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정보] 서울 집값 눌렀더니 이젠 땅값이 들썩

2018. 10. 11. 16:44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정무E&A 부동산그룹 투자 컨설턴트 이천수 팀장 부동산 투자 정보]]

서울 집값 눌렀더니 이젠 땅값이 들썩

투자처 잃은 서울 거주자들, 경기·부산 등으로 토지 출장 거래...

전문가 "토지시장 풍선효과"

[정무E&A MONEY PLUS]



최근 3년간 토지거래에서 서울 거주자의 "출장 거래"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직방이 올해 상반기(1~6월) 순수 토지 월평균 거래량과 서주 거주자의 원정 거래 비율을 분석한 결과 성루 거주자의 외지 거래 비율은 지난 2015년 이후 눈에 띄게 늘었다. 지난 6월 기준 전국 순수 토지 월평균 거래량은 9만 4,400필지다. 이 중 서울 거주자의 비율은 10.4%로 지난 2015년(9.54%)보다 0.86% 포인트 증가했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인천·경기·충남을 제외한 12개 광역자치단체에서 서울 거주자의 순수 토지 거래 비중이 전년 보다 늘었다. 올해 서울 거주자의 외지 토지 거래가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다. 올해(6월 기준) 서울 거주자가 거래한 경기도 토지 비율은 20.83%다. 10필지 중 2필지는 서울에 거주하는 외지인이 거래한 셈이다. 강원(15.94%)과 인천(15.35%), 세종(11.34%). 대전(10.37%) 등에서도 서울 거주자의 외지 거래가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일부 지방의 경우 아파트 시장과 토지거래 시장의 '정반대' 분위기를 보인다는 것이다. 신규 분양시장이나 일반 아파트 시장은 '미분양 우려'와 '거래 절벽'이 나올 정도로 분위기가 가라앉은 반면 토지 거래시장은 들썩여서다.


예를 들어 아파트 공급과잉으로 주택시장 분위기가 가라앉은 부산은 지난해 3.18%에 불과했던 서울 거주자의 토지 거래 비율은 올해(6월 기준) 5.19%를 기록해 2% 포인트 넘게 뛰었다. 전국에서 주택 미분양 재고가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진 경남도 지난해 2.96%였던 서울 거주자의 토지거래 비율이 올해(6월 기준) 3.29%로 약 1% 포인트 가까이 늘었다.



업계 전문가들은 오피스텔 등 수익형 상품이나 아파트가 정부의 집중적인 규제를 받으면서, 각종 호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토지 시장'에 풍선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고 있다.


대출·세금·청약 등 정부 수요 억제책의 집중포화와 입주물량 증가 등 공급과잉 우려를 빚고 있는 주택시장과 달리 토지투자는 꺼지지 않는 서울 외지인 수요로 탄탄한 거래량을 보이고 있고 풍부한 유동자금과 대북경협 호재, 도시재생 뉴딜, 택지개발로 인한 토지보상금 유입 등 지역의 개발호재에 민감한 원정투자가 이작 유효한 것으로 분석된다.


※ 지료 출처 : 정무E&A 부동산그룹 MONEY PLUS(서울 집값 눌렀더니 이젠 땅값이 들썩) 전문



부동산 투자 정확한 정보만 있다면 소액 투자로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정보세미나/컨설팅 신청 등 부동산 재테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 부담 없이 문의하십시오
부동산 정보세미나/컨설팅 신청 및 문의는 이천수 팀장에게 문의하세요
010-9469-2799



사업자 정보 표시
금마루 | 손기원 | 서울시 강동구 성내동 77-40 금마루 | 사업자 등록번호 : 201-24-67406 | TEL : 02-472-5110 | Mail : dolis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