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3월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땅값 3.33% 상승, 거래량 전년대비 3.0% 감소

2018. 10. 27. 19:21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정무E&A 부동산 투자&자산관리 전문가 이천수 팀장 부동산 투자정보]

올해 3분기까지 땅값 3.33% 상승, 거래량은 전년 대비 3.0% 감소

땅값 세종>부산>서울>제주 순으로 많이 올라, 거래량은 지방 중심으로 소폭 줄어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18.10. 26(금)]




 1. 지가 변동률


[ 종합 ]

□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올해 3분기까지 전국 땅값은 3.33% 상승해, ‘17년 3분기까지 누계(2.92%) 대비 소폭 높은 수준(0.41%p 상승)이라고 밝혔다.


 ㅇ 이는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변동률(1.47%)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다.




< 연도별 3분기까지 누계 지가 및 소비자물가 변동률 >

(지가지수 : 2016. 12. 1.=100)          

구분(해당년 3분기기준)

‘10.

‘11.

‘12.

‘13.

‘14.

‘15.

‘16.

‘17.

18

전국

(지가지수)

0.94

(90.381)

0.88

(91.273)

0.75

(92.219)

0.67

(93.031)

1.43

(94.794)

1.67

(96.888)

1.97

(99.507)

2.92

(103.148)

3.33

(107.569)

 

수도권

0.96

0.92

0.54

0.58

1.41

1.57

1.84

2.91

3.64

지방

0.88

0.79

1.13

0.84

1.46

1.85

2.21

2.95

2.80

소비자물가*

(전년대비)

2.84

4.05

2.35

1.38

1.37

0.64

0.81

2.10

1.47


[ 지역별 지가변동률 ]

□ (시도별, %) 17개 시‧도의 땅값이 모두 상승했으며 세종(5.42), 부산(4.51), 서울(4.30), 제주(4.08), 대구(3.54) 순으로 높게 상승했다.


 ㅇ (수도권, 3.64%) 서울(4.30)은 전국 평균(3.33)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이며, 경기(3.20), 인천(2.42) 지역은 전국 평균(3.33)을 하회했다.

 ㅇ (지방, 2.80%) 세종(5.42)이 최고 상승률을 보였으며, 부산, 제주, 대구, 광주 등 5개 시·도는 전국 평균(3.33)을 상회했다.


< 2018년 3분기까지 누계 지가변동률(%) >



□ (시군구별, %) 경기 파주시(8.14)를 비롯해 강원 고성군(6.51), 서울 용산구(6.50), 부산 해운대구(6.07), 서울 동작구(6.05)에서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ㅇ 울산 동구(-2.34), 전북 군산시(-1.02), 경남 창원성산구(-0.39)는 하락했고, 경남 창원진해구(0.24), 경남 거제시(0.32)는 상대적으로 낮게 상승했다.


< 2018년 3분기까지 누계 지가변동률 상위 5개 현황(%) >

순위

시군구

변동률

주요 변동사유

비고

1

경기 파주시

8.14

GTX-A, 지하철3호선 연장 및 남북관계 개선 기대감에 따른 투자수요 증가

경기(3.20)

2

강원 고성군

6.51

남북교류 기대감으로 제진역 등 접경지역에 대한 수요 지속 및 해안가 인근 전원주택 수요

강원(2.69)

3

서울 용산구

6.50

한강로일대 개발사업의 원활한 진행 및 한남뉴타운 사업 가속화에 따른 투자수요 지속

서울(4.30)

4

부산 해운대구

6.07

LCT, 친환경 생태공원조성 등 대형 개발호재 및 해운대 상권 활성화에 따른 투자수요

부산(4.51)

5

서울 동작구

6.05

노량진, 흑석 등 뉴타운사업지 중심의 투자수요 및 서리풀터널 개통 기대감

서울(4.30)


< 2018년 3분기까지 누계 지가변동률 ​하위 5개​ 현황(%) >

순위

시군구

변동률

주요 변동사유

비고

1

울산 동구

-2.34

현대중공업 가동 중단 등 지역 경기 장기 침체에 따른 인구 유출 및 수요 감소

울산(2.25)

2

전북 군산시

-1.02

GM군산공단 폐쇄 등 지역 기반산업 경기 침체로 인구감소 지속 및 수요 감소

전북(2.01)

3

경남 창원성산구

-0.39

지역 산업경기 침체 장기화로 부동산 거래 급감 및 매도호가수준 하락

경남(1.94)

4

경남 창원진해구

0.24

군시설 이전, 지역 경기 침체에 따른 구조조정으로 인한 매수 심리 위축 및 매수력 약화

5

경남 거제시

0.32

조선소 구조조정 등 조선업 불황에 따른

인구감소 및 부동산 수요 감소



[ 용도지역별·이용상황별 지가변동률 ]

□ (용도지역별, %) 주거(3.75), 계획관리(3.30), 상업(3.16), 농림(3.16), 녹지(2.73), 생산관리(2.72)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 2018년 3분기까지 누계 용도지역별 지가변동률(%) >

구 분

도시지역

비도시지역

주거

상업

공업

녹지

보전관리

생산관리

계획관리

농림

자연환경

2017

3.29

2.87

1.98

2.40

1.84

2.11

2.83

2.24

1.74

2018

3.75

3.16

1.92

2.73

2.31

2.72

3.30

3.16

2.15


□ (이용상황별, %) 주거용(3.64), 상업용(3.40), 전(3.14), 답(3.03), 임야(2.35), 공장용지(2.04)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 2018년 3분기까지 누계 이용 상황별 지가변동률(%) >

구 분

주거용

상업용

공장용지

임야

기타*

2017

3.18

2.94

2.00

2.68

2.59

1.90

1.76

2018

3.64

3.40

2.04

3.14

3.03

2.35

1.88

          * 기타 : 여객자동차터미널, 골프장, 스키장, 염전, 광업용지 등



 2. 토지 거래량


[ 종합 ]

□ ’18년 3분기(9월 누계) 전체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241만 2천 필지(1,550.6㎢, 서울 면적의 약 2.6배)로, 


 ㅇ ’17년 3분기까지 누계 대비 3.0%(-74,658 필지) 감소했으며, ’16년 3분기까지 누계 대비 11.1%(+240,649 필지) 증가했다.


□ 거래량은 전년 3분기(9월 누계) 대비 분양권거래는 증가*했으나, 지역경기 침체에 따른 부산, 울산, 경남 중심의 매매거래 감소**로 소폭 감소했다. 


    * 거래 원인별(전년 동기 대비) : 매매(△11.4%), 분양권(11.6%), 기타(증여 등, 4.9%)

    ** 매매 증감(전년 동기 대비) : 부산(△34.3%), 울산(△32.8%), 경남(△24.8%) 

 ㅇ 한편,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81만 1천 필지(1,428.4㎢)로 전년 동기 대비 7.2% 감소했다.


< 3분기까지 누계 전체 토지 및 순수토지 거래량 추이 >

(단위 : 필지 수, 신고·검인 물량 포함, 신고일 기준)          

구 분

연도별

최근 5(13.17.)

3분기 평균

증감률(%)

183분기

173분기

(전년 동기)

163분기

(2년전 동기)

전년

동기 대비

2년전

동기 대비

최근 5

3분기 평균 대비

전체토지*

2,411,780

2,486,438

2,171,131

2,089,007

3.0

11.1

15.5

순수토지

811,143

873,877

821,729

783,234

7.2

1.3

3.6

           * 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 지역별 토지 거래량 ]

□ (시도별, %) 전년 동기 대비 토지 거래량은 광주(11.4), 경기(9.7), 전북(8.1), 대전(7.7) 등은 증가했고, 경남(△24.0), 부산(△23.1) 등은 감소했다.


 ㅇ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35.8), 대전(15.8) 순으로 증가했고, 부산(△22.5), 울산(△19.7), 대구(△18.0) 등은 감소했다.




[ 용도지역·지목별 토지 거래량 ]

□ (용도지역별, %) 전년 동기 대비 공업(3.5), 농림(1.9) 순으로 증가했고, 녹지(△12.3), 관리(△8.0), 개발제한구역(△7.3), 상업(△6.3), 자연환경보전(△6.1), 주거(△4.1)는 감소했다.


 ㅇ (지목별, %) 전년 동기 대비 공장용지(10.6)는 증가하였고, 전(△10.3), 기타(잡종지 등, △5.6), 답(△5.5), 대지(△1.9), 임야(△1.7) 순으로 감소했다.


 ㅇ (건물 용도별, %) 전년 동기 대비 공업용(14.6), 상업업무용(0.05)은 증가했고, 나지(△10.8), 기타건물(△8.7), 주거용(△0.5) 순으로 감소했다.


□ 한편,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가변동률 및 토지 거래량을 지속 확인하고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 지가변동률은「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제19조, 시행령 제17조에 의해 지가 동향 및 거래 상황을 조사하여 토지정책 수행 등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지가변동률과 토지거래량에 대한 상세 자료는 ‘국토교통 통계누리’(stat.molit.go.kr) 또는
       ‘R-ONE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www.r-one.co.kr, 부동산정보 앱)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붙임1

 2018년 3분기까지 누계 지역별 지가 변동률


1. 시군구별 지가변동률 색인도




2. 분기별 지가 변동률 추이

(단위 : 분기, %)          

구분

2015

2016

2017

2018

1/4

2/4

3/4

4/4

1/4

2/4

3/4

4/4

1/4

2/4

3/4

4/4

1/4

2/4

3/4

전국

0.48

0.59

0.60

0.72

0.56

0.68

0.72

0.71

0.74

1.10

1.06

0.93

0.99

1.05

1.26

서울

0.57

0.69

0.69

0.72

0.57

0.76

0.83

0.78

0.75

1.34

1.20

0.96

1.28

1.09

1.87

부산

0.63

0.83

0.74

0.86

0.86

1.05

1.08

1.12

1.14

1.72

1.90

1.59

1.53

1.50

1.41

대구

0.87

0.93

1.07

1.13

1.01

0.98

0.91

0.98

1.00

1.08

1.26

1.17

1.06

1.27

1.16

인천

0.37

0.53

0.54

0.50

0.34

0.48

0.47

0.44

0.67

0.77

0.90

0.72

0.65

0.82

0.94

광주

0.59

0.74

0.67

0.85

0.63

0.61

0.65

0.91

0.70

1.37

1.24

0.81

1.01

1.14

1.32

대전

0.49

0.70

0.76

1.12

0.77

0.89

0.89

0.86

0.74

0.78

0.89

0.90

0.84

0.83

0.80

울산

0.39

0.72

0.61

0.78

0.63

0.55

0.52

0.63

0.59

0.90

0.95

1.05

0.89

0.76

0.58

세종

0.35

1.14

1.22

1.79

0.89

1.20

1.38

1.22

1.23

1.75

2.17

1.69

1.56

1.90

1.86

경기

0.35

0.41

0.43

0.52

0.37

0.58

0.64

0.63

0.68

1.00

0.87

0.85

0.83

1.17

1.16

강원

0.50

0.68

0.69

0.75

0.62

0.72

0.77

0.78

0.83

1.01

0.96

0.96

0.85

0.97

0.83

충북

0.47

0.49

0.46

0.47

0.39

0.46

0.54

0.51

0.45

0.76

0.99

0.85

0.76

0.87

0.71

충남

0.27

0.36

0.35

0.53

0.40

0.49

0.49

0.51

0.49

0.72

0.92

0.82

0.76

0.67

0.49

전북

0.47

0.53

0.56

0.72

0.54

0.50

0.51

0.59

0.63

0.95

0.91

0.79

0.69

0.66

0.65

전남

0.53

0.67

0.78

0.80

0.55

0.58

0.67

0.77

0.78

1.05

1.12

0.89

0.92

0.92

0.95

경북

0.53

0.64

0.66

0.80

0.65

0.67

0.59

0.60

0.77

0.81

0.80

0.68

0.66

0.75

0.71

경남

0.47

0.55

0.54

0.65

0.58

0.55

0.58

0.63

0.66

0.82

0.83

0.75

0.74

0.73

0.46

제주

0.87

0.82

1.10

4.62

3.64

2.01

1.27

1.19

1.24

1.40

1.37

1.34

1.19

1.03

1.81

범례(%)

 

0.0 미만

 

0.0 이상0.3 미만

 

0.3~0.6

 

0.60.9

 

0.91.2

.

1.21.5

 

1.5 이상



3. 시군구별 상·하위 지역 현황

(단위 : %)          

상위 5개 지역(3분기까지 누계)

하위 5개 지역(3분기까지 누계)

시군구

14

15

16

17

18

시군구

14

15

16

17

18

경기 파주시

1.02

0.62

0.76

2.09

8.14

울산 동구

1.91

0.94

-0.34

-1.38

-2.34

강원 고성군

0.94

1.07

1.50

3.73

6.51

전북 군산시

0.93

1.39

1.13

0.88

-1.02

서울 용산구

1.12

1.00

2.23

4.25

6.50

경남 창원성산구

0.96

1.21

1.27

1.58

-0.39

부산 해운대구

1.63

2.55

5.75

6.86

6.07

경남 창원진해구

1.32

1.30

1.40

2.44

0.24

서울 동작구

1.36

1.67

2.02

3.49

6.05

경남 거제시

1.78

1.64

-0.42

-0.04

0.32



4. 시·도별 주요 상승지역 및 사유(2018년 3분기 누계 지가변동률)

시도

시군구

변동률(%)

주요 변동사유

서울

(4.30)

용산구

6.50

한강로일대 개발사업 진행 및 한남뉴타운 사업의 원활한 진행

동작구

6.05

노량진, 흑석 뉴타운사업지 중심 투자수요 및 서리풀터널 개통 기대감

부산

(4.51)

해운대구

6.07

LCT, 친환경 생태공원조성 등 개발 기대감 및 해운대 상권 활성화

수영구

5.51

재건축·재개발사업 진행 및 광안리 해안가 인근 주거·상업용 수요지속

대구

(3.54)

수성구

5.05

주택재개발사업 가속화 및 수성의료지구, 법조타운 개발 기대감

중구

3.58

도심골목상권 활성화 및 재개발사업에 따른 주거환경 개선 기대감

인천

(2.42)

서구

2.73

지하철7호선 연장, 인천대로 진출입로 개통 등 교통편의성 개선

강화군

2.71

교동평화산단, 관광코스 조성 계획 등 남북관계 개선에 따른 개발기대감

광주

(3.50)

남구

4.15

도시첨단국가산단, 에너지밸리 조성사업 및 한전공대설립 기대감

서구

3.72

광천동 재개발사업 본격화에 따른 주거 및 상업용 수요 증가

대전

(2.49)

유성구

2.82

유성복합터미널사업 정상화 및 봉명동 커피거리 등 상권 활성화 등

서구

2.79

도안·관저신도시 택지 개발수요 및 재개발·재건축 사업 진행

울산

(2.25)

중구

3.13

다운2공공주택지구 보상에 따른 대토수요 및 장현도시첨단산단 조성 등

북구

2.79

도시개발사업 진행 및 동해남부선 복선화사업, 송정역사 신축사업 등

세종

(5.42)

세종시

5.42

6생활권 개발 본격화 및 세종국가산단 조성, KTX세종역 신설예정 등

경기

(3.20)

파주시

8.14

남북관계 개선 및 GTX-A, 지하철3호선 연장 기대감에 따른 수요

연천군

5.08

민통선지역 투자수요 및 경원선 복선전철 사업 등 접근성 향상 기대감

강원

(2.69)

고성군

6.51

접경지역에 대한 수요 지속 및 해안가 인근 전원주택 수요

철원군

5.39

경원선 복원 공사 재개, 평화산업단지 조성 기대감에 따른 농지 수요

충북

(2.36)

청주흥덕구

3.05

테크노폴리스 등 산업단지 조성 및 오송제3과학단지 등 대단위 개발사업 기대감

청주상당구

2.60

지역특화콘텐츠사업 선정 및 동남지구 등 대단위 택지개발사업 기대감

충남

(1.93)

천안서북구

2.74

부성·성성지구 등 도시개발사업 진척에 따른 수익형부동산 투자 수요

아산시

2.23

테크노밸리 조성 및 삼성탕정캠퍼스 확장에 따른 주거·공업용 수요 증가

전북

(2.01)

완주군

2.98

완주테크노밸리, 복합행정타운 조성 등 개발 및 혁신도시(이서면) 이주 수요

전주덕진구

2.97

에코시티 등 개발사업 호재 및 신규 입주물량 증가에 따른 지속적인 인구 증가

전남

(2.80)

담양군

4.24

첨단문화복합산단 분양 호조 및 원도심활성화사업 추진 등에 따른 투자 수요

장성군

3.83

나노산단 성숙 등에 의한 투자수요 및 연구개발특구에 따른 그린벨트 해제 기대감

경북

(2.14)

경산시

3.44

중산시가지, 임당역세권, 경산대임 공공주택지구 등 개발사업 기대감

울릉군

2.88

교통망 개선 및 관광경기 활성화 등에 따른 외지인 투자 수요 증가

경남

(1.94)

밀양시

4.16

나노융합국가산단, 농어촌관광휴양단지 조성 등 대규모 개발 사업 기대감

사천시

3.82

도시재생 뉴딜사업지역 선정 및 사천케이블카 사업에 따른 투자 수요 증가

제주

(4.08)

서귀포시

4.12

추가적인 국제학교(싱가폴,홍콩) 설립 구체화 및 제2공항 사업 진척 기대감

제주시

4.07

영어교육도시, 신화역사공원 등 개발사업 진척에 따른 투자 수요 지속



5. 시·도별 지가변동률 추이

(단위 : %)          

구분

연간

2017년 누계

2018

14

15

16

17

1/4

2/4

3/4

4/4

1

2

3

4

5

6

7

8

9

3/4

누계

전국

1.97

2.40

2.70

3.88

0.74

1.84

2.92

3.88

0.33

0.31

0.35

0.33

0.35

0.37

0.40

0.42

0.43

3.33

수도권

1.91

2.19

2.53

3.82

0.71

1.86

2.91

3.82

0.33

0.33

0.36

0.34

0.36

0.40

0.46

0.49

0.52

3.64

지방

2.07

2.77

2.99

3.97

0.78

1.82

2.95

3.97

0.32

0.28

0.33

0.32

0.32

0.32

0.31

0.30

0.28

2.80

서울

2.66

2.69

2.97

4.32

0.75

2.10

3.32

4.32

0.42

0.42

0.44

0.30

0.36

0.42

0.56

0.61

0.68

4.30

부산

2.28

3.09

4.17

6.51

1.14

2.88

4.84

6.51

0.52

0.48

0.52

0.49

0.51

0.50

0.51

0.46

0.44

4.51

대구

3.15

4.06

3.93

4.58

1.00

2.09

3.38

4.58

0.34

0.33

0.39

0.42

0.42

0.42

0.35

0.39

0.41

3.54

인천

1.35

1.95

1.74

3.10

0.67

1.45

2.36

3.10

0.21

0.19

0.25

0.24

0.28

0.30

0.29

0.28

0.36

2.42

광주

1.31

2.87

2.82

4.17

0.70

2.08

3.34

4.17

0.31

0.30

0.40

0.36

0.40

0.37

0.37

0.45

0.49

3.50

대전

1.84

3.11

3.45

3.36

0.74

1.53

2.44

3.36

0.26

0.28

0.29

0.28

0.26

0.28

0.25

0.26

0.29

2.49

울산

1.85

2.52

2.35

3.54

0.59

1.50

2.47

3.54

0.33

0.28

0.29

0.26

0.25

0.24

0.21

0.20

0.17

2.25

세종

4.53

4.57

4.78

7.02

1.23

3.00

5.24

7.02

0.58

0.43

0.55

0.61

0.62

0.67

0.81

0.50

0.53

5.42

경기

1.24

1.73

2.23

3.45

0.68

1.69

2.57

3.45

0.26

0.26

0.30

0.39

0.38

0.40

0.38

0.41

0.37

3.20

강원

1.77

2.64

2.92

3.82

0.83

1.85

2.83

3.82

0.29

0.26

0.30

0.33

0.33

0.31

0.30

0.28

0.25

2.69

충북

1.70

1.90

1.92

3.08

0.45

1.21

2.21

3.08

0.22

0.21

0.33

0.29

0.31

0.27

0.25

0.26

0.20

2.36

충남

1.39

1.51

1.90

2.98

0.49

1.21

2.14

2.98

0.25

0.22

0.28

0.23

0.23

0.21

0.17

0.16

0.15

1.93

전북

1.58

2.31

2.15

3.33

0.63

1.59

2.51

3.33

0.26

0.19

0.24

0.21

0.22

0.23

0.24

0.22

0.19

2.01

전남

1.80

2.80

2.60

3.90

0.78

1.84

2.98

3.90

0.30

0.26

0.35

0.32

0.31

0.29

0.30

0.31

0.33

2.80

경북

2.42

2.65

2.54

3.09

0.77

1.59

2.40

3.09

0.24

0.18

0.24

0.25

0.25

0.25

0.27

0.23

0.21

2.14

경남

1.97

2.23

2.36

3.09

0.66

1.49

2.33

3.09

0.25

0.23

0.26

0.24

0.23

0.25

0.22

0.15

0.09

1.94

제주

3.73

7.57

8.33

5.46

1.24

2.65

4.06

5.46

0.49

0.34

0.35

0.35

0.35

0.32

0.53

0.70

0.58

4.08



붙임2

 2018년 3분기까지 누계 토지거래량 증감률 (2017년 3분기 대비)


1. 시도별 증감률 색인도



2. 전체토지 거래량(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단위 : 필지 수, 신고+검인 포함, 신고일 기준)          

구 분

(분양권 거래량)

연도별

최근 5

(1317)

3분기 평균 거래량

증감률(%)

18

3분기

17

3분기

(전년 동기)

16

3분기

(2년전 동기)

전년 동기

대비

2년전 동기 대비

최근 5

3분기 평균 대비

전 국

2,411,780

(772,131)

2,486,438

(692,162)

2,171,131

(401,223)

2,089,007

(399,371)

3.0

(11.6)

11.1

(92.4)

15.5

(93.3)

수도권

1,127,881

(442,124)

1,090,184

(366,133)

906,972

(192,706)

812,844

(179,834)

3.5

(20.8)

24.4

(129.4)

38.8

(145.9)

 

서 울

281,292

(85,347)

300,646

(91,911)

266,155

(56,394)

231,923

(51,972)

6.4

(7.1)

5.7

(51.3)

21.3

(64.2)

인 천

131,171

(56,919)

137,164

(52,726)

108,757

(23,522)

100,160

(24,931)

4.4

(8.0)

20.6

(142.0)

31.0

(128.3)

경 기

715,418

(299,858)

652,374

(221,496)

532,060

(112,790)

480,761

(102,931)

9.7

(35.4)

34.5

(165.9)

48.8

(191.3)

지 방

1,283,899

(330,007)

1,396,254

(326,029)

1,264,159

(208,517)

1,276,163

(219,536)

8.0

(1.2)

1.6

(58.3)

0.6

(50.3)

지방광역시

365,379

(140,248)

398,727

(139,046)

343,384

(92,058)

370,627

(106,681)

8.4

(0.9)

6.4

(52.3)

1.4

(31.5)

 

부 산

107,964

(43,002)

140,478

(47,050)

130,463

(29,300)

130,090

(33,830)

23.1

(8.6)

17.2

(46.8)

17.0

(27.1)

대 구

73,786

(22,567)

79,109

(27,846)

63,802

(24,640)

78,160

(24,682)

6.7

(19.0)

15.6

(8.4)

5.6

(8.6)

광 주

60,626

(20,317)

54,446

(16,317)

44,682

(9,956)

51,937

(14,082)

11.4

(24.5)

35.7

(104.1)

16.7

(44.3)

대 전

45,397

(16,499)

42,162

(11,158)

36,599

(4,499)

37,645

(7,192)

7.7

(47.9)

24.0

(266.7)

20.6

(129.4)

울 산

38,098

(13,090)

44,322

(10,719)

45,594

(10,029)

47,292

(9,871)

14.0

(22.1)

16.4

(30.5)

19.4

(32.6)

세 종

39,508

(24,773)

38,210

(25,956)

22,244

(13,634)

25,504

(17,025)

3.4

(4.6)

77.6

(81.7)

54.9

(45.5)

지방 도

918,520

(189,759)

997,527

(186,983)

920,775

(116,459)

905,536

(112,855)

7.9

(1.5)

0.2

(62.9)

1.4

(68.1)

 

강 원

110,864

(27,495)

110,964

(21,090)

105,095

(10,601)

92,873

(9,282)

0.1

(30.4)

5.5

(159.4)

19.4

(196.2)

충 북

83,473

(21,144)

86,510

(16,234)

81,668

(12,904)

79,316

(10,846)

3.5

(30.2)

2.2

(63.9)

5.2

(94.9)

충 남

140,873

(32,087)

147,961

(30,879)

128,451

(20,777)

125,691

(16,905)

4.8

(3.9)

9.7

(54.4)

12.1

(89.8)

전 북

111,660

(25,100)

103,327

(11,027)

90,737

(5,751)

94,386

(7,927)

8.1

(127.6)

23.1

(336.4)

18.3

(216.6)

전 남

139,130

(19,759)

135,216

(12,782)

121,546

(8,057)

120,588

(10,757)

2.9

(54.6)

14.5

(145.2)

15.4

(83.7)

경 북

140,036

(20,656)

166,743

(27,097)

163,786

(21,522)

167,670

(19,041)

16.0

(23.8)

14.5

(4.0)

16.5

(8.5)

경 남

148,576

(33,789)

195,542

(54,947)

174,931

(30,262)

178,613

(32,623)

24.0

(38.5)

15.1

(11.7)

16.8

(3.6)

제 주

43,908

(9,729)

51,264

(12,927)

54,561

(6,585)

46,399

(5,475)

14.3

(24.7)

19.5

(47.7)

5.4

(77.7)

           * 전체토지 : 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3. 순수토지 거래량

(단위 : 필지 수, 신고+검인 포함, 신고일 기준)          

구 분

(분양권 거래량)

연도별

최근 5

(1317)

3분기 평균 거래량

증감률(%)

18

3분기

17

3분기

(전년 동기)

16

3분기

(2년전 동기)

전년 동기

대비

2년전 동기 대비

최근 5

3분기 평균 대비

전 국

811,143

(11,765)

873,877

(15,294)

821,729

(10,245)

783,234

(11,310)

7.2

(23.1)

1.3

(14.8)

3.6

(4.0)

수도권

222,343

(6,158)

225,022

(7,361)

199,773

(3,799)

175,781

(4,272)

1.2

(16.3)

11.3

(62.1)

26.5

(44.1)

 

서 울

13,752

(181)

14,582

(164)

13,800

(74)

12,340

(138)

5.7

(10.4)

0.3

(144.6)

11.4

(31.2)

인 천

19,207

(558)

19,520

(800)

15,801

(292)

14,747

(640)

1.6

(30.3)

21.6

(91.1)

30.2

(12.8)

경 기

189,384

(5,419)

190,920

(6,397)

170,172

(3,433)

148,693

(3,494)

0.8

(15.3)

11.3

(57.9)

27.4

(55.1)

지 방

588,800

(5,607)

648,855

(7,933)

621,956

(6,446)

607,454

(7,038)

9.3

(29.3)

5.3

(13.0)

3.1

(20.3)

지방광역시

61,100

(1,490)

66,656

(2,117)

63,989

(1,964)

62,235

(1,758)

8.3

(29.6)

4.5

(24.1)

1.8

(15.2)

 

부 산

12,986

(223)

16,748

(305)

17,032

(482)

16,667

(457)

22.5

(26.9)

23.8

(53.7)

22.1

(51.2)

대 구

8,992

(326)

10,966

(707)

9,932

(336)

11,106

(490)

18.0

(53.9)

9.5

(3.0)

19.0

(33.5)

광 주

9,175

(347)

9,246

(120)

8,795

(44)

8,685

(50)

0.8

(189.2)

4.3

(688.6)

5.6

(594.0)

대 전

6,074

(368)

5,243

(109)

5,223

(53)

5,112

(182)

15.8

(237.6)

16.3

(594.3)

18.8

(102.2)

울 산

13,507

(156)

16,817

(407)

16,945

(18)

14,786

(167)

19.7

(61.7)

20.3

(766.7)

8.7

(6.6)

세 종

10,366

(70)

7,636

(469)

6,062

(1,031)

5,880

(413)

35.8

(85.1)

71.0

(93.2)

76.3

(83.1)

지방 도

527,700

(4,117)

582,199

(5,816)

557,967

(4,482)

545,219

(5,279)

9.4

(29.2)

5.4

(8.1)

3.2

(22.0)

 

강 원

60,982

(624)

62,377

(446)

56,903

(716)

54,363

(500)

2.2

(39.9)

7.2

(12.8)

12.2

(24.8)

충 북

40,785

(659)

47,710

(1,331)

45,079

(439)

44,407

(935)

14.5

(50.5)

9.5

(50.1)

8.2

(29.5)

충 남

81,692

(497)

88,504

(589)

79,762

(464)

76,601

(640)

7.7

(15.6)

2.4

(7.1)

6.6

(22.3)

전 북

60,847

(229)

64,379

(435)

56,260

(346)

59,305

(440)

5.5

(47.4)

8.2

(33.8)

2.6

(48.0)

전 남

93,732

(492)

96,542

(1,502)

86,420

(822)

85,065

(880)

2.9

(67.2)

8.5

(40.1)

10.2

(44.1)

경 북

88,289

(885)

103,213

(515)

105,984

(706)

106,337

(556)

14.5

(71.8)

16.7

(25.4)

17.0

(59.2)

경 남

78,002

(656)

91,328

(727)

92,529

(795)

89,827

(1,162)

14.6

(9.8)

15.7

(17.5)

13.2

(43.5)

제 주

23,371

(75)

28,146

(271)

35,030

(194)

29,315

(166)

17.0

(72.3)

33.3

(61.3)

20.3

(54.8)

          * 순수토지 : 토지만 거래된 내역


4. 용도지역 및 지목별 전체 토지 거래량

(단위 : 필지 수, 신고+검인 포함, 신고일 기준)          

구 분

연도별

최근 5

(1317)

3분기 평균 거래량

증감률(%)

18

3분기

17

3분기

(전년 동기)

16

3분기

(2년전 동기)

전년 동기

대비

2년전 동기 대비

최근 5

3분기 평균 대비

용도지역별

2,411,780

2,486,438

2,171,131

2,089,007

3.0

11.1

15.5

주거지역

1,264,060

1,318,568

1,216,422

1,160,063

4.1

3.9

9.0

상업지역

222,685

237,667

165,288

162,865

6.3

34.7

36.7

공업지역

50,143

48,466

43,663

43,506

3.5

14.8

15.3

녹지지역

144,623

164,916

149,569

140,332

12.3

3.3

3.1

개발제한구역

26,406

28,472

24,951

22,338

7.3

5.8

18.2

비도시지역

관리지역

170,600

123,381

40,608

47,601

38.3

320.1

258.4

농림지역

388,333

421,969

398,762

382,337

8.0

2.6

1.6

자연환경

보전지역

135,045

132,474

120,450

119,227

1.9

12.1

13.3

용도미지정

9,885

10,525

11,418

10,737

6.1

13.4

7.9

지목별

2,411,780

2,486,438

2,171,131

2,089,007

3.0

11.1

15.5

192,075

214,207

198,871

190,094

10.3

3.4

1.0

224,173

237,279

215,958

214,045

5.5

3.8

4.7

대지

1,679,136

1,712,028

1,484,034

1,424,655

1.9

13.1

17.9

임야

187,948

191,142

161,415

154,843

1.7

16.4

21.4

공장용지

27,411

24,785

21,084

19,431

10.6

30.0

41.1

기타

101,037

106,997

89,769

85,939

5.6

12.6

17.6

건물유형별*

(대지+공장용지)

1,706,547

1,736,813

1,505,118

1,444,086

1.7

13.4

18.2

주거용

1,205,617

1,212,171

1,081,536

1,049,288

0.5

11.5

14.9

상업업무용

258,348

258,219

170,609

164,290

0.0

51.4

57.3

공업용

20,059

17,499

12,602

12,219

14.6

59.2

64.2

기타건물

16,409

17,976

15,841

15,032

8.7

3.6

9.2

나지

206,114

230,948

224,530

203,257

10.8

8.2

1.4

          * 전체토지 거래량 중 대지, 공장용지를 건물유형별로 집계한 수치임


※자료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JUNGMOO E&A Manage Assets

on a structured system

▣ 정무E&A의 부동산 세미나는 다릅니다.!!


국내 부동산 기업 최초 국제 표준규격 ISO 9001을 획득!!

정무E&A의 부동산 투자 세미나가 부동산 투자의 선택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종합 부동산 그룹 정무E&A는 기획 부동산이 아닙니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 고객님의 투자 성공을 같이 하는 부동산 투자 컨설팅의 종합 부동산 그룹입니다.


부동산 투자 이제는 정무 E&A의 부동산 투자의 전문성 있는 정보와 분석을 통해

부동산 투자를 같이 해보시는 것이 어떠십니까.

성공이 보이는 부동산 투자 정무E&A의 무료 정기 부동산 세미나에서 답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정무E&A 부동산 투자 컨설팅&자산관리

전문가 이천수 팀장 010-9469-2799



부동산 투자 정확한 정보만 있다면 소액 투자로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정보, 세미나/컨설팅 신청 등 부동산 재테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 부담 없이 문의하십시오

부동산 정보, 세미나/컨설팅 신청 및 문의는 이천수 팀장에게 문의하세요

010-9469-2799




사업자 정보 표시
금마루 | 손기원 | 서울시 강동구 성내동 77-40 금마루 | 사업자 등록번호 : 201-24-67406 | TEL : 02-472-5110 | Mail : dolis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