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141개 지방 이전 공공기관, 지역 발전계획 마련

2018. 8. 30. 18:34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정무E&A 부동산 투자 컨설팅&자산관리 전문가 이천수 팀장의 부동산 투자 정보]

141개 지방 이전 공공기관, 지역 발전 계획 마련

한전 에너지밸리, LH 복합문화도서관 등 지역 기여 활동 본격 커진다.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18.08.30.(목요일)]


□ 한국토지주택공사 복합문화도서관,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드림센터 등 공공기관의 이름을 내 건 지역 사업들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ㅇ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8.30.(목) 일 개최된 국가균형발전위원회(위원장 송재호) 제8차 회의에서 혁신도시 등 지방으로 이전한 141개 공공기관들이 수립한 2018년도 지역 발전 계획을 보고했다.


 ㅇ이번 계획은 작년 12월 개정된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이전 공공기관들이 지역기여 활동을 더욱 내실 있게 확대해 나가기 위해 관련 지자체들과 협의하여 만들었다. 


□ 이전 공공기관들은 정부의 「혁신도시 시즌 2」 정책에 발맞춰 지역의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지역 산업 육성 및 지역 기업 활동 지원을 통한 일자리 창출, 지역 기업 및 지역 대학‧연구기관 등과 연계한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 등 적극적인 역할을 맡게 된다.


 ㅇ그동안 공공기관들이 지방에 이전하면서 크고 작은 지역사회 기여활동을 추진해 왔으나, 대부분 일회성 봉사활동이나 시설 개방 등에 그쳐, 지역에서는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요구해 왔다.


   * ’16년 이전 공공기관 지역사회 기여활동의 60% 이상이 체육시설 등 시설물 개방, 단순 봉사 및 비용 지원 성격의 활동


 ㅇ앞으로 이전 공공기관들은 지역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연관기업 유치와 지역 내 중소기업 및 사회적 경제 기업 등 동반성장 지원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지역인재 양성 및 채용 등 청년 일자리 창출, 복합문화시설 건립, 주민생활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게 된다.

 

□ 이전 공공기관들의 지역발전계획을 혁신도시별로 살펴보면, 도시별 특화 발전전략과 연계한 지역 발전사업들이 눈에 띈다.


[ 혁신도시별 주요 이전기관들의 지역발전계획 ]


 ※이미지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141개 지방 이전 공공기관, 지역별 발전 계획 마련)



 ① 부산혁신도시에서는 해양‧금융‧영상의 신성장 거점화를 위한 활동들이 시행된다. 주택도시보증공사 등 7개 기관은 ‘22년까지 50억 원을 지원하여 사회적 경제 기업 지원 공동펀드를 조성하고 사회적 금융허브 조성에 나설 계획이다. 남부발전은 조선해양 중소기업 10개사를 대상으로 기술 개발에서 판로지원까지 패키지로 지원한다.


  대구혁신도시의 경우, 정보화진흥원이 지능형 교통정보 인프라 구축과 함께 대구지역 100개 학교에 무선인프라 구축을 지원하여 IoT 기반의 스마트도시 조성에 앞장선다. 가스공사는 대구 동구에 약 8,000평 규모의 천연가스타운을 조성하고, 지역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500억 원 규모의 동반성장펀드를 운영한다.


 ③ 울산혁신도시의 동서발전은 용연수질개선 사업소 등 6개 시설물에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추진하여 약 300억 원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도록 지원하고, UNIST(울산과학기술원) 등 지역 대학, 기업, 에너지공단 등과 협업하여 신재생 분야 연구개발사업도 추진한다. 산업안전보건공단은 지역 중소기업의 안전환경 조성을 위해 약 60억 원 규모의 융자금을 지원하고, 건강증진센터도 운영할 계획이다.


 ④ 광주전남혁신도시에서는 스마트에너지 생태계 조성을 위해 한전에서 ‘20년까지 에너지 기업 등 500개사와 투자협약을 체결하고, 연관기업 등을 적극 유치할 계획이다. 또한, 예탁형 이자 지원 등 자금 지원, 해외 수출촉진회 등 판로지원활동을 통해 빛가람 에너지밸리 조성에 적극 참여한다. 컨텐츠진흥원은 체험형 인턴 과정을 운영하고, 구내식당에 로컬푸드 및 친환경 농산물을 적극 이용할 계획이다.


 ⑤ 강원혁신도시의 관광공사는 망상해수욕장에 장애인 등 관광 취약계층을 위한 ‘열린관광지’를 조성하고, 강원도 내 15개 대학과 합동으로 관광특화 교육과정인 ‘관광나래 오픈캠퍼스’를 운영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디지털헬스케어 빅데이터 분석 전문 인력 양성 및 창업, 사업화 지원을 통해 생명·건강산업 생태계 조성을 선도한다.


 ⑥ 충북혁신도시의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지역 17개 초・중학교 대상 3D 프린팅, 드론, 사물인터넷 등 신기술 체험교육을 지원하여 ICT 인재 조기 양성 및 진로탐색 기회를 제공하고, 충북지역 SW 기업을 대상으로 마케팅, 기술 지원, 인력양성 등 지원활동을 펼친다.


 ⑦ 경북혁신도시에서는 교통안전공단이 ‘20년까지 240억 원을 투자하여 첨단자동차검사연구센터를 건립하여 첨단 검사 기술 개발, 관련 종사자 교육·육성을 통해 김천을 첨단교통산업의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한국전력기술은 적층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개발, 지역 에너지 진단 등 지역 중소업체와의 기술 및 사업개발 협력으로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촉진한다.


 ⑧ 경남혁신도시의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약 200억 원을 투입하여 시민들이 문화와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복합문화도서관을 건립하고 도서관, 공연장 등 시설을 제공한다. 세라믹기술원은 세라믹 관련 지역 기업 유치 및 지역거점 사업 활성화를 위해 지역 기업 및 기관과의 공동연구, 기술이전 및 인력양성 등을 적극 진행한다.


 ⑨ 전북혁신도시에 위치한 한국국토정보공사는 전북도, IBK와 협약을 체결하여 ‘20년까지 200억 원 규모의 상생희망펀드를 조성하고 전북지역 중소기업 대출이자 지원 등 사업을 시행한다. 또한, ‘20년까지 전주 LX공간드림센터를 건립하여 창업기업에게 입주공간과 함께 컨설팅, 교육 등 지원 서비스도 제공한다.


 제주혁신도시로 이전한 공무원연금공단은 지역민들에게 외국어 및 IT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국토부 손병석 혁신도시발전추진단장(제1차관)은 “「혁신도시 시즌 2」를 통해 혁신도시들이 지역의 성장거점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전 공공기관들이 지자체, 지역 기업, 지역 대학 및 연구기관들과 활발히 교류하고 협력하여 지역혁신성장 엔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이번 지역 발전 계획을 계기로 지역기여 활동들이 더욱 확대되도록 관련 부처, 지자체, 공공기관들과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료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141개 지방 이전 공공기관, 지역 발전계획 마련) 전문


 

부동산 투자 정확한 정보만 있다면 소액 투자로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정보세미나/컨설팅 신청 등 부동산 재테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 부담 없이 문의하십시오

부동산 정보세미나/컨설팅 신청 및 문의는 이천수 팀장에게 문의하세요

010-9469-2799

사업자 정보 표시
금마루 | 손기원 | 서울시 강동구 성내동 77-40 금마루 | 사업자 등록번호 : 201-24-67406 | TEL : 02-472-5110 | Mail : dolis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