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6. 13. 14:47ㆍ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 한국감정원 보도자료 ]
|
□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이 2024년 6월 2주(6.1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0% 보합, 전세가격은 0.03% 상승을 기록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 [전국 : 0.00%]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1%) 대비 보합 전환됐다. 수도권(0.05%→0.05%)은 상승폭 유지, 서울(0.09%→0.10%)은 상승폭 확대, 지방(-0.02%→-0.05%)은 하락폭 확대됐다.(5대광역시(-0.04%→-0.08%), 세종(-0.08%→-0.06%), 8개도(0.00%→-0.03%))
ㅇ 시도별로는 인천(0.06%), 경기(0.02%), 전북(0.02%), 충북(0.01%) 등은 상승, 대구(-0.16%), 부산(-0.08%), 경북(-0.06%), 전남(-0.05%), 광주(-0.05%), 제주(-0.04%), 경남(-0.04%) 등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87→87개)은 유지, 보합 지역(18→6개)은 감소, 하락 지역(73→85개)은 증가
□ [수도권 : 0.05%] 서울 0.10% 상승, 인천 0.06% 상승, 경기 0.02% 상승
ㅇ [서울 : 0.09% → 0.10%]
- 전세가격 상승세 속 매매가격 하락 우려가 점차 줄어들고 선호지역‧단지 중심으로 매수문의 꾸준히 유지되는 상황으로 간헐적 상승거래 발생 후 매도호가 상향조정하는 등 상승 지속
- (강북 14개구 : 0.10%) 성동구(0.26%)는 행당·왕십리‧옥수동 주요단지 위주로, 광진구(0.15%)는 구의‧광장동 구축 위주로, 동대문구(0.14%)는 전농‧제기‧답십리동 위주로, 서대문구(0.14%)는 남가좌‧북아현동 위주로, 마포구(0.14%)는 용강‧공덕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
- (강남 11개구 : 0.10%) 서초구(0.21%)는 반포‧잠원‧서초동 선호 대단지 위주로, 강남구(0.14%)는 역삼‧삼성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송파구(0.11%)는 송파‧문정동 일대 상대적 저가단지 위주로 상승
ㅇ [인천 : 0.06% → 0.06%]
- 중구(0.20%)는 중산·운서동 신도시 위주로, 남동구(0.09%)는 논현·서창동 역세권 및 주요단지 위주로, 미추홀구(0.08%)는 도화·용현동 대단지 위주로, 연수구(0.04%)는 송도·동춘동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상승
ㅇ [경기 : 0.03% → 0.02%]
- 지역별 상승·하락 혼조세 가운데, 과천시(0.38%)는 재건축 기대감 있는 중앙·별양동 위주로, 성남 분당구(0.30%)는 이매·서현동 위주로, 안양 동안구(0.21%)는 평촌·호계동 주요단지 위주로, 성남 수정구(0.11%)는 창곡·신흥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광명시(0.11%)는 철산·하안동 위주로 상승
□ [지방 : -0.05%] 5대광역시 0.08% 하락, 세종 0.06% 하락, 8개도 0.03% 하락
ㅇ [5대광역시 : -0.04% → -0.08%]
- (대구 : -0.08% → -0.16%) 서구(-0.21%)는 내당‧중리동 위주로, 달서구(-0.20%)는 입주물량 영향 보이며 대곡‧도원동 위주로, 북구(-0.17%)는 산격‧복현동 구축 위주로 하락
- (부산 : -0.05% → -0.08%) 수영구(-0.26%)는 민락‧남천동 주요 단지 위주로, 부산진구(-0.21%)는 양정·범천동 구축 위주로, 연제구(-0.14%)는 상승·하락 혼재한 가운데 연산동 위주로 하락
ㅇ [세종 : -0.08% → -0.06%]
- 매물적체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새롬·아름동 위주로 하락
ㅇ [8개도 : 0.00% → -0.03%]
- (경북 : 0.01% → -0.06%) 상주시(0.34%)는 냉림‧성동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구미시(-0.22%)는 도량·봉곡동 위주로 하락
< 지역별 2024년 6월 2주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 비교(전주 대비%) >
구 분 | 6.3(전기) | 6.10(당기) | 비 고 | |
1 | 전북 | 0.07 | 0.02 | 상승폭 축소 |
2 | 충북 | -0.02 | 0.01 | 하락에서 상승 전환 |
3 | 강원 | 0.02 | -0.02 | 상승에서 하락 전환 |
4 | 충남 | 0.03 | -0.02 | 상승에서 하락 전환 |
5 | 경남 | -0.03 | -0.04 | 하락폭 확대 |
6 | 제주 | -0.07 | -0.04 | 하락폭 축소 |
7 | 전남 | -0.02 | -0.05 | 하락폭 확대 |
8 | 경북 | 0.01 | -0.06 | 상승에서 하락 전환 |
전북(8개도 중 1위) | 6.3 | 6.10 | |
1 | 전북 전주시 덕진구 | 0.18 | 0.13 |
2 | 전북 전주시 완산구 | 0.16 | 0.06 |
3 | 전북 김제시 | 0.02 | 0.04 |
4 | 전북 남원시 | 0.16 | 0.01 |
5 | 전북 군산시 | -0.05 | -0.05 |
6 | 전북 정읍시 | -0.01 | -0.05 |
7 | 전북 익산시 | -0.04 | -0.09 |
경북(8개도 중 8위) | 6.3 | 6.10 | |
1 | 경북 상주시 | 0.40 | 0.34 |
2 | 경북 안동시 | 0.05 | 0.19 |
3 | 경북 김천시 | 0.03 | 0.11 |
4 | 경북 문경시 | 0.11 | 0.11 |
5 | 경북 영천시 | 0.05 | 0.09 |
6 | 경북 영주시 | 0.06 | 0.05 |
7 | 경북 경주시 | 0.10 | 0.03 |
8 | 경북 칠곡군 | -0.04 | 0.00 |
9 | 경북 포항시 남구 | 0.01 | -0.06 |
10 | 경북 포항시 북구 | -0.08 | -0.07 |
11 | 경북 경산시 | -0.04 | -0.17 |
12 | 경북 구미시 | -0.01 | -0.22 |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 [전국 : 0.03%]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4%) 대비 상승폭 축소됐다. 수도권(0.11%→0.10%)은 상승폭 축소, 서울(0.10%→0.12%)은 상승폭 확대, 지방(-0.02%→-0.03%)은 하락폭 확대됐다. (5대광역시(-0.02%→-0.03%), 세종(-0.15%→-0.19%), 8개도(0.00%→-0.02%))
ㅇ 시도별로는 인천(0.14%), 경기(0.08%), 울산(0.05%), 강원(0.04%), 충북(0.01%) 등은 상승, 전남(0.00%)은 보합, 대구(-0.10%), 경북(-0.08%), 제주(-0.04%), 경남(-0.04%), 대전(-0.04%) 등은 하락했다.
-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10→106개) 및 보합 지역(10→5개)은 감소, 하락 지역(58→67개)은 증가
□ [수도권 : 0.10%] 서울 0.12% 상승, 인천 0.14% 상승, 경기 0.08% 상승
ㅇ [서울 : 0.10% → 0.12%]
- 신축‧역세권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갱신계약 증가하면서 매물부족 현상 심화되고 있으며, 대기수요 꾸준한 가운데 인근 구축의 경우도 저가매물 소진되는 등 전체 상승폭 확대
- (강북 14개구 : 0.15%) 은평구(0.25%)는 수색‧응암동 준신축 위주로, 용산구(0.19%)는 이촌‧도원동 대단지 위주로, 성동구(0.18%)는 금호동1가‧옥수동 주요단지 위주로, 성북구(0.17%)는 길음‧정릉동 대단지 위주로, 중구(0.16%)는 신당‧황학동 위주로 상승
- (강남 11개구 : 0.10%) 양천구(0.14%)는 목‧신정동 주요단지 위주로, 동작구(0.13%)는 노량진‧사당동 대단지 위주로, 관악구(0.13%)는 신림‧봉천동 위주로, 강서구(0.12%)는 마곡‧가양동 위주로, 영등포구(0.12%)는 신길‧대림동 역세권 구축 위주로 상승
ㅇ [인천 : 0.15% → 0.14%]
- 서구(0.21%)는 심곡‧신현동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미추홀구(0.16%)는 용현‧도화동 준신축 대단지 위주로, 부평구(0.15%)는 일신‧삼산동 위주로, 계양구(0.14%)는 귤현‧병방동 구축 위주로, 남동구(0.12%)는 서창‧구월동 위주로 상승
ㅇ [경기 : 0.10% → 0.08%]
- 파주시(-0.14%)는 야동‧검산동 구축 위주로, 안양 동안구(-0.12%)는 입주물량 영향으로 비산‧호계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광명시(0.32%)는 하안‧철산동 소형 규모 위주로, 시흥시(0.27%)는 미산‧거모동 위주로, 부천 소사구(0.26%)는 소사본‧송내동 위주로 상승
□ [지방 : -0.03%] 5대광역시 0.03% 하락, 세종 0.19% 하락, 8개도 0.02% 하락
ㅇ [5대광역시 : -0.02% → -0.03%]
- (대구 : -0.09% → -0.10%) 달서구(-0.19%)는 매물적체 지속되며 월성‧대곡동 위주로, 수성구(-0.10%)는 사월‧신매동 위주로, 북구(-0.09%)는 구암‧동천동 구축 대단지 위주로 하락
- (대전 : -0.03% → -0.04%) 동구(-0.10%)는 신규 입주물량 영향있는 천‧신흥동 위주로, 대덕구(-0.07%)는 법‧석봉동 위주로, 서구(-0.04%)는 상승‧하락 혼조세 보이는 가운데 갈마‧만년동 위주로 하락
ㅇ [세종 : -0.15% → -0.19%]
- 지속적인 입주물량 영향으로 새롬·아름·고운동 위주로 하락
ㅇ [8개도 : 0.00% → -0.02%]
- (경북 : -0.06% → -0.08%) 포항 북구(-0.30%)는 흥해읍 및 장성·양덕동 위주로, 구미시(-0.10%)는 고아읍 및 송정동 위주로 하락
< 지역별 2024년 6월 2주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 비교(전주 대비%) >
구 분 | 6.3(전기) | 6.10(당기) | 비 고 | |
1 | 강원 | 0.10 | 0.04 | 상승폭 축소 |
2 | 충북 | 0.01 | 0.01 | 상승폭 유지 |
3 | 전북 | 0.01 | 0.01 | 상승폭 유지 |
4 | 전남 | -0.01 | 0.00 | 하락에서 보합 전환 |
5 | 충남 | 0.04 | -0.01 | 상승에서 하락 전환 |
6 | 경남 | -0.03 | -0.04 | 하락폭 확대 |
7 | 제주 | -0.06 | -0.04 | 하락폭 축소 |
8 | 경북 | -0.06 | -0.08 | 하락폭 확대 |
강원(8개도 중 1위) | 6.3 | 6.10 | |
1 | 강원 태백시 | 0.19 | 0.15 |
2 | 강원 원주시 | 0.13 | 0.07 |
3 | 강원 속초시 | 0.16 | 0.07 |
4 | 강원 춘천시 | 0.10 | 0.05 |
5 | 강원 동해시 | 0.10 | 0.04 |
6 | 강원 삼척시 | 0.00 | -0.05 |
7 | 강원 강릉시 | 0.03 | -0.07 |
경북(8개도 중 8위) | 6.3 | 6.10 | |
1 | 경북 상주시 | 0.27 | 0.19 |
2 | 경북 안동시 | 0.01 | 0.06 |
3 | 경북 영주시 | 0.01 | 0.06 |
4 | 경북 문경시 | 0.02 | 0.05 |
5 | 경북 경주시 | 0.07 | 0.02 |
6 | 경북 영천시 | 0.03 | -0.01 |
7 | 경북 칠곡군 | 0.00 | -0.03 |
8 | 경북 경산시 | -0.20 | -0.05 |
9 | 경북 김천시 | 0.02 | -0.06 |
10 | 경북 구미시 | -0.11 | -0.10 |
11 | 경북 포항시 남구 | -0.15 | -0.10 |
12 | 경북 포항시 북구 | -0.07 | -0.30 |
※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쉬운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감정원” 검색 후 설치
붙임 1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붙임 2 : 규제지역 주간 아파트 변동률 통계표
붙임 3 :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 붙임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 자료출처 : 한국감정원(http://www.reb.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