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감정원, 2019년 1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 보조사 결과

2019. 2. 2. 18:03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정무 이엔에이 부동산 그룹 종합 부동산 자산관리 전문가 이천수 팀장

 


2019년 1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 공표

[주택종합] 매매 0.15% 하락, 전세 0.22% 하락, 월세통합 0.09% 하락

[아 파 트] 매매 0.29% 하락, 전세 0.32% 하락, 월세통합 0.13% 하락

※ 본 조사는 2018년 12월 10일 부터 2019년 1월 14일까지의 변동을 조사함


 


2019년 1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 공표 ⓒ토지개혁 발해크루


1. 2019년 1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 : -0.15%] 전국 월간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0.15% 하락했다. 수도권(0.07%→-0.15%) 및 서울(0.04%→-0.20%)은 상승에서 하락 전환, 지방(-0.08%→-0.15%)은 하락폭 확대(5대광역시(0.07%→-0.05%), 8개도(-0.17%→-0.22%), 세종(0.05%→0.07%))됐다.


 ㅇ (수도권) 입지가 양호하거나 개발호재 있는 지역은 국지적으로 상승하였으나, 계절적 비수기와 정부규제(대출규제, 세제강화 등), 금리상승 등 하방요인에 따른 매수심리 위축으로 서울*․경기․인천 모두 하락하며 '14.7월 이후 4년 6개월 만에 하락 전환


    * 서울 주택종합(0.04% → -0.20%) : '14.7월 이후 4년 6개월 만에 하락 전환경기 주택종합(0.03% → -0.13%) : '16.3월 이후 2년 10개월 만에 하락 전환


  - (서울 강북14개구) 시장 불확실성 확대로 매수세 급감하였으나 매물은 증가함에 따라 마포(-0.22%)․용산(-0.10%)․동대문구(-0.09%) 등 대다수 지역에서 하락 전환되며 광진구(0.03%)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하락


  - (서울 강남11개구) 재건축 및 대규모단지 위주로 매물 누적되며 강남(-0.85%)․송파구(-0.47%) 등 강남4구는 하락폭 확대되고, 양천(-0.31%)․강서(-0.17%)․영등포구(-0.07%) 등에서 하락 전환되며 '13.8월 이후 5년 5개월 만에 11개구 모두 하락


 ㅇ (지방) 대전․광주 등 일부 지역은 개발호재나 정비사업 진행 등으로 상승하였으나, 대다수 지역이 계절적 비수기와 기반산업 침체 등으로 인한 수요 감소 및 신규 입주물량 증가로 수급불균형 지속되며 전체적으로 하락폭 확대


< 주택유형별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

(단위: %)

구        분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5대 광역시

주택종합

-0.15

-0.15

-0.15

-0.20

-0.05

아 파 트

-0.29

-0.25

-0.32

-0.41

-0.15

연립주택

-0.11

-0.09

-0.16

-0.08

-0.12

단독주택

0.19

0.26

0.17

0.35

0.32

※ 연립주택은 다세대주택을 포함하며, 단독주택은 다가구주택을 포함



[전국 주택종합 전세가격 : -0.22%] 전국 월간 주택종합 전세가격은 0.22% 하락했다. 수도권(-0.19%→-0.28%) 및 서울(-0.13%→-0.32%)은 하락폭 확대, 지방(-0.18%→-0.16%)은 하락폭 축소(5대광역시(-0.14%→-0.12%), 8개도(-0.26%→-0.22%), 세종(2.52%→0.87%))됐다.


 ㅇ (수도권) 서울*은 수요 대비 공급 증가(임대주택 및 신규 입주물량 증가) 영향으로, 경기․인천**은 ’18년부터 누적된 입주물량 영향으로 모두 하락하며 전체적으로 지난달 대비 하락폭 확대

    * ① ’18년 서울 ‘등록 임대주택’ 증가(▽143,112채), ② 입주물량 증가(약2.7만호(’17년) → 약3.4만호(’18년) → 약4.3만호(’19년)), ③ ’18년 서울 인구 감소(△91,803명)

   ** (경기) ’18년 입주물량은 약16만호로 1990년 이래 최대 / (인천) ’17년부터 연수구를 중심으로 입주물량 증가


  - (서울 강북14개구) 신규단지 입주 등의 영향으로 마포(-0.36%)․서대문(-0.29%)․성동(-0.26%)․은평구(-0.14%) 등 노원구(+0.02%)를 제외한 모든 구에서 하락하며 지난달 대비 하락폭 확대


  - (서울 강남11개구) 강동구(-1.13%)는 하남 미사지구 입주물량 증가로, 서초(-0.93%)․강남(-0.82%)․송파구(-0.69%)는 ’18년부터 누적된 신규 입주물량 영향으로 하락폭 확대되는 등 모든 구에서 하락하며 지난달 대비 하락폭 확대

    * ’18년 하반기 이후 주요 입주(예정) 물량(① 서초구 : 반포 래미안 아이파크(829), 반포센트럴 푸르지오 써밋(751), ② 강남구 : 래미안 루체하임(850), 래미안 블래스티지(1,957), ③ 송파구 : 헬리오시티(9,510), ④ 하남 : 미사 A14(1,632) 등 약 7,000)


 

 ㅇ (지방) 울산․충북․경남 등 대부분 지역은 신규 입주물량 증가 및 산업경기 침체로 하락세 지속되나, 입주물량 소진되고 행안부 추가 이전으로 수요 증가한 세종(+0.87%) 등 일부지역은 상승 


< 주택유형별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

(단위 : %)

구      분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5대 광역시

주택종합

-0.22

-0.28

-0.16

-0.32

-0.12

아 파 트

-0.32

-0.41

-0.25

-0.52

-0.15

연립주택

-0.11

-0.11

-0.12

-0.11

-0.09

단독주택

-0.02

-0.03

-0.02

-0.05

-0.02

※ 연립주택은 다세대 주택을 포함하며, 단독주택은 다가구주택을 포함


[전국 주택종합 월세가격 : -0.09%] 전국 월간 주택종합 월세가격은 0.09% 하락했다. 수도권(-0.06%→-0.08%) 및 서울(-0.05%→-0.11%)은 하락폭 확대, 지방(-0.16%→-0.10%)은 하락폭 축소(5대광역시(-0.14%→-0.10%), 8개도(-0.20%→-0.12%), 세종(1.38%→0.53%))됐다.


 ㅇ (수도권) 직주근접 및 정비사업 이주수요가 있는 일부 지역은 소폭 상승하였으나, 신규 입주물량 증가 영향으로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 위주로 전세가격과 월세가격이 동반 하락하며 지난달 대비 하락폭 확대


 ㅇ (지방) 광주․대구․전북은 하락 전환되고, 울산․충북․경남 등은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 감소와 아파트․연립다세대 등 신축 물량 증가 등으로 하락세 지속되나, 장기 하락에 따른 피로감으로 하락세 다소 둔화되며 전체적으로 지난달 대비 하락폭 축소


< 주택유형별 월세각겨지수 변동률 >

(단위 : %)

구      분

전국

수도권

지방

서울

5대 광역시

주택종합

-0.09

-0.08

-0.10

-0.11

-0.10

아 파 트

-0.13

-0.11

-0.14

-0.17

-0.12

연립주택

-0.05

-0.03

-0.10

-0.04

-0.09

단독주택

-0.03

-0.01

-0.04

-0.01

-0.03


☞ 지역별 상세시황은 ‘붙임 1’ 주택가격동향 보고서 참조(첨부파일 참조)


 주택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쉬운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감정원” 검색 후 설치



붙임 1

 2019년 1월 주택가격동향 보고서(첨부파일 PDF 파일 참조)


2019년 1월 전국 주택가격동향 보고서 첨부파일 참고하세요 ⓒ 토지개혁 발해크루


※ 2019년 1월 전국 주택 가격동향 보고서의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19.1월 전국 주택가격동향 조사 보고서"를 다운받아 확인하세요


※자료출처 : 한국감정원 보도자료








사업자 정보 표시
금마루 | 손기원 | 서울시 강동구 성내동 77-40 금마루 | 사업자 등록번호 : 201-24-67406 | TEL : 02-472-5110 | Mail : dolis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