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7. 10. 20:40ㆍ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조사 : 2018년 7월 1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매매가격 하락폭 유지, 전세가격 하락폭 소폭 확대
[한국감정원 보도자료 2018.07.05(목요일)]
□ 한국감정원(원장 : 김학규)이 2018년 7월 1주(7.2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5% 하락, 전세가격은 0.12% 하락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 [전국 : -0.05%]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전주 대비 보합을 기록했다. 지역별로 수도권과 서울은 상승폭 축소(수도권(0.02%→0.01%), 서울(0.10% → 0.09%)), 5대 광역시는 하락폭 확대(-0.04% → -0.05%), 지방은 하락폭 축소(-0.12% → -0.11%) 됐다.
○ 시도별로는 서울(0.09%), 광주(0.05%), 전남(0.04%), 대구(0.03%), 세종(0.02%), 제주(0.01%)은 상승, 울산(-0.24%), 충남(-0.24%), 강원(-0.24%), 충북(-0.24%), 경남(-0.22%), 경북(-0.13%) 등은 하락했다.
- 공표 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57→58개) 및 보합 지역(20→23개)은 증가, 하락 지역(99→95개)은 감소했다.
□ [수도권 : 0.01%] 서울 0.09% 상승, 인천 0.03% 하락, 경기 0.04% 하락
○ [서울] 상승폭 축소 : +0.10% → +0.09%
- (강북 14개 구 : +0.14%) 동대문구(+0.29%)는 그간 상승 폭이 낮았던 제기·회기동 위주로 상승세를 이어 갔으나, 광진구(0.00%)는 매수자 관망이 확대되며 상승에서 보합 전환
- (강남 11개 구 : +0.05%) 동작구(+0.22%)는 흑석·노량진 뉴타운 개발 기대감으로 상승 폭이 확대되었으나, 강남(-0.10%)·송파구(-0.08%)는 다양한 정부규제로 인해 재건축 단지 위주로 하락세가 지속(강남구는 압구정·개포동 위주 하락 / 송파구는 잠실·방이·신천동 위주 하락)
○ [인천] 하락폭 확대 : -0.02% → -0.03%
- 미추홀구(舊남구)(+0.07%)는 용현·학익지구 분양 호조로 상승 전환되었으나, 부평구(-0.12%)는 매수 수요 감소로 하락 전환
○ [경기] 하락폭 확대 : -0.03% → -0.04%
- (하남시 : +0.28%) 지하철 5호선 연장 기대감(덕풍역(예정) 인근)으로 상승폭 확대
- (평택시 : -0.63%) 소사벌지구 입주 물량 증가로 하락폭 확대
□ [지방 : -0.11%] 5대 광역시 0.05% 하락, 8개도 0.16% 하락, 세종 0.02% 상승
○ [5대 광역시]] 하락폭 확대 : -0.04% → -0.05%
- (광주 : +0.05%) 광산구(+0.12%)는 수완지구 우수학군 인근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세 지속
- (울산 : -0.24%) 울주군(-0.32%)은 경기 침체 및 입주 물량 증가로 하락세 지속
○ [8개도] 하락폭 축소 : -0.19% → -0.16%
- (전남 : -0.04%) 나주시(+0.10%)는 혁신도시 이주 수요로 상승세 유지
- (충남 : -0.24%) 당진시(-0.43%)는 지역 경기 침체 및 입주 물량 형향으로 하락폭 확대
○ [세종] 상승폭 축소 : +0.20% → +0.02%
- 다양한 정부규제로 관망세가 확산되며 상승폭 축소
2. 주간 아파트 전세 가격 동향
□ [전국 : -0.12%]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 가격은 전주 대비 하락폭이 소폭 확대됐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하락폭 축소(-0.10% → 0.09%), 서울은 보합에서 상승 전환(0.00% → 0.01%), 5대 광역시와 지방은 하락폭 확대((5대 광역시(-0.07% → -0.09%), 지방(-0.11% → -0.14%)) 됐다,
○ 시도별로는 대구(0.01%), 전남(0.01%), 서울(0.01%)은 상승, 울산(-0.44%), 세종(-0.39%), 충남(-0.35%), 전북(-0.20%), 경남(-0.19%), 충북(-0.17%), 강원(-0.17%) 등은 하락했다.
- 공표 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30→26개) 및 하락 지역(124→118개)은 감소, 보합 지역(22→32개)은 증가했다.
□ [수도권 : -0.09%] 서울 0.01% 상승, 인천 0.05% 하락, 경기 0.16% 하락
○ [서울] 상승 전환 : 0.00% → -0.01%
-(강북 14개 구 : +0.02%) 종로구(+0.11%)는 직주근접 수요로 상승하였으나, 광진구(-0.10%)는 학군이주 비수기 및 인근 지역 수요 분산으로 매물이 적체되며 하락
- (강남 11개 구 : -0.01%) 강서구(+0.12%)는 마곡지구 이주 수요로 상승하였으나, 강남 3구는 하락세를 이어가고, 영등포구(-0.19%)는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하락
○ [인천] 하락폭 축소 : -0.07% → 0.05%
- 매매와 동반 하락세 지속
○ [경기] 하락폭 축소 : -0.18% → -0.16%
- (성남시 중원구 : 0.05%) 저가 매물 수요로 하락세가 진정되며 상승 전환
- (안산시 단원구 : -0.95%) 신규 입주 물량 증가로 하락폭 확대
□ [지방 : -0.14%] 5대 광역시 0.09% 하락, 8개도 0.18% 하락, 세종 0.39% 하락
○ [5대 광역시] 하락폭 확대 : -0.07% → -0.09%
- (대구 : +0.01%) 서구(+0.10%)는 지하철 인근 신축 아파트 수요로 상승
- (울산 : -0.44%) 북구(-0.55%)는 누적된 신규 입주 물량 증가 및 수요 감소로 하락
○ [8개도] 하락폭 확대 : -0.14% → -0.18%
- (전남 : +0.01%) 목포시(+0.07%)는 주거선호도 높은 신도시 위주 상승
- (충남 : -0.35%) 공주시(-0.78%)는 신규 입주 물량 영향으로 하락
○ [세종] 하락폭 확대 : -0.27% → -0.39%
- 다정·고운동 신규 입주 물량 영향으로 하락
○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 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쉬운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앰스토어"에서 "한국감정원" 검색 후 설치]
붙임 1 | 전국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
□ 전국 아파트 매매 가격 변동률
□ 전국 아파트 전세 가격 변동률
* '17년 누계는 '18년 누계와 도일 누적 주차를 기준으로 산정(예시: '18년 14주 차의 경우, '17년 수치 또한 14주 차 누계치임)
** 연초(1월 1주차)부터 도일 주 차 변동률(예시: '18년 14주 차의 경우, '17년 수치 또한 14주 차 변동률임)
붙임 2 | 전국 주요 지역 주간 아파트 변동률 통계표 |
□ 전국 아파트 매매 가격 변동률
□ 전국 아파트 전세 가격 변동률
* '17년 누계는 '18년 누계와 도일 누적 주차를 기준으로 산정(예시: '18년 14주 차의 경우, '17년 수치 또한 14주 차 누계치임)
** 연초(1월 1주차)부터 도일 주 차 변동률(예시: '18년 14주 차의 경우, '17년 수치 또한 14주 차 변동률임)
붙임 3 |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 지수 변동률 그래프 |
※자료출처 : 한국감정원 보도자료(2018년 7월 1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전문 |
부동산 투자 정확한 정보만 있다면 소액 투자로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정보, 세미나/컨설팅 신청 등 부동산 재테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 부담 없이 문의하십시오
부동산 정보, 세미나/컨설팅 신청 및 문의는 이천수 팀장에게 문의하세요
☎010-9469-2799
'부동산 지식 창고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6~2025) 사업 소개 (0) | 2018.07.12 |
---|---|
[부동산뉴스]부동산가격공시제도 공시가격의 낮은 현실화율 형평성 제고[국토교통부 보도자료] (0) | 2018.07.11 |
[국토교통부] 신혼부부 주택 구입 시 취득세 감면 추진 (0) | 2018.07.06 |
신혼부부, 청년 주택등 신규 공공주택지구 위치 정보 성남 서현 등 13곳 (0) | 2018.07.06 |
국토교통부 신혼희망타운 10만호 공급「신혼부부·청년 주거지원방안」발표 (0) | 2018.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