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6. 8. 19:47ㆍ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주간 전국 아파트 가격 변동 정보]
전국 주택 가격 동향조사 : 2018년 6월 1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매매가격 하락폭 유지, 전세 가격 하락폭 축소
[한국감정원 보도자료(2018.06.07)]
□ 한국감정원(원장 : 김학규)이 2018년 6월 1주(6.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5% 하락, 전세 가격은 0.10% 하락하였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 [전국 : -0.05%] 보유세 개편 논의, 대출금리 상승, 공급물량 증가 등 하방 요인과 더불어 지방선거를 앞두고 관망세가 우세한 가운데 수도권은 경기 과천이 36주 만에 하락 전환, 성남은 보합 수준으로 소폭 상승, 서울도 직주근접 수요 및 정비 사업, 청약시장 호조 등의 영향으로 소폭 상승하는 등 대다수 안정세가 이어가고, 지방은 경기 침체와 과잉공급이 맞물린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지역별 혼조세를 미미하게 상승 또는 하락하며 전국적으로 지난주 하락폭을 유지하였다.
○ 시도별로는 전남(0.06%), 세종(0.05%), 대구(0.04%) 등은 상승, 대전(0.00%)은 보합, 울산(-0.26%), 경남(-0.25%), 강원(-0.17%) 등은 하락하였다.
- 공표 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56→55개) 및 보합 지역(21→18개)은 감소, 하락 지역(99→103개)은 증가하였다.
□ [수도권 : -0.01%] 서울은 0.02% 상승, 경기는 0.03%, 인천은 0.01% 하락하였다.
□ [지방 : -0.09%] 강원도는 공급 증가 영향으로, 경상권은 조선업 등 지역 기반 산업 침체와 신규 공급 지속으로 구매력이 감소하며 하락하였고, 제주는 매수자 우위 시장이 지속되며 하락 전환되었으나, 충청권은 하락폭이 축소, 대구·광주·전남은 상승세 지속, 세종은 상승 전환, 대전은 하락에서 보합 전환되며 전체적으로는 지난주와 동일한 하락폭을 유지하였다.
□ [서울 : 0.02%] 정비 사업 및 신규 분양 기대감 등으로 상승세가 이어가나, 강북지역은 다수 상승세가 둔화되고, 강남 3구는 하락세가 지속되며 상승 폭이 축소되었다.
○ [강북 14개 구 : 0.06%] 동대문구는 대단지 신규 입주와 하반기 예정된 신규 분양의 기대감으로, 서대문구는 정비 사업구역 인근 및 일부 저평가 단지 위주로 상승하였으나 상승 폭이 축소되었고, 노원구는 하락 전화, 용산구는 보합 전환되며 전체적으로는 상승 폭이 축소되었다.
○ [강남 11개 구 : -0.01%] 영등포구는 정비 사업 진척 및 분양시장 호조 등을 상승하고, 금천구는 개발 기대감이 높은 금천구청 역 인근 위주로 상승하였으나, 강서구는 상승에서 보합 전환되고 강남 3구와 양천구는 하락세가 지속되며 전체적으로는 지난주 하락폭을 유지하였다.
2. 주간 아파트 전세 가격 동향
□ [전국 : -0.10%] 전국적으로 풍부한 신규 입주 물량 영향으로 전세 매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수도권은 작년 12월부터 27주 연속 하락하였고, 지방은 지역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까지 더해지며 강원·충청·경상권 등 대다수의 지역에서 하락하는 등 전국적으로 하락세가 지속되었으나 지난주 대비 하락폭은 소폭 축소되었다.
○ 시도별로는 전남(0.07%), 광주(0.01%)는 상승, 충남(-0.33%), 울산(-0.31%), 세종(-0.30%), 제주(-0.24%), 경북(-0.17%), 경남(-0.16%), 강원(-0.14%), 부산(-0.14%), 경기(-0.12%) 등은 하락하였다.
- 공표 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9→25개)은 증가, 보합 지역(30→28개) 및 하락 지역(127→123개)은 감소하였다.
□ [수도권 : -0.08%] 서울은 0.04%, 경기는 0.12%, 인천은 0.05% 하락하였다.
□ [지방 : -0.12%] 광주와 전남은 소폭 상승하였으나. 울산·경남은 지역 기반 산업 침체와 근로자 유출로 하락세 지속, 부산·강원·충남은 신규 공급 영향으로 전 세 공급이 누적되며 하락폭이 확대되고, 세종시 입주 단지의 전세 매물이 지속적으로 시장에 나오며 대전·세종도 하락하는 등 대다수 지역에서 하락하였다.
□ [서울 : -0.04%] 서울 자체 및 인근 신도시 신규 입주 영향으로 전세 공급이 풍부해지며 2월 둘째 주 이후 하락세가 지속되었다.
○ [강남 14개 구 : -0.01%] 종로·서대문구는 직주근접 수요로 상승하였으나, 용산구는 노후 단지를 중심으로 하락 전환되고, 광진·성동구는 금호·행당동 일대 신규 입주 단지 영향으로 하락하였다.
○ [강남 11개 구 : -0.07%] 정비 사업 이주시기가 다가오며 서초구는 하락세 둔화, 강동구는 상승하고, 송파구는 신규 공급 영향 등으로 많은 단지에서 가격 조정된 매물이 출현하며 하락세가 지속되었다.
○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 통계정보 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붙임 1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
□ 매매가격 변동률
□ 전세가격 변동률
*'17년 누계는 '18년 누계와 동일 누적 주차를 기준으로 산정(예시 : '18년 14주 차의 경우, '17년 수치 또한 14주 차 누계치임)
** 연초(1월 1주차)부터 동일 주차 변동률(예시:'18년 14주 차의 경우, '17년 수치 또한 14주 차 변동률임)
붙임 2 | 주요지역 주간 아파트 변동률 통계표 |
□ 매매가격 변동률
□ 전세 가격 변동률
* '17년 누계는 '18년 누계와 동일 누적 주차를 기준으로 산정(예:'18년 14주 차의 경우, '17년 수치 또한 14주 차 누계치임)
** 연초(1월 1주차)부터 동일 주차 변동률(예시:'18년 14주 차의 경우, '17년 수치 또한 14주 차 변동률임)
붙임 3 |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 지수 변동률 그래프 |
※자료출처 : 한국감정원 보도자료(2018년 6월 1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전문 |
부동산 투자 정확한 정보만 있다면 소액 투자로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정보, 세미나/컨설팅 신청 등 부동산 재테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 부담 없이 문의하십시오
부동산 정보, 세미나/컨설팅 신청 및 문의는 이천수 팀장에게 문의하세요
☎010-9469-2799
'부동산 지식 창고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정보]5월 임대사업자 7,625명 등록 증가세 지속 (0) | 2018.06.11 |
---|---|
[부동산 투자정보] 부동산 토지투자의 전성시대 열리고 있다. (0) | 2018.06.09 |
[부동산투자정보] 지역발전투자협약(계획계약), 국가균형발전 이끈다. (0) | 2018.06.07 |
[국토교통부 공고] 부동산거래가격 검증체계 및 신고내용 조사 규정 개정안 (0) | 2018.06.04 |
2018년 5월 4주(5월 28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변동 현황 (0) | 2018.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