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7. 24. 20:30ㆍ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부동산 투자 정보]국토교통부 2018년 상반기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발표
올 상반기 땅값 2.05% 상승··· 거래량은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
땅값 세종>부산>서울>대구 순으로 많이 올라··· 거래량은 수도권 중심으로 소폭 늘어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18.07.24(화요일)]
1. 지가변동률
□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올해 상반기 전국 땅값이 평균 2.05% 상승하여 전년 동기(1.84%) 대비 0.21%p 증가했다고 밝혔다.
○ 이는 전기(2.00%)보다 0.05%p 높으며, 올해 상반기 소비자물가 변동률(0.92%, 전기 대비)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이다.
< 연도별 상반기 지가 빛 소비자물가 변동률 > (지가지수 : '16.12. 1.=100)
구분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전국 (지가지수) | 0.99 (90.427) | 0.58 (91.010) | 0.62 (92.107) | 0.57 (92.942) | 0.93 (94.329) | 1.07 (96.313) | 1.25 (98.799) | 1.84 (102.064) | 2.05 (106.236) | |
) --> | 수도권 | 1.13 | 0.63 | 0.54 | 0.51 | 0.93 | 1.01 | 1.12 | 1.86 | 2.14 |
지방 | 0.72 | 0.49 | 0.79 | 0.70 | 0.93 | 1.18 | 1.48 | 1.82 | 1.90 | |
소비자물가* (전기대비) | 1.69 | 2.53 | 1.14 | 0.86 | 1.01 | 0.46 | 0.53 | 1.41 | 0.92 |
[지역별 지가변동률]
□ (시도별, %) 17개 시·도의 땅값이 모두 상승하였으며 세종(3.49), 부산(3.05), 서울(2.38), 대구(2.35), 제주(2.23) 순으로 높게 상승했다.
○ (수도권, 2.14%) 서울(2.38)은 전국 평균(2.05)에 비해 약간 높은 수준이며, 경기(2.01), 인천(1.47) 지역은 전국 평균(2.05) 보다 낮았다.
○ (지방, 1.90%) 세종(3.49)이 최고 상승률을 보였으며, 부산, 대구, 제주, 광주 등 5개 시·도는 전국 평균(2.05) 보다 높았다.
□ (시군구별, %) 경기 파주시(5.60)를 비롯해 강원 고성군(4.21), 서울 동작구(4.10), 부산 해운대구(4.00), 서울 마포구(3.73)가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 울산 동구(-1.23), 전북 군산시(-0.58)는 하락하였고, 경북 포항 북구(0.35), 충남 서천군(0.42), 경남 거제시(0.47)는 상대적으로 낮게 상승하였다.
< 2018년 상반기 지가변동률 상위 5개 현황(%) >
순위 | 시군구 | 변동률 | 주요 변동사유 | 비고 |
1 | 경기 파주시 | 5.60 | 남북관계 개선 및 GTX-A 노선 개통 기대감에 따른 투자수요 증가 | 경기(2.01) |
2 | 강원 고성군 | 4.21 | 금강산관광 재개 등 남북교류 기대감으로 제진역 등 접경지역 수요 증가 | 강원(1.84) |
3 | 서울 동작구 | 4.10 | 흑석, 노량진 뉴타운 등 재개발지역 거래 활발 및 서초구 재건축에 따른 이주수요 | 서울(2.38) |
4 | 부산 해운대구 | 4.00 | LCT, 동해남부선 폐선부지 생태공원 개발 및 해운대 상권 활성화에 따른 투자수요 | 부산(3.05) |
5 | 서울 마포구 | 3.73 | 염리 3구역 등 재개발사업 및 홍대입구역, 망리단길 등 상권 활성화 | 서울(2.38) |
< 2018년 상반기 지가변동률 하위 5개 현황(%) >
순위 | 시군구 | 변동률 | 주요 변동사유 | 비고 |
1 | 울산 동구 | -1.23 | 조선업 추가 구조조정 진행 등 경기 침체장기화에 따른 수요 감소 | 울산(1.66) |
2 | 전북 군산시 | -0.58 | GM군산공단 폐쇄 및 협력업체 부도 여파 등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 | 전북(1.35) |
3 | 경북 포항북구 | 0.35 | 여진 발생에 따른 매수심리 위축 및 공동주택 공급물량 과다 우려 | 경북(1.42) |
4 | 충남 서천군 | 0.42 | 인근 군산시 경기침체 영향에 따른 매수심리 위축 및 인구감소 지속 | 충남(1.43) |
5 | 경남 거제시 | 0.47 | 조선소 구조조정 등 조선업 불황에 따른 인구유출 및 원룸, 상업용 공실률 상승 | 경남(1.47) |
[용도지역별·이용 상황별 지가변동률]
□ (용도지역별, %) 주거(2.25), 계획 관리(2.16), 농림(2.08), 상업(1.87), 생산관리(1.76), 녹지(1.75)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 2018년 상반기 용도지역별 지가변동률(%) >
구 분 | 도시지역 | 비도시지역 | |||||||
주거 | 상업 | 공업 | 녹지 | 보전관리 | 생산관리 | 계획관리 | 농림 | 자연환경 | |
2017년 | 2.07 | 1.82 | 1.22 | 1.53 | 1.07 | 1.33 | 1.78 | 1.40 | 1.12 |
2018년 | 2.25 | 1.87 | 1.28 | 1.75 | 1.56 | 1.76 | 2.16 | 2.08 | 1.42 |
□ (이용 상황별, %) 주거용(2.19), 상업용(2.05), 전(2.02), 답(2.00), 기타(1.17), 임야(1.51)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 2018년 상반기 이용 상황별 지가변동률(%) >
구 분 | 주거용 | 상업용 | 공장용지 | 전 | 답 | 임야 | 기타* |
2017년 | 2.03 | 1.82 | 1.24 | 1.69 | 1.64 | 1.19 | 1.22 |
2018년 | 2.19 | 2.05 | 1.36 | 2.02 | 2.00 | 1.51 | 1.71 |
* 기타 : 여객자동차터미널, 골프장, 스키장, 염전, 광업 용지 등
2. 토지 거래량
[종합]
□ 2018년 상반기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166만 필지(1,091.6㎢, 서울 면적의 약 1.8배)로,
○ 전년 동기 대비 6.9%(+106,497 필지) 증가하였으며, 전기 대비 5.7%(-100,826 필지) 감소하였다.
□ 올해 상반기 거래량은 2017년 1월 최초 공급계약의 신고 의무화 이후 분양권 신고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다.
* 거래 원인별(전년 동기 대비) : 매매(△4.6%), 분양권(35.4%), 기타(증여 등, 5.4%)
○ 한편,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56만 6천 필지(1,007.5㎢)로 전년 동기 대비 3.0% 감소했다.
< 상반기 전체 토지 및 순수토지 거래량 추이 > (단위 : 필지 수, 신고·검인 물량 포함, 신고일 기준)
구 분 | 반기별 | 최근 5년 (’13.~’17.) 상반기 평균 | 증감률(%) | ||||
’18년 상반기 | ’17년 하반기 | ’17년 상반기 | ’17년 하반기 대비 | ’17년 상반기 대비 | 최근 5년 상반기 평균 대비 | ||
전체토지 | 1,660,236 | 1,761,062 | 1,553,739 | 1,376,457 | △5.7 | 6.9 | 20.6 |
순수토지 | 566,399 | 576,614 | 584,093 | 529,558 | △1.8 | △3.0 | 7.0 |
* 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지역별 토지 거래량]
□ (시도별, %) 전년 동기 대비 토지 거래량은 경기(23.3), 세종(22.7), 인천(22.1), 광주(20.5) 등은 증가하였고, 경남(△19.7), 제주(△14.2) 등은 감소했다.
○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57.7), 대전(17.6) 순으로 증가하였고, 부산(△20.4), 대구(△18.1), 울산(△17.0) 등은 감소했다.
[용도지역·지목별 토지 거래량]
□ (용도지역별, %) 전년 동기 대비 공업(13.5), 상업(8.0), 주거(5.4), 농림(4.5) 순으로 증가하였고, 녹지(△6.4), 자연환경보전(△5.5), 관리(△2.9), 개발제한구역(△0.8)은 감소하였다.
○ (지목별, %) 전년 동기 대비 공장용지(23.2), 대지(10.8), 임야(3.8)는 증가하였고, 전(△6.5), 답(△2.6), 기타(잡종지 등, △0.3) 순으로 감소하였다.
○ (건축 용도별, %) 전년 동기 대비 공업용(41.0), 상업업무용(13.9), 주거용(13.5) 순으로 증가하였고, 기타 건물(△6.5), 나지(△4.9)는 감소하였다.
□ 한편,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가변동률 및 토지 거래량을 지속 모티터링하고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지가변동률은 「부동산 거래 신고 등에 관한 법률」 제19조, 시행령 제17조에 의해 지가 동향 및 거래 상황을 조사하여 토지정책 수행 등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지가변동률과 토지 거래량에 대한 상세 자료는 '국토교통 통계누리' (stat.molit.go.kr) 또는 'R-ONE 부동산 통계정보시스템'(www.r-one.go.kr, 부동산정보 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붙임 1 | 2018년 상반기 지역별 지가변동률 |
1. 시군구별 지가 변동률 색인도
2. 반기별 지가변동률 추이(단위 : 반기, %)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
상반기 | 하반기 | 연간 | 상반기 | 하반기 | 연간 | 상반기 | 하반기 | 연간 | 상반기 | ||||||||||||||||
전국 | 1.07 | 1.32 | 2.40 | 1.25 | 1.44 | 2.70 | 1.84 | 2.00 | 3.88 | 2.05 | |||||||||||||||
서울 | 1.26 | 1.41 | 2.69 | 1.34 | 1.62 | 2.97 | 2.10 | 2.17 | 4.32 | 2.38 | |||||||||||||||
부산 | 1.46 | 1.61 | 3.09 | 1.92 | 2.21 | 4.17 | 2.88 | 3.53 | 6.51 | 3.05 | |||||||||||||||
대구 | 1.80 | 2.22 | 4.06 | 2.00 | 1.90 | 3.93 | 2.09 | 2.44 | 4.58 | 2.35 | |||||||||||||||
인천 | 0.90 | 1.04 | 1.95 | 0.82 | 0.91 | 1.74 | 1.45 | 1.62 | 3.10 | 1.47 | |||||||||||||||
광주 | 1.33 | 1.52 | 2.87 | 1.24 | 1.57 | 2.82 | 2.08 | 2.05 | 4.17 | 2.16 | |||||||||||||||
대전 | 1.19 | 1.90 | 3.11 | 1.66 | 1.76 | 3.45 | 1.53 | 1.80 | 3.36 | 1.67 | |||||||||||||||
울산 | 1.11 | 1.39 | 2.52 | 1.18 | 1.16 | 2.35 | 1.50 | 2.01 | 3.54 | 1.66 | |||||||||||||||
세종 | 1.50 | 3.03 | 4.57 | 2.10 | 2.62 | 4.78 | 3.00 | 3.90 | 7.02 | 3.49 | |||||||||||||||
경기 | 0.77 | 0.96 | 1.73 | 0.95 | 1.27 | 2.23 | 1.69 | 1.74 | 3.45 | 2.01 | |||||||||||||||
강원 | 1.18 | 1.44 | 2.64 | 1.35 | 1.56 | 2.92 | 1.85 | 1.93 | 3.82 | 1.84 | |||||||||||||||
충북 | 0.96 | 0.93 | 1.90 | 0.86 | 1.05 | 1.92 | 1.21 | 1.85 | 3.08 | 1.64 | |||||||||||||||
충남 | 0.63 | 0.88 | 1.51 | 0.89 | 1.00 | 1.90 | 1.21 | 1.75 | 2.98 | 1.43 | |||||||||||||||
전북 | 1.01 | 1.29 | 2.31 | 1.04 | 1.10 | 2.15 | 1.59 | 1.71 | 3.33 | 1.35 | |||||||||||||||
전남 | 1.20 | 1.59 | 2.80 | 1.14 | 1.45 | 2.60 | 1.84 | 2.03 | 3.90 | 1.84 | |||||||||||||||
경북 | 1.17 | 1.47 | 2.65 | 1.33 | 1.20 | 2.54 | 1.59 | 1.48 | 3.09 | 1.42 | |||||||||||||||
경남 | 1.03 | 1.19 | 2.23 | 1.13 | 1.22 | 2.36 | 1.49 | 1.58 | 3.09 | 1.47 | |||||||||||||||
제주 | 1.69 | 5.78 | 7.57 | 5.72 | 2.48 | 8.33 | 2.65 | 2.74 | 5.46 | 2.23 | |||||||||||||||
|
3. 시군구별 상·하위 지역 현황(단위 : %)
상위 5개 지역(상반기) | 하위 5개 지역(상반기) | ||||||||||
시군구 | ’14 | ’15 | ’16 | ’17 | ’18 | 시군구 | ’14 | ’15 | ’16 | ’17 | ’18 |
경기 파주시 | 0.73 | 0.39 | 0.54 | 1.32 | 5.60 | 울산 동구 | 1.45 | 0.58 | -0.28 | -1.01 | -1.23 |
강원 고성군 | 0.80 | 0.66 | 0.78 | 2.34 | 4.21 | 전북 군산시 | 0.62 | 0.97 | 0.86 | 0.36 | -0.58 |
서울 동작구 | 1.03 | 0.99 | 1.20 | 2.30 | 4.10 | 경북 포항북구 | 0.91 | 1.05 | 1.28 | 1.48 | 0.35 |
부산 해운대구 | 1.11 | 1.73 | 3.85 | 4.39 | 4.00 | 충남 서천군 | 0.53 | 0.40 | 0.68 | 0.86 | 0.42 |
서울 마포구 | 1.15 | 1.44 | 1.60 | 2.76 | 3.73 | 경남 거제시 | 1.22 | 1.10 | -0.19 | -0.17 | 0.47 |
4. 시·도별 주요 상승지역 및 사유(2018년 상반기 지가변동률)
시도 | 시군구 | 변동률(%) | 주요 변동사유 |
서 울 (2.38) | 동작구 | 4.10 | ⋅흑석 등 뉴타운 중심의 활발한 거래와 인접 서초구 재건축에 따른 이주수요 |
마포구 | 3.73 | ⋅염리3구역 등 재개발사업 및 양화로변 호텔거리, 망리단길 등 상권 활성화 | |
부 산 (3.05) | 해운대구 | 4.00 | ⋅LCT, 동해남부선 폐선부지 생태공원조성 등 개발호재 |
수영구 | 3.67 | ⋅광안·망미 등 재개발사업과 수영강변, 수영역 역세권 중심 주거용 수요 | |
대 구 (2.34) | 수성구 | 3.33 | ⋅재개발지역 거래 활발 및 대구법조타운 조성 예정에 따른 투자 수요 |
서구 | 2.36 | ⋅KTX서대구역 개발 및 주택재개발 영향과 인근 대비 저가에 따른 수요 | |
인천(1.47) | 서구 | 1.78 | ⋅루원시티, 검단지구 개발 및 서울7호선 연장에 따른 교통개선 기대감 |
남동구 | 1.51 | ⋅구시가지 중심의 도심형생활주택, 소규모 공동주택 등 신축을 위한 수요 | |
광주(2.16) | 남구 | 2.41 | ⋅에너지밸리 등 산업단지 조성 진행 및 한전공대 후보지 선정 기대감 |
서구 | 2.33 | ⋅화정동 등 재개발·재건축사업 진행에 따른 주거용, 상업용 가격 상승 | |
대전(1.67) | 유성구 | 2.00 | ⋅유성복합터미널 사업 가시화 및 갑천친수구역 등 개발 호재 |
서구 | 1.79 | ⋅도마변동 등 구도심권 재개발사업 추진 및 도안신도시 수요 지속 | |
울산(1.66) | 중구 | 2.32 | ⋅구도심 중심의 지역주택조합, 주택재개발사업 및 환경개선사업 영향 |
북구 | 2.07 | ⋅호계·매곡지구 등 택지 개발에 따른 인구 증가 및 상권 활성화 영향 | |
세종(3.49) | 세종시 | 3.49 | ⋅세종벤처밸리 등 산업단지 조성 및 6생활권 개발에 따른 수요지속 |
경기(2.01) | 파주시 | 5.60 | ⋅남북관계 개선 및 GTX-A 노선 개통 기대감에 따른 투자 수요 증가 |
연천군 | 3.44 | ⋅남북철도 연결 기대감으로 접경지역 및 경원선 인근 토지 수요 증가 | |
강원(1.84) | 고성군 | 4.21 | ⋅금강산 관광 재개 등 남북교류 기대감으로 제진역 등 접경지역 수요 증가 |
철원군 | 3.35 | ⋅경원선 복원공사 재개, 평화공원조성 사업 기대감 등에 따른 투자 수요 | |
충북(1.64) | 청주 흥덕구 | 1.90 | ⋅테크노폴리스 등 산업단지 조성, 제2순환로 개설 등 개발사업 기대감 |
진천군 | 1.84 | ⋅혁신도시 성숙도 증가 및 송두산단, 교성 택지지구 등 개발사업 영향 | |
충남(1.43) | 천안 서북구 | 2.12 | ⋅아산탕정·성성지구 등 입주에 따른 인구 증가 및 수익형부동산 수요 |
아산시 | 1.69 | ⋅테크노밸리 조성 및 삼성탕정캠퍼스 확장에 따른 주거·공업용 수요 증가 | |
전북(1.35) | 완주군 | 2.08 | ⋅완주테크노밸리, 복합행정타운 등 개발 진행 및 혁신도시(이서면) 이주 수요 |
부안군 | 1.98 | ⋅새만금개발사업 진행에 따른 하서면 등 인근 배후지역 투자 수요 | |
전남(1.84) | 담양군 | 2.85 | ⋅담양복합휴양타운조성 등 개발사업 진행 및 첨단문화복합산단 분양 호조 |
장성군 | 2.51 | ⋅나노산단 성숙도 증가 및 연구개발특구 첨단3지구 개발 기대감 | |
경북(1.42) | 경산시 | 2.52 | ⋅중산시가지, 임당역세권 등 개발사업 진행 및 대구1호선 연장 기대감 |
청송군 | 2.20 | ⋅교통망 개선, 관광경기 활성화 등에 따른 귀촌·귀농 인구 증가 | |
경남(1.47) | 밀양시 | 2.55 | ⋅나노융합국가산단, 농어촌관광휴양단지 조성 등 대규모 개발 사업 본격화 |
사천시 | 2.35 | ⋅항공산단 개발 진행 및 사천케이블카 운행에 따른 인근 상업지 가격상승 | |
제주(2.23) | 제주시 | 2.26 | ⋅화북상업지구 개발 기대감 및 도로망 개선에 따른 농경지 수요 지속 |
서귀포시 | 2.19 | ⋅영어교육도시, 신화역사공원 등 개발사업 진행에 따른 투자 수요 지속 |
5. 시·도별 월별 지가변동률 추이(단위 : %)
구분 | 연간 | 2017년 | 2018년 | |||||||||||||||
’14 | ’15 | ’16 | ’17 | 1 | 2 | 3 | 4 | 5 | 6 | 반기 | 1 | 2 | 3 | 4 | 5 | 6 | 반기누계 | |
전국 | 1.96 | 2.40 | 2.70 | 3.88 | 0.18 | 0.23 | 0.32 | 0.31 | 0.39 | 0.39 | 1.84 | 0.32 | 0.31 | 0.35 | 0.33 | 0.35 | 0.37 | 2.05 |
수도권 | 1.91 | 2.19 | 2.53 | 3.82 | 0.17 | 0.22 | 0.32 | 0.32 | 0.41 | 0.40 | 1.86 | 0.33 | 0.33 | 0.36 | 0.33 | 0.36 | 0.40 | 2.14 |
지방 | 2.06 | 2.77 | 2.99 | 3.97 | 0.21 | 0.24 | 0.32 | 0.31 | 0.34 | 0.38 | 1.82 | 0.32 | 0.28 | 0.33 | 0.32 | 0.32 | 0.31 | 1.90 |
서울 | 2.66 | 2.69 | 2.98 | 4.32 | 0.19 | 0.23 | 0.32 | 0.33 | 0.51 | 0.49 | 2.10 | 0.42 | 0.42 | 0.44 | 0.30 | 0.36 | 0.42 | 2.38 |
부산 | 2.28 | 3.09 | 4.18 | 6.51 | 0.32 | 0.39 | 0.43 | 0.43 | 0.64 | 0.64 | 2.88 | 0.52 | 0.48 | 0.52 | 0.49 | 0.51 | 0.50 | 3.05 |
대구 | 3.15 | 4.06 | 3.93 | 4.58 | 0.30 | 0.34 | 0.36 | 0.33 | 0.35 | 0.39 | 2.09 | 0.34 | 0.33 | 0.39 | 0.42 | 0.42 | 0.42 | 2.35 |
인천 | 1.35 | 1.95 | 1.74 | 3.10 | 0.12 | 0.25 | 0.29 | 0.21 | 0.27 | 0.29 | 1.45 | 0.21 | 0.19 | 0.25 | 0.24 | 0.27 | 0.30 | 1.47 |
광주 | 1.31 | 2.87 | 2.82 | 4.17 | 0.16 | 0.23 | 0.31 | 0.35 | 0.45 | 0.56 | 2.08 | 0.31 | 0.30 | 0.39 | 0.36 | 0.40 | 0.37 | 2.16 |
대전 | 1.84 | 3.11 | 3.45 | 3.36 | 0.14 | 0.26 | 0.34 | 0.24 | 0.27 | 0.27 | 1.53 | 0.26 | 0.28 | 0.29 | 0.28 | 0.26 | 0.28 | 1.67 |
울산 | 1.85 | 2.52 | 2.35 | 3.54 | 0.14 | 0.20 | 0.25 | 0.28 | 0.29 | 0.34 | 1.50 | 0.32 | 0.28 | 0.29 | 0.26 | 0.25 | 0.24 | 1.66 |
세종 | 4.53 | 4.57 | 4.78 | 7.02 | 0.35 | 0.36 | 0.51 | 0.43 | 0.70 | 0.61 | 3.00 | 0.58 | 0.43 | 0.55 | 0.61 | 0.62 | 0.67 | 3.49 |
경기 | 1.24 | 1.73 | 2.23 | 3.45 | 0.15 | 0.21 | 0.33 | 0.32 | 0.34 | 0.33 | 1.69 | 0.26 | 0.26 | 0.30 | 0.39 | 0.38 | 0.40 | 2.01 |
강원 | 1.76 | 2.64 | 2.93 | 3.82 | 0.23 | 0.23 | 0.36 | 0.31 | 0.32 | 0.38 | 1.85 | 0.29 | 0.26 | 0.30 | 0.33 | 0.32 | 0.31 | 1.84 |
충북 | 1.69 | 1.90 | 1.92 | 3.08 | 0.11 | 0.11 | 0.22 | 0.24 | 0.26 | 0.26 | 1.21 | 0.22 | 0.21 | 0.33 | 0.29 | 0.31 | 0.27 | 1.64 |
충남 | 1.39 | 1.51 | 1.90 | 2.98 | 0.13 | 0.14 | 0.21 | 0.19 | 0.25 | 0.27 | 1.21 | 0.25 | 0.22 | 0.28 | 0.23 | 0.23 | 0.21 | 1.43 |
전북 | 1.58 | 2.31 | 2.15 | 3.33 | 0.16 | 0.19 | 0.28 | 0.30 | 0.30 | 0.34 | 1.59 | 0.26 | 0.18 | 0.24 | 0.21 | 0.22 | 0.23 | 1.35 |
전남 | 1.80 | 2.80 | 2.60 | 3.90 | 0.21 | 0.21 | 0.36 | 0.33 | 0.33 | 0.38 | 1.84 | 0.30 | 0.25 | 0.35 | 0.32 | 0.31 | 0.29 | 1.84 |
경북 | 2.42 | 2.65 | 2.54 | 3.09 | 0.21 | 0.25 | 0.31 | 0.27 | 0.25 | 0.29 | 1.59 | 0.24 | 0.18 | 0.24 | 0.25 | 0.25 | 0.25 | 1.42 |
경남 | 1.97 | 2.23 | 2.36 | 3.09 | 0.18 | 0.19 | 0.28 | 0.27 | 0.25 | 0.30 | 1.49 | 0.25 | 0.23 | 0.26 | 0.24 | 0.23 | 0.25 | 1.47 |
제주 | 3.73 | 7.57 | 8.33 | 5.46 | 0.43 | 0.41 | 0.39 | 0.56 | 0.35 | 0.48 | 2.65 | 0.49 | 0.34 | 0.35 | 0.35 | 0.35 | 0.32 | 2.23 |
붙임 2 | 2018년 상반기 토지 거래량 증감률(2017년 상반기 대비) |
1. 시도별 증감률 색인도
2. 전체토지 거래량(단위 : 필지 수, 신구+검긴 포함, 신고일 기준)
구 분 | 반기별 | 이전 5년 (’13~’17년) 상반기 평균 거래량 | 증감률(%) | |||||
’18년 상반기 | ’17년 하반기 | ’17년 상반기 | ’17년 하반기 대비 | ’17년 상반기 대비 | 이전 5년 상반기 평균 대비 | |||
전 국 | 1,660,236 | 1,761,062 | 1,553,739 | 1,376,457 | △5.7 | 6.9 | 20.6 | |
수도권 | 755,691 | 822,570 | 645,902 | 516,170 | △8.1 | 17.0 | 46.4 | |
) --> | 서 울 | 187,383 | 202,682 | 184,381 | 148,038 | △7.5 | 1.6 | 26.6 |
인 천 | 95,448 | 108,122 | 78,163 | 62,287 | △11.7 | 22.1 | 53.2 | |
경 기 | 472,860 | 511,766 | 383,358 | 305,845 | △7.6 | 23.3 | 54.6 | |
지 방 | 904,545 | 938,492 | 907,837 | 860,287 | △3.6 | △0.4 | 5.1 | |
지방광역시 | 255,913 | 276,248 | 251,011 | 246,768 | △7.4 | 2.0 | 3.7 | |
) --> | 부 산 | 78,047 | 96,373 | 89,638 | 85,726 | △19.0 | △12.9 | △9.0 |
대 구 | 48,025 | 57,737 | 45,543 | 51,908 | △16.8 | 5.4 | △7.5 | |
광 주 | 42,867 | 39,805 | 35,569 | 34,939 | 7.7 | 20.5 | 22.7 | |
대 전 | 30,555 | 28,428 | 27,253 | 24,912 | 7.5 | 12.1 | 22.7 | |
울 산 | 27,416 | 29,838 | 29,379 | 32,564 | △8.1 | △6.7 | △15.8 | |
세 종 | 29,003 | 24,067 | 23,629 | 16,718 | 20.5 | 22.7 | 73.5 | |
지방 도 | 648,632 | 662,244 | 656,826 | 613,519 | △2.1 | △1.2 | 5.7 | |
) --> | 강 원 | 77,169 | 77,776 | 71,805 | 62,018 | △0.8 | 7.5 | 24.4 |
충 북 | 59,369 | 59,275 | 57,473 | 53,395 | 0.2 | 3.3 | 11.2 | |
충 남 | 98,133 | 98,912 | 97,089 | 84,409 | △0.8 | 1.1 | 16.3 | |
전 북 | 82,006 | 70,802 | 68,588 | 65,088 | 15.8 | 19.6 | 26.0 | |
전 남 | 99,819 | 91,601 | 90,272 | 82,336 | 9.0 | 10.6 | 21.2 | |
경 북 | 98,972 | 112,703 | 108,187 | 114,576 | △12.2 | △8.5 | △13.6 | |
경 남 | 102,973 | 119,286 | 128,206 | 120,106 | △13.7 | △19.7 | △14.3 | |
제 주 | 30,191 | 31,889 | 35,206 | 31,591 | △5.3 | △14.2 | △4.4 |
3. 순수토지 거래량(단위 : 필지 수, 신고+검인 포함, 신고일 기준)
구 분 | 반기별 | 이전 5년 (’13~’17년) 상반기 평균 거래량 | 증감률(%) | |||||
’18년 상반기 | ’17년 하반기 | ’17년 상반기 | ’17년 하반기 대비 | ’17년 상반기 대비 | 이전 5년 상반기 평균 대비 | |||
전 국 | 566,399 | 576,614 | 584,093 | 529,558 | △1.8 | △3.0 | 7.0 | |
수도권 | 152,669 | 157,073 | 146,229 | 114,921 | △2.8 | 4.4 | 32.8 | |
) --> | 서 울 | 9,259 | 9,646 | 9,456 | 8,042 | △4.0 | △2.1 | 15.1 |
인 천 | 13,013 | 13,332 | 12,659 | 9,552 | △2.4 | 2.8 | 36.2 | |
경 기 | 130,397 | 134,095 | 124,114 | 97,326 | △2.8 | 5.1 | 34.0 | |
지 방 | 413,730 | 419,541 | 437,864 | 414,637 | △1.4 | △5.5 | △0.2 | |
지방광역시 | 42,365 | 43,060 | 44,608 | 41,743 | △1.6 | △5.0 | 1.5 | |
) --> | 부 산 | 8,954 | 11,264 | 11,246 | 11,058 | △20.5 | △20.4 | △19.0 |
대 구 | 6,165 | 6,621 | 7,525 | 7,593 | △6.9 | △18.1 | △18.8 | |
광 주 | 6,543 | 5,638 | 6,311 | 5,877 | 16.1 | 3.7 | 11.3 | |
대 전 | 4,301 | 3,274 | 3,657 | 3,441 | 31.4 | 17.6 | 25.0 | |
울 산 | 9,576 | 10,076 | 11,541 | 9,918 | △5.0 | △17.0 | △3.4 | |
세 종 | 6,826 | 6,187 | 4,328 | 3,818 | 10.3 | 57.7 | 78.8 | |
지방 도 | 371,365 | 376,481 | 393,256 | 372,894 | △1.4 | △5.6 | △0.4 | |
) --> | 강 원 | 41,703 | 44,562 | 39,981 | 35,962 | △6.4 | 4.3 | 16.0 |
충 북 | 29,053 | 31,574 | 32,845 | 30,478 | △8.0 | △11.5 | △4.7 | |
충 남 | 57,069 | 56,288 | 60,082 | 52,088 | 1.4 | △5.0 | 9.6 | |
전 북 | 43,746 | 42,677 | 42,833 | 41,125 | 2.5 | 2.1 | 6.4 | |
전 남 | 65,980 | 62,204 | 65,253 | 58,890 | 6.1 | 1.1 | 12.0 | |
경 북 | 63,265 | 64,187 | 71,300 | 73,668 | △1.4 | △11.3 | △14.1 | |
경 남 | 53,925 | 56,729 | 61,979 | 60,921 | △4.9 | △13.0 | △11.5 | |
제 주 | 16,624 | 18,260 | 18,983 | 19,762 | △9.0 | △12.4 | △15.9 |
* 순수토지 : 토지만 거래된 내역
4. 용도지역 및 지목별 전체 토지 거래량(단위 : 필지 수, 신고+검인 포함, 신고일 기준)
구 분 | 반기별 | 이전 5년 (’13~’17년) 상반기 평균 거래량 | 증감률(%) | |||||
’18년 상반기 | ’17년 하반기 | ’17년 상반기 | ’17년 하반기 대비 | ’17년 상반기 대비 | 이전 5년 상반기 평균 대비 | |||
용도지역별 | 1,660,236 | 1,761,062 | 1,553,739 | 1,376,457 | △5.7 | 6.9 | 20.6 | |
도 시 지 역 | 주거지역 | 862,625 | 924,290 | 818,670 | 759,995 | △6.7 | 5.4 | 13.5 |
상업지역 | 150,915 | 174,682 | 139,762 | 104,235 | △13.6 | 8.0 | 44.8 | |
공업지역 | 35,351 | 33,363 | 31,138 | 29,348 | 6.0 | 13.5 | 20.5 | |
녹지지역 | 104,299 | 105,619 | 111,426 | 93,884 | △1.2 | △6.4 | 11.1 | |
개발제한구역 | 18,117 | 19,977 | 18,268 | 14,597 | △9.3 | △0.8 | 24.1 | |
비도시지역 | 관리지역 | 267,699 | 285,670 | 275,644 | 254,854 | △6.3 | △2.9 | 5.0 |
농림지역 | 96,689 | 84,836 | 92,519 | 85,512 | 14.0 | 4.5 | 13.1 | |
자연환경 보전지역 | 6,781 | 6,637 | 7,176 | 7,420 | 2.2 | △5.5 | △8.6 | |
용도미지정 | 117,760 | 125,988 | 59,136 | 26,612 | △6.5 | 99.1 | 342.5 | |
지목별 | 1,660,236 | 1,761,062 | 1,553,739 | 1,376,457 | △5.7 | 6.9 | 20.6 | |
전 | 132,893 | 140,904 | 142,153 | 128,121 | △5.7 | △6.5 | 3.7 | |
답 | 159,141 | 148,529 | 163,333 | 150,201 | 7.1 | △2.6 | 6.0 | |
대지 | 1,153,450 | 1,245,299 | 1,041,365 | 927,000 | △7.4 | 10.8 | 24.4 | |
임야 | 127,801 | 133,454 | 123,119 | 101,771 | △4.2 | 3.8 | 25.6 | |
공장용지 | 18,129 | 18,185 | 14,713 | 12,423 | △0.3 | 23.2 | 45.9 | |
기타 | 68,822 | 74,691 | 69,056 | 56,941 | △7.9 | △0.3 | 20.9 | |
건물용도별* (대지+공장용지) | 1,171,579 | 1,263,484 | 1,056,078 | 939,424 | △7.3 | 10.9 | 24.7 | |
주거용 | 825,306 | 888,446 | 727,047 | 684,082 | △7.1 | 13.5 | 20.6 | |
상업업무용 | 176,890 | 196,522 | 155,351 | 103,568 | △10.0 | 13.9 | 70.8 | |
공업용 | 13,610 | 12,832 | 9,651 | 7,643 | 6.1 | 41.0 | 78.1 | |
기타건물 | 10,918 | 11,832 | 11,680 | 10,068 | △7.7 | △6.5 | 8.4 | |
나지 | 144,855 | 153,852 | 152,349 | 134,062 | △5.8 | △4.9 | 8.1 |
※ 전체 토지 거래량 중 대지, 공장용지를 건물 유형별로 집계한 수치임
※자료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올 상반기 땅값 2.05% 상승…거래량은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 전문 |
부동산 투자 정확한 정보만 있다면 소액 투자로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정보, 세미나/컨설팅 신청 등 부동산 재테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 부담 없이 문의하십시오
부동산 정보, 세미나/컨설팅 신청 및 문의는 이천수 팀장에게 문의하세요
☎010-9469-2799
'부동산 지식 창고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토교통부 주거복지로드맵]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 7월 31일 출시 (0) | 2018.07.26 |
---|---|
2018년 8월~10월 전국 아파트 111,050세대 입주 예정 (0) | 2018.07.25 |
경부선 전철 급행화 사업 첫 삽.. 급행화 공사 20일 착공 2019년 하반기 준공 (0) | 2018.07.20 |
[한국감정원] 2018년 7월 2주(7월 9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0) | 2018.07.19 |
한국감정원, 2018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에 대한 협력공인중계사 설문조사결과 발표 (0) | 2018.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