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4. 20. 14:32ㆍ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전국 주택 가격 동향조사 : 2018년 4월 3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매매가격, 전세가격 모두 하락폭 유지
□ 한국감정원이 2018년 4월 3주(4.16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3% 하락, 전세가격은 0.09% 하락하였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 [전국 : -0.03%] 서울 주요 지역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시행(4.1) 이후 매도자는 매물로 다수 회수하며 관망하고 매수자는 추가적인 가격 하락 기대로 매수 보류하며 거래가 소강상태를 보이는 가운데, 일부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강남 4구는 2주 연속 하락하는 등 안정세 보이고, 전국적으로는 공급 정도 및 지역경기, 호재 유무에 따라 차별화 양상 이어가며 지난주 하락폭을 유지하였다.
○ 시도별로는 대구(0.07%), 서울(0.05%), 광주(0.02%), 경기(0.02%)는 상승, 세종(0.00%) 등은 보합, 울산(-0.23%), 충북(-21%), 경남(-0.20%), 충남(-0.12%) 등은 하락하였다.
- 공표 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53→54개) 및 하락 지역(97→103개)은 증가, 보합 지역(26→19개)은 감소하였다.
□ [수도권 : 0.03%] 서울 0.05%, 경기 0.02% 상승, 인천 0.01% 하락하였다.
□ [지방 : -0.08%] 광주는 신규 아파트 입주를 위한 기존 아파트 처분으로 하락한 북구를 제외하고는 상승하였고, 대구는 학군 수요 등으로 가격 상승 기대감 높은 수성구와 정비 사업 활발한 중구를 중심으로 상승하였으나, 경상·충청권은 입주물량 증가로 인한 매물 누적 및 경기 침체로 하락세 지속되는 등 지역별로 상이한 모습 보이며 전체적으로 지난주 대비 하락폭이 소폭 축소되었다.
□ [서울 : 0.05%]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시행 등으로 매도·매수자 모두 관망하는 분위기로, 강남 4구는 재건축 단지 위주로 2주 연속 하락하였다.
○ [강북지역 : 0.05%] 마포구는 정비 사업(염리 3구역 등) 진행 영향으로 상승하고, 성북구는 상승폭 낮았던 지역 위주로 상승하였으나 성동·노원구는 재건축 및 노후 아파트 중심으로 하락폭 확대되었다.
○ [강남지역 : 0.04%] 동작·영등포구는 역세권 직장인 수요와 정비 사업 호재 등으로 상승하였으나, 매수 문의 급감 및 재건축 단지 급매물 출현 등으로 강남구는 하락폭 확대되고, 송파구는 8월 마지막 주 이후 32주 만에 하락 전환, 강동구는 30주 만에 하락 전환되었다.
2.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 [전국 : -0.09%] 임대 사업 등록 활성화 방안 효과 1 및 풍부한 저세 공급 안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광주·전남은 소폭 상승하였으나, 부산·울산·경남 등은 신규 입주 물량 집중과 지역 경기 침체 영향으로 하락하고, 서울은 인근 신도시로의 수요 분산 등으로 전세 매물 누적 됨에 따라 9주 연속 하락하며 전체적으로 지난주 하락폭을 유지하였다.
*2018년 3월 35,006명 임대주택 사업자 신규 등록(전년 동월 대비 8배, 전월 대비 3.8배 증가)
○ 시도별로는 전남(0.03%)과 광주(0.01%)는 상승, 울산(-0.28%), 경북(-0.18%), 경남(-0.17%), 충남(-0.15%), 세종(-0.13%) 등은 하락하였다.
- 공표 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지역(28→22개) 및 하락 지역(118→113개)은 감소, 보합 지역(30→41개)은 증가하였다.
□ [수도권 : -0.09%] 서울은 0.07%, 경기는 0.11%, 인천은 0.05% 하락하였다.
□ [지방 : -0.09%] 광주와 전남은 주거환경이 양호하거나 정비 사업 이주 수요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소폭 상승하고, 충북은 일부 지역에서 매매수요의 전세 전환으로 상승하며 하락폭 축소되었으나, 대구는 노후 단지 선호도 감소한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 전환되고, 지역 기반 산업 침체 등으로 수요 감소한 울산·경상권과 신규 입주 물량이 풍부한 부산·세종·충남 등은 하락하였다.
□ [서울 : -0.07%] 임대 사업 등록 활성화에 따른 공급 안정과 더불어 입주 물량 풍부한 인근 신도시로 수요 분산되며 안정세가 지속되었다.
○ [강북지역 : -0.03%] 마포·동대문구는 출퇴근 수요 등으로 소폭 상승하였으나, 신규 입주로 전세 매물 증가한 성동구와 인근 택지지구로 수요 분산된 노원구는 하락하는 등 전체적으로 하락세 지속되었다.
○ [강남지역 : -0.09%] 인근 신도시 신규 공급 증가, 재건축 노후 단지 선호도 감소 등으로 하락한 강남 4구를 비롯하여 전세 매물 누적 등으로 대다수 지역에서 하락하며 10주 연속 하락하였다.
○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 통계정보 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붙입 1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
□ 매매가격 변동률
□ 전세가격 변동률
*2017년 누계는 2018년 누계와 동일 누적 주차를 기준으로 산정 (예시 : 2018년 14주차의 경우, 2017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
** 연초(1월 1주차)부터 동일 주차 변동률(예시 : 2018년 14주차의 경우, 2017년 수치 또한 14주차 변동률임)
붙임 2 | 주요 지역 주간 아파트 변동률 통계표 |
□ 매매가격 변동률
□ 전세 가격 변동률
*2017년 누계는 2018년 누계와 동일 누적 주차를 기준으로 산정 (예시 : 2018년 14주차의 경우, 2017년 수치 또한 14주차 누계치임 )
** 연초(1월 1주차)부터 동일 주차 변동률(예시 : 2018년 14주차의 경우, 2017년 수치 또한 14주차 변동률임)
붙임 3 |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
※자료출처 : 한국감정원 보도자료(전국 주택 가격 동향조사 : 2018년 4월 2주차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전문 |
- *2018년 3월 35,006명 임대주택 사업자 신규 등록(전년 동월 대비 8배, 전월 대비 3.8배 증가) [본문으로]
'부동산 지식 창고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뉴스]2018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100곳 내외 선정 추진(국토교통부 보도자료) (0) | 2018.04.24 |
---|---|
[부동산뉴스]2018년 5월 ~ 2018년 7월 전국 아파트 104,799세대 입주 예정(국토교통부 보도자료) (0) | 2018.04.23 |
[부동산뉴스]2018년 3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9.3만건 전년동월 대비 20% 증가(국토부 보도자료) (0) | 2018.04.19 |
[부동산뉴스] 2018년 3월 임대주택사업자 등록 사상 최대치 기록(국토교통부 보도자료) (0) | 2018.04.18 |
[부동산뉴스]우리나라 사람 절반 가장 유리한 재테크 "부동산투자" 꼽아 (0) | 2018.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