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 10. 17:14ㆍ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한국감정원, 2018년 부동산시장 동향 및 2019년 전망 발표
2018년 전국 주택시장 전년 대비 매매가격 1.1% 상승, 전세가격 1.8% 하락
서울은 매매 6.2%, 전세 0.3% 상승
2019년 주택시장 전망 주택매매는 1.0% 하락, 전세가격 2.4% 하락 전망
[한국감정원 보도자료 2019. 01. 10.(목)]
정무이앤에이부동산 그룹 부동산 전략 투자 전문가 이천수 팀장 부동산 정보
|
한국감정원, 2018년 부동산시장 동향 및 2019년 전망 발표
- 2019년 전국의 주택매매가격은 1.0% 하락, 주택전세가격은 2.4% 하락,
주택매매거래량은 약 81만 건으로 2018년 대비 5.5% 감소할 전망
- 2018년 주택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매매가격 1.1% 상승, 전세가격 1.8% 하락,
서울은 개발호재 및 신규 단지 중심으로 가격 상승(매매 6.2%, 전세 0.3% 상승)
|
□ 한국감정원 KAB부동산연구원 채미옥 원장은 1월 10일(목) 한국감정원 서울사무소에서 「2018년도 부동산시장 동향 및 2019년 전망」에 대한 언론 브리핑을 실시했다.
□ 채미옥 연구원장은 "2018년 주택 매매시장은 개발호재 등의 영향으로 서울 주택 가격의 일시적인 상승이 두드려졌으나, 9.13 대책에 따라 투자수요가 크게 위축되었고, 아파트 입주 물량 증가 및 지역 산업 경기 부진으로 인해 지방 아파트 시장의 하락세가 뚜렸해졌으며, 주택 전세시장은 입주 물량이 증가한 지역과 더불어 지역 산업 경기가 침체된 지역의 전세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등 전체적으로 예년에 비해 하락지역이 확대되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 2019년 주택 매매시장은 "정부의 규제 강화 영향과 대내외 경제여건의 둔화 및 국내 기준금리의 추가 인상 가능성으로 매수심리는 당분간 관망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서울 및 경기 일부 지역의 입주 물량 증가가 인접한 수도권 주택시장 전반에 걸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며, 주택 전세시장은 입주물량이 증가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가격의 하락세가 뚜렷해지고, 이들 지역으로서 전세수요 이동이 기존 지역 주택시장을 후퇴 또는 침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 2018년 주택시장 동향 >
□ (주택시장) 2018년 주택 매매가격 (주택 1.1%, 아파트 0.1%)은 2017년(주택 1.5%, 아파트 1.1%) 대비 상승폭이 감소한 상태이며, 전세가격(주택 -1.8%, 아파트 -2.9%)은 2017년 동기간과 비교하여 하락세로 전환된 상황이었다.
○ 2018년 주택매매시장은 지역별 상승과 하락세가 뚜렷이 구별되는 한편, 주택전세시장은 서울, 대전, 세종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상반기와 유사하게 하반기에도 하락세가 이어졌다.
□ (주택 거래량) 2018년 누적(11월 말 기준) 주택 매매거래량은 80.1만 건으로 2017년 동기간 대비 8.5% 하락하여 주택시장이 회복하였던 2014년 보다 낮은 수준이며, 전월세거래량은 144.9만 건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 전세와 월세 거래량 비중은 각각 56.8%, 43.2%로 전년(전세 55.4%, 월세 44.6%) 대비 전세 거래량 비중은 증가(1.4%p)하고 월세거래량 비중은 감소하였다.
< 2019년 주택시장 전망 >
□ (매매시장) 국가경제의 저성장 기조와 부동산 세제개편, 구제 지역 추가 등 정부 규제정책, 누적되는 아파트 입주물량 등의 영향으로 2019년 전국 주택매매가격은 1.0%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 개발 호재가 있는 일부 지역은 국지적 상승을 보일 수 있으나, 입주 물량 증가, 정부 규제 및 지역 산업 위축 등에 따라 전국적으로 하락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했다.
□ (전세시장) 입주 물량 증가로 전세 공급이 대거 이어지면서 전국적으로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실수요가 많은 지역은 매매시장의 관망세가 유지되고 이에 대한 반사효과로 인해 전세수요가 일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전반적으로 서울 지역의 임차인들은 인근 입주 물량 증가 지역으로 분산되고 일부 수도권 외곽 및 지방권 지역은 일시적 공급 집중으로 인한 미입주로 가격 하락이 예상되는 등 2019년 전국 주택전세가격은 2.4%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 (주택 매매거래량) 정부 규제정책 기조 속에서 투자자의 매수심리 위축 및 실수요자의 관망세 유지로 주택 구입 보류 또는 구입 시기 조정 등이 예상됨에 따라 2019년 주택 매매 거래량은 전년 대비 5.5% 감소한 수준(81만 건)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별첨 : 「2018년 부동산시장 동향 및 2019년 전망」 ※ 첨부파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별첨] 2018년 부동산시장 동향 및 2019년 전망_최종_수정.hwp
※자료출처 : 한국감정원 보도자료 |
'부동산 지식 창고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아파트값 10주 연속 하락, 한국감정원 2019년 전국 아파트 가격동향 조사 공표 (0) | 2019.01.17 |
---|---|
2019년 1월 첫번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 보고 조사, 서울 아파트가격 9주 연속 하락 (0) | 2019.01.11 |
공인중개사들이 전망하는 2019년 주택시장 전망은? (0) | 2019.01.08 |
한국감정원, 2018년 12월 5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 - 서울 아파트값 8주 연속 하락 - (0) | 2019.01.04 |
12월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0.18% 하락, 2018년 12월 전국 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 공표 (0) | 2019.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