |
투자수익률 | 7.85 | 5.96 | 5.69 | 4.57 | 5.43 | 5.78 | 4.68 | 4.24 | 6.66 | |
소규모 상가 | 소득수익률 | 3.93 | 4.34 | 4.66 | 4.46 | 3.93 | 4.54 | 3.80 | 3.62 | 2.95 |
자본수익률 | 3.13 | 1.56 | 0.56 | 0.78 | 1.03 | 1.48 | 1.60 | 0.64 | 3.25 | |
투자수익률 | 7.15 | 5.95 | 5.24 | 5.27 | 4.99 | 6.07 | 5.44 | 4.28 | 6.28 | |
집합 상가 | 소득수익률 | 5.30 | 5.13 | 4.86 | 4.39 | 4.56 | 4.75 | 4.57 | 5.94 | 4.34 |
자본수익률 | 2.53 | 0.90 | 0.02 | 0.34 | 0.83 | 1.33 | 1.02 | -0.03 | 2.59 | |
투자수익률 | 7.93 | 6.07 | 4.88 | 4.74 | 5.41 | 6.13 | 5.62 | 5.90 | 7.01 |
[ 2018년 상가권리금 현황조사(2019년 9월 1일 기준) ]
1. 권리금 현황 |
□2018년 전국 상가의 평균 권리금 유비율과 평균권리금 수준은 전년대비 모두 하락했다.
□ (권리금 유무 비율) 평균 권리금 유비율은 69.56%로 나타났으며, 전년대비 1.47%p 하락(71.03%→69.56%)했고,
ㅇ도시별로는 성남(91.44%)이 가장 높았고 원주(43.29%)가 가장 낮았으며,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점업(85.75%)이 가장 높았고, 도소매업(58.62%)이 가장 낮았다.
< 도시별·업종별 권리금 유(有) 비율(%) >
(단위 : %, %p)
구분 | 도시별 | 구분 | 도시별 | ||||
2017 | 2018 | 증감 | 2017 | 2018 | 증감 | ||
서울 | 65.02 | 62.71 | -2.31 | 김해 | 80.54 | 78.96 | -1.58 |
부산 | 72.25 | 71.74 | -0.51 | 포항 | 66.72 | 65.33 | -1.39 |
대구 | 77.66 | 70.13 | -7.52 | 여수 | 59.87 | 61.04 | 1.16 |
인천 | 80.20 | 77.64 | -2.56 | 전주 | 65.09 | 65.40 | 0.31 |
광주 | 67.18 | 71.58 | 4.40 | 천안 | 60.01 | 66.36 | 6.36 |
대전 | 66.11 | 66.41 | 0.30 | 청주 | 72.86 | 74.22 | 1.36 |
울산 | 77.03 | 70.28 | -6.75 | 원주 | 39.48 | 43.29 | 3.81 |
수원 | 69.46 | 70.12 | 0.66 | 제주 | 80.72 | 77.57 | -3.15 |
고양 | 68.72 | 71.74 | 3.01 | 전체 | 71.03 | 69.56 | -1.47 |
용인 | 71.38 | 73.30 | 1.92 | 구분 | 업종별 | ||
성남 | 90.97 | 91.44 | 0.47 | 2017 | 2018 | 증감 | |
부천 | 80.43 | 83.97 | 3.54 | 도소매업 | 61.39 | 58.62 | -2.77 |
안산 | 84.65 | 83.92 | -0.73 | 숙박음식점업 | 86.31 | 85.75 | -0.55 |
화성 | 82.72 | 82.72 | 0.00 | 부동산임대업 | 79.31 | 79.58 | 0.28 |
안양 | 89.86 | 89.80 | -0.06 | 여가관련서비스업 | 79.54 | 79.91 | 0.36 |
창원 | 76.13 | 71.67 | -4.46 | 기타개인서비스업 | 64.71 | 64.31 | -0.39 |
|
|
|
| 전체 | 71.03 | 69.56 | -1.47 |
* 빈도가 높은 상위 5개 업종을 대상으로 조사(한국표준산업분류 상 대분류 기준)
□(권리금수준) 평균 권리금 수준은 4,535만원으로 나타났으며, 전년대비 5.1% 하락(4,777만원→4,535만원)했다.
ㅇ권리금이 있다고 응답한 표본 중 권리금이 3천만원 이하인 업체는 52.85%, 3천만원 초과~5천만원 이하는 20.57%를 차지하였으며, 1억원을 초과하는 경우는 8.11%로 나타났다.
< 권리금 규모 구간별 분포 >
구분 | 2017 | 2018 | 증감 |
|
전체 | 100.00 | 100.00 | - | |
1천만원 이하 | 16.83 | 17.83 | 1.00 | |
1천만원 초과 3천만원 이하 | 33.55 | 35.02 | 1.48 | |
3천만원 초과 5천만원 이하 | 21.11 | 20.57 | -0.53 | |
5천만원 초과 7천만원 이하 | 8.57 | 8.42 | -0.16 | |
7천만원 이하 1억원 이하 | 10.97 | 10.04 | -0.94 | |
1억 초과 2억 이하 | 7.14 | 6.40 | -0.74 | |
2역 초과 | 1.83 | 1.71 | -0.12 |
ㅇ조사대상 24개 도시 중 안양이 평균 6,39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원주가 1,143만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위면적(㎡)당 수준으로는 서울(99.0만원/㎡), 안양(91.1만원/㎡), 성남(83.5만원/㎡) 순으로 높았으며, 원주(19.4만원/㎡)가 가장 낮았다.
< 도시별 평균 권리금 수준 >
구분 | 전체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평균 (만원) | 4,535 | 5,472 | 4,054 | 3,570 | 4,161 | 4,023 | 4,048 | 2,351 |
평균 면적(㎡) | 100.8 | 88.4 | 107.3 | 94.9 | 105.6 | 111.5 | 105.6 | 115.2 |
㎡당평균 (만원/㎡) | 68.4 | 99.0 | 56.9 | 63.4 | 54.8 | 47.4 | 47.4 | 29.0 |
구분 | 수원 | 고양 | 용인 | 성남 | 부천 | 안산 | 화성 | 안양 |
평균 (만원) | 6,130 | 5,663 | 2,898 | 6,187 | 5,002 | 6,163 | 3,880 | 6,390 |
평균 면적(㎡) | 112.3 | 134.6 | 110.4 | 93.0 | 107.9 | 113.8 | 101.9 | 112.9 |
㎡당평균 (만원/㎡) | 69.7 | 64.3 | 36.4 | 83.5 | 71.8 | 66.5 | 54.9 | 91.1 |
구분 | 창원 | 김해 | 포항 | 여수 | 전주 | 천안 | 청주 | 원주 | 제주 |
평균 (만원) | 3,478 | 3,363 | 2,492 | 2,560 | 3,375 | 3,396 | 3,821 | 1,143 | 4,611 |
평균 면적(㎡) | 109.8 | 142.2 | 84.5 | 101.1 | 98.4 | 111.3 | 106.4 | 91.3 | 84.9 |
㎡당평균 (만원/㎡) | 41.8 | 38.8 | 38.5 | 27.8 | 42.3 | 33.4 | 45.8 | 19.4 | 72.6 |
* 2017년도 자료는 별첨 통계표 참조
ㅇ업종별로는 여가관련 서비스업의 권리금이 5,513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기타 개인서비스업이 2,654만원으로 가장 낮았으며,
-단위면적(㎡)당 권리금 수준으로는 도소매업(86.6만원/㎡), 부동산임대업(84.3만원/㎡) 순으로 높았으며, 여가관련 서비스업(29.0만원/㎡)이 가장 낮았다.
< 업종별 권리금 평균 권리금 수준 >
구분 | 전체 | 도소매업 | 숙박 음식점업 | 부동산 임대업 | 여가관련 서비스업 | 기타개인 서비스업 |
평균 (만원) | 4,535 | 4,696 | 5,140 | 3,207 | 5,513 | 2,654 |
평균 면적(㎡) | 100.8 | 77.9 | 117.9 | 51.3 | 255.7 | 87.3 |
㎡당평균 (만원/㎡) | 68.4 | 86.6 | 60.6 | 84.3 | 29.0 | 42.1 |
< 도시별·업종별 권리금 유(有) 비율 및 평균 금액 >
도시별(서울 및 6대 광역시) | 도시별(경기도) |
| |
도시별(기타 주요 도시) | 업종별 |
|
|
2. 권리금 거래행태 |
□(유‧무형 권리금 비율) 권리금을 영업시설, 비품 등 유형재산에 따른 권리금과 위치, 거래처 등 무형 재산에 따른 권리금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응답한 표본의 비율은 83.3%로 나타났다.
ㅇ(유형 권리금) 인테리어 등을 포함한 영업시설을 이유로 권리금이 지급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테이블 등 비품, 재고자산 순으로 비중이 높게 나왔다.
< 유형권리금 지급 사유(%) >
영업시설(인테리어포함) | 비품 | 재고자산 |
95.9 | 53.3 | 11.8 |
* 항목별로 중복 선택이 가능하여 항목별 총합이 100%를 초과함
ㅇ(무형 권리금) 상가건물의 위치를 이유로 지급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거래처‧신용‧영업상의 노하우, 기타(각종 인허가 및 임차권 보장) 순으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 무형권리금 지급 사유(%) >
거래처, 신용, 영업상의 노하우 | 상가건물의 위치 | 각종 인허가 등 | 임차권 보장 | 기타 |
42.3 | 92.0 | 2.0 | 1.5 | 1.1 |
* 항목별로 중복 선택이 가능하여 항목별 총합이 100%를 초과함
□(임대계약 및 운영 기간) 임대 계약기간은 평균 2.1년으로 전년도 조사와 동일하였고, 2년 계약이 83.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 상가 임대차 계약기간(%) >
1년미만 | 1년 | ~ | 2년 | ~ | 3년 | ~ | 4년 | ~ | 5년 | 5년초과 | 계 |
0.3 | 6.4 | 0.4 | 83.5 | 0.4 | 4.9 | 0.1 | 0.7 | 0.1 | 3.1 | 0.2 | 100.0 |
ㅇ임차인이 최초 계약한 이후 평균적인 영업기간은 7.7년이며, 5년 이상이 60.4%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최초 계약 이후 영업 기간(%) >
1년미만 | 1~2년 | 2~3년 | 3~4년 | 4~5년 | 5~7년 | 7~10년 | 10년이상 | 계 |
5.8 | 8.3 | 7.3 | 8.9 | 9.4 | 17.7 | 17.2 | 25.5 | 100.0 |
□ 2018년 4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및 2018년 상가권리금 현황조사는 국토교통부가 한국감정원에 위탁하여 실시하였으며, 감정평가사 및 전문조사자 약 320명이 지역 방문조사, 임대인․임차인 면담조사 등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정보는 매분기 조사·발표하고 있으며,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one.co.kr), 국토교통통계누리(stat.molit.go.kr),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kr),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app)을 통해 스마트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상가권리금 현황조사 결과는 한국감정원 홈페이지와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one.c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첨부자료는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20190130 2018년 4분기 및 연간 상업부동산 임대 동향 조사 결과 발표.hwp
※자료출처 : 한국감정원 보도자료 |
'부동산 지식 창고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서울아파트값 하락세 5년 만에 최대, 2019년 1월 4주 전국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조사 결과 (0) | 2019.02.01 |
---|---|
2018년 공공임대주택 14만 8천호, 공급 계획보다 1만 8천호 초과 달성 (0) | 2019.01.31 |
국토교통부,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2018년 12월) 조사 결과 공표 (0) | 2019.01.30 |
정부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 예타성 면제 23개 사업 선정 발표 총 사업비 24조 1천억 원 규모 (0) | 2019.01.29 |
국토부, 국가균형발전 지원 체계 본격 가동 국가균형발전지원단 출범 (0) | 2019.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