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 8. 18:17ㆍ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한국감정원, 협력 공인중개사 설문조사
「2019년 주택시장 전망」 결과 발표
대출 규제를 주요 이유로 매매가격은 하락 전망 우세
전·월세 가격은 보합 전망 우세
[한국감정원 보도자료 2019. 01. 07.]
※ 한국감정원 2019년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
정무이앤에이부동산 그룹 부동산 투자 자산관리 전문가 이천수 팀장 부동산 정보
|
한국감정원, 「2019년 주택 시장 전망」에 대한
협력공인중개사 설문조사결과 발표
매매가격은 대출규제를 주요 이유로 하락(51.0%) 전망 우세
전·월세 가격은 보합(전세 52.1%, 월세 60.0%) 전망 우세
|
□ 한국감정원(원장 김학규)은 전국 6천여 협력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주택시장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1월 7일 발표했다.
* 2018. 12. 7 ~ 12. 17일(11일간), 응답자 1,868명(수도권 986명, 지방 882명)
○ 이번 조사는 국내외 경기를 비롯하여 세금, 대출, 재건축 등에 대한 정부 정책과 신규 공급물량, 금리 등 다양한 요인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됨에 따라 2019년 주택시장 전망에 대하여 일선 공인중개사들의 의견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했다.
□ 전체 응답자의 가격에 대한 전망은 매매는 하락(51.0%), 전·월세는 보합(전세 52.1%, 월세 60.0%) 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 지역별로 보면, 서울·수도권은 매매·전세·월세 모두 보합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지방은 매매는 하락(56.0%), 전·월세는 보합(전세 52.3%, 월세 56.6%)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 상세한 설문 응답 통계표와 그래프는 붙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전체 응답자의 거래유형별 주택가격 전망 >
□ 매매시장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가격 전망은 하락 응답(51.0%)이 우세한 가운데 지역별로 수도권(48.7%)과 보합 응답이 우세했으나, 지방(56.0%)은 하락 응답이 우세했다.
○ 하락 전망 이유는
1) 대출 규제 강화(LTV, 新DTI, DSR 등)로 차입여력 축소(43.5%)
2) 공급물량 증가(신규분양, 입주 물량, 미분양 등 증가 (26.9%)
3) 지역 기반 산업 및 경기 침체 (10.5%)
4) 보유세 개편, 다주택자 규제 등 정부 규제 (9.6%) 순이었고,
○ 상승 전망 이유는
1) 개발호재(재건축·재개발 등 정비 사업, 교통망 확충, 산업단지 조성 등) (35.2%)
2) 신축 및 신규분양시장 호조 영향으로 인근 동반 상승 (18.2%)
3) 대체 투자처 부재로 인한 풍부한 부동자금 지속 유입 (13.6%) 순이었다.
< 주택 매매가격 전망 >
매매가격 | 매매가격 하락 전망 이유 | 매매가격 상승 전망이유 |
|
|
□ 전세시장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가격 전망은 보합 응답(52.1%)이 우세한 가운데, 지역별로는 수도권(52.0%), 서울(54.5%), 지방(52.3%) 모두 보합 응답 비율이 과반으로 높게 나타났다.
○ 하락 전망 이유는
1) 매매 가격 하락 영향으로 전세가격 동반 하락 (48.6%)
2) 전세 공급물량 증가(갭투자 또는 신규공급물량의 전세 공급) (43.5%) 순으로 대다수 차지하였고,
○ 상승 전망 이유는
1) 매매가격 하락 우려 및 관망세로 전세(전화) 수요 증가 (34.7%)
2) 전세공급(매물) 부족 (24.0%)
3) 매매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세가격 동반상승(17.3%) 순이었다.
< 주택 전세 가격 전망 >
전세가격 | 전세가격 하락 전망이유 | 전세가격 상승 전망이유 |
□ 특히, 서울지역은 매매가격(보합 49.7%, 하락 45.2%)과 전세가격(보합 54.5%, 하락 39.1%) 모두 대다수 보합 내지 하락 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서울에 영업장을 둔 협력공인중개사의 응답 결과를 의미
○ 하락 전망 주요 이유는
매매가격은 대출규제 강화로 인한 차입 여력 축소 (61.6%)
전세가격은 전세 공급물량 증가 (46.3%)로 응답하였다.
< 거래유형별 서울 주택가격 전망 >
□ 월세시장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가격 전망은 보합 응답(60.0%)이 우세한 가운데, 지역별로 수도권(63.1%), 서울(64.5%), 지방(56.6%) 모두 보합 응답이 우세했다.
○ 하락 전망 이유는
1) 전세공급물량 증가 전세가격 안정으로 월세수요 감소 (36.7%)
2) 신규주택의 월세공급물량 증가 (29.7%)
3) 임대인의 월세전환으로 월세공급물량 증가 (21.7%) 순이었고,
○ 상승 전망 이유는
1) 전세가격 상승 부담 등으로 월세전환 증가 (29.8%)
2) 전세자금대출 금리 상승에 따른 반사효과로 월세 수요 증가 (24.6%)
3) 기타(집주인들의 세금 전가, 금리 상승 영향 등) (17.5%) 순이었다.
< 주택 월세 가격 전망 >
월세가격 | 월세가격 하락 전망 이유 | 월세가격 상승 전망 이유 |
□ 설문조사는 전국의 한국감정원 협력공인중개사 약 6,000여 명을 대상으로 부동산시장동향 모니터링 시스템(RMS)을 활용한 온라인 조사 2018년 12월 7일부터 11일간 진행되었으며 1,868명이 응답했다.
붙임 : 2019년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 분석 결과
붙임 | 2019년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 분셕결과 |
□ 조사개요
○ (조사목적) 국내외 경기를 비롯하여 세금, 대출, 재건축 등에 대한 정부정책과 신규 공급물량, 금리 등 다양한 요인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됨에 따라 2019년 주택시장 전망에 대하여 일선 공인중개사들의 의견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
○ (조사기간) 2018. 12. 7 ~ 2018. 12. 17 (11일간)
○ (조사대상) 전국의 한국감정원 협력공인중개사
○ (조사방법) 협력공인중개사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조사
○ (응답자) 1,868명(수도권 986명 52.8%, 지방 882명 47.2%)
< 설문응답 협력공인중개사 현황 >
구분 | 강원 | 경기 | 경남 | 경북 | 광주 | 대구 | 대전 | 부산 | 서울 | 세종 | 울산 | 인천 | 전남 | 전북 | 제주 | 충남 | 충북 | 합계 |
응답 빈도 | 51 | 473 | 94 | 93 | 56 | 128 | 67 | 146 | 409 | 9 | 29 | 104 | 26 | 58 | 14 | 68 | 43 | 1,868 |
응답 비중 | 2.7% | 25.3% | 5.0% | 5.0% | 3.0% | 6.9% | 3.6% | 7.8% | 21.9% | 0.5% | 1.6% | 5.6% | 1.4% | 3.1% | 0.7% | 3.6% | 2.3% | 100% |
< 응답자 영업장 소재지별 비중 현황 >
Q) 2019년 주택 매매·전세·월세 가격 전망 응답 결과 |
○ 전체 응답자의 가격에 대한 전망은 매매는 하락(51.0%), 전·월세는 보합(전세 52.1%, 월세 60.0%)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구분 | 매매 | 전세 | 월세 | ||||
응답수 | 응답률 | 응답수 | 응답률 | 응답수 | 응답률 | ||
하락 | 크게 하락 | 144 | 7.7% | 102 | 5.5% | 59 | 3.1% |
하락 | 284 | 15.2% | 220 | 11.8% | 157 | 8.4% | |
소폭 하락 | 428 | 23.0% | 380 | 20.3% | 368 | 19.7% | |
보합수준 하락 | 96 | 5.1% | 88 | 4.7% | 106 | 5.7% | |
보합 | 보합 | 828 | 44.3% | 974 | 52.1% | 1,121 | 60.0% |
상승 | 보합수준 상승 | 9 | 0.5% | 16 | 0.9% | 7 | 0.4% |
소폭 상승 | 54 | 2.9% | 59 | 3.2% | 34 | 1.9% | |
상승 | 22 | 1.2% | 22 | 1.2% | 14 | 0.7% | |
크게 상승 | 3 | 0.1% | 7 | 0.3% | 2 | 0.1% | |
합계 | 1,868 | 100.0% | 1,868 | 100.0% | 1,868 | 100.0% |
Q) 매매가격 하락을 전망한 이유 (하락 응답자만) |
○ 매매가격 하락 전망 이유는 대출규제 강화(LTV, 新DTI, DSR 등)로 차입 여력 축소(45.5%), 공급물량 증가(신규 분양, 입주물량 등)(26.9) 순이었다.
구 분 | 응답 | |
빈도 | 비율 | |
국내 기준금리(시장금리) 상승 | 46 | 4.8% |
대출규제 강화로 차입여력 축소 | 414 | 43.5% |
보유세 개편, 다주택자 규제 등 정부 규제 | 91 | 9.6% |
공급물량 증가(신규분양, 입주, 미분양 등) | 256 | 26.9% |
지역 기반산업 및 경기 침체 | 100 | 10.5% |
전세가격 안정세로 매매(전환)수요 감소 | 15 | 1.6% |
정비사업 및 개발사업의 지연․무산 | 2 | 0.2% |
기타 | 28 | 2.9% |
Q) 매매가격 상승을 전망한 이유 (상승 응답자만) |
○ 매매가격 승승 전망 이유는 개발호재(정비사업, 교통망 확충 등)(35.2%), 신축·신규 분양시장 호조로 인근 동반 상승(18.2%), 부동자금 지속 유입(13.6%) 순이었다.
구 분 | 응답 | |
빈도 | 비율 | |
지역 경기 회복 전망 | 1 | 1.1% |
대체투자처 부재로 풍부한 부동자금 지속 유입 | 12 | 13.6% |
신축 및 신규분양시장 호조 영향으로 인근 동반상승 | 16 | 18.2% |
선도지역 및 주요단지 가격상승으로 인근 갭메우기 | 7 | 8.1% |
개발호재(정비사업, 교통망 확충, 산업단지 조성 등) | 31 | 35.2% |
임대사업자등록, 세금규제 등으로 인한 매물잠김현상 | 4 | 4.5% |
신규 공급물량 부족 | 8 | 9.1% |
기타 | 9 | 10.2% |
Q) 전세가격 하락을 전망한 이유 (하락 응답자만) |
○ 전세가격 하락 전망 이유는 매매가격 하락 영향으로 전세가격 동반하락(48.6%), 전세 공급물량 증가(갭투자 또는 신규공급물량의 전세공급)(43.5%) 순이었다.
구 분 | 응답 | |
빈도 | 비율 | |
매매전환 증가(매매가격 상승, 높은 전세가율 등) | 7 | 0.9% |
월세전환 증가로 전세수요 감소 | 17 | 2.2% |
전세 공급물량 증가(갭투자, 신규공급 등) | 344 | 43.5% |
매매가격 하락에 따른 전세가격 동반하락 | 384 | 48.6% |
공공임대주택 확대 등 정책적 효과 | 19 | 2.4% |
기타 | 19 | 2.4% |
Q) 전세가격 상승을 전망한 이유 (상승 응답자만) |
○ 전세가격 상승 전망 이유는 매매가격 하락 우려 및 관망세로 전세(전환) 수요 증가(34.7%), 전세공급(매물) 부족(24.0%), 매매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세가격 동반상승(17.3%) 순 이었다.
구 분 | 응답 | |
빈도 | 비율 | |
재개발·재건축사업으로 인한 이주수요 | 15 | 14.4% |
매매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세가격 상승 | 18 | 17.3% |
매매가격 하락 우려 및 관망세로 전세(전환)수요 증가 | 36 | 34.7% |
원활한 전세자금대출 및 높은 한도 | 3 | 2.9% |
전세공급(매물) 부족 | 25 | 24.0% |
개발호재로 수요 증가 | 4 | 3.8% |
기타 | 3 | 2.9% |
Q) 월세가격 하락을 전망한 이유 (하락 응답자만) |
○ 월세가격 하락 전망 이유는 전세공급물량 증가 및 전세가격 안정으로 월세 수요 감소(36.7%), 신규주택의 월세공급물량 증가(29.7%), 임대인의 월세 전환으로 월세공급물량 증가(21.7%) 순이었다.
구 분 | 응답 | |
빈도 | 비율 | |
전세공급물량 증가 및 안정세로 월세수요 감소 | 253 | 36.7% |
임대인의 월세전환으로 월세공급물량 증가 | 150 | 21.7% |
신규주택의 월세공급물량 증가 | 205 | 29.7% |
공공임대주택 확대 등 정책적 효과 | 43 | 6.2% |
기타 | 39 | 5.7% |
Q) 월세 가격 상승을 전망한 이유 (상승 응답자만) |
○ 월세가격 상승 전망 이유는 전세가격 상승 부담 등으로 월세전환 증가(29.8%), 전세자금대출 금리 상승에 따른 반사효과로 월세수요 증가(24.6%), 기타 (집주인들의 세금 전가, 금리상승 영향 등)(17.5%) 순이었다.
구 분 | 응답 | |
빈도 | 비율 | |
전세가격 상승 부담 등으로 월세전환 증가 | 17 | 29.8% |
가구구조 변화로 월세수요 증가(1~2인 가구 등) | 9 | 15.8% |
세제혜택 등 정책효과로 월세 선호도 증가 | 1 | 1.8% |
개발호재로 근로자 및 이수주요 증가 | 6 | 10.5% |
전세자금대출 금리 상승에 따른 반사효과 | 14 | 24.6% |
기타 | 10 | 17.5% |
※자료출처 : 한국감정원 보도자료 |
'부동산 지식 창고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1월 첫번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 보고 조사, 서울 아파트가격 9주 연속 하락 (0) | 2019.01.11 |
---|---|
한국감정원, 2019년 주택시장 전망과 2018년 부동산 시장 동향 발표 (0) | 2019.01.10 |
한국감정원, 2018년 12월 5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 - 서울 아파트값 8주 연속 하락 - (0) | 2019.01.04 |
12월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0.18% 하락, 2018년 12월 전국 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 공표 (0) | 2019.01.02 |
해안내륙발전법 일부 개정안 최종 공포 (0) | 2019.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