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7. 18. 19:21ㆍ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한국감정원, 「2018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에 대한
협력 공인중개사 설문조사 결과 발표
모든 거래 유형별 가격은 보합 전망 우세
[매매(48.1%), 전세(55.0%), 월세(59.5%)]
[한국감정원 보도자료 2018.07.16]
□ 한국감정원(원장 김학규)은 전국 6천여 협력 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8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7월 16일 발표했다.
* 2018.6.22~7.2(11일간), 응답자 2,244명(수도권 1,149명, 지방 1,095명)
○ 이번 조사는 적국적으로 크게 증가한 신규 공급물량과 보유세 개편, 금리 인상 및 각종 규제(세금, 대출, 재건축 등) 등 다양한 변동 요인이 혼재한 2018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에 대하여 일선 공인중개사들의 의견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했다.
□ 전체 응답자의 가격에 대한 전망은 매매·전세·월세 모두 보합으로 응답(매매 48.1%, 전세 55.0%, 월세 59.5%) 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 지역별로 보면 서울·수도권은 매매·전세·월세 모두 보합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지방의 경우 매매는 하락(55.3%), 전·월세는 보합으로 등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 거래별 유형별 응답자의 주택 가격 전망 >
□ 매매시장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가격 전망은 보합 응답(48.1%)이 우세한 가운데, 지역별로 수도권(55.4%)과 서울(62.3%)도 보합 응답이 우세했으나, 지방(55.3%)은 하락 응답이 우세했다.
○ 하락 전망 이유는
1) 공급물량 증가(신규 분양, 입주 물량, 미분양 등 증가)(38.8%)
2) 대출 규제 강화(LTV, DTI, DSR 등)로 차입 여력 축소(24.0%)
3) 보유세 개편, 다주택자 규제 등 정책적 규제(20.2%) 순이었고,
○ 상승 전망 이유는
1) 선도지역 및 인근의 가격 상승 영향으로 갭 메우기(25.4%)
2) 개발호재(재건축·재개발 등 정비 사업, 교통망 확충, 산업단지 조성 등)(20.9%)
3) 신축 및 신규 분양시장 호조로 인근 동반 상승(20.0%) 순이었다.
< 전체 응답자의 주택 매매가격 전망 >
○ 그리고 서울지역 매매가격 전망은 상승 의견(12.2%)보다는 하락의 견(25.5%)이 배 이상 많았는데, 하락 전망 주요 이유는
1) 대출 규제 강화(LTV, DTI, DSR 등)로 차입 여력 축소(36.2%)
2) 보유세 개편, 다주택자 규제 등 정책적 규제(32.8%)
3) 미국 발 국내 기준금리 상승 압력 및 시장금리 상승세(14.3%) 순이었다.
< 거래 유형별 서울 주택 가격 전망 >
□ 전세시장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가격 전망은 보합 응답(55.0%)이 우세한 가운데, 지역별로 수도권(55.4%), 서울(64.7%), 지방(54.4%) 모두 보합 응답이 우세했다.
○ 하락 전망 이유는
1) 전세 공급물량 증가(55.4%)
2) 매매가격 하락에 따른 전세가격 동반 하락(38.7%)
3) 주거복지로드맵 등 정책적 효과(공공 분양, 임대주택 등 공급 확대)(3.6%) 순이었고
○ 상승 전망 이유는
1) 임대인의 월세 전환에 다른 전세 공급 감소(32.2%)
2) 매매가격 상승에 따른 전세가격 동반 상승(24.3%)
3) 재개발·재건축 사업으로 인한 이주 수요(14.8%) 순이었다.
< 전체 응답자의 주택 전세 가격 전망 >
□ 월세 시장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가격 전망은 보합 응답(59.5%)이 우세한 가운데, 지역별로 수도권(61.7%), 서울(67.7%), 지방(57.2%) 모두 보합 응답이 우세했다.
○ 하락 전망 이유는
1) 신규주택의 월세 공급 물량 증가(39.1%)
2) 전세 공급 물량 증가 및 전세 가격 안정으로 월세 수요 감소(31.9%)
3) 임대인의 월세 전환으로 월세 공급 물량 증가(19.3%) 순이었고
○ 상승 전망 이유는
1) 전세 자금 대출 금리 상승에 따른 반사 효과로 월세 수요 증가(41.7%)
2) 전세 가격 상승 부담 등으로 월세 전환 증가(33.3%)
3) 가구 구조 변화에 따른 월세 수요 증가(1~2인 소형가구 증가)(14.6%) 순이었다.
< 전체 응답자의 주택 월세 가격 전망 >
□ 설문조사는 전국의 한국감정원 협력 공인중개사 약 6,000여 명을 대상을 부동산시장 동향 모니터링 시스템(RNS)을 활용한 온라인 조사로 2018년 6월 22일부터 11일간 진행되었으며 2,244명이 응답했다.
※자료출처 : 한국감정원 보도자료(한국감정원, 2018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에 대한 협력 공인중개사 설문조사 결과 발표) 전문 |
부동산 투자 정확한 정보만 있다면 소액 투자로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정보, 세미나/컨설팅 신청 등 부동산 재테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 부담 없이 문의하십시오
부동산 정보, 세미나/컨설팅 신청 및 문의는 이천수 팀장에게 문의하세요
☎010-9469-2799
'부동산 지식 창고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부선 전철 급행화 사업 첫 삽.. 급행화 공사 20일 착공 2019년 하반기 준공 (0) | 2018.07.20 |
---|---|
[한국감정원] 2018년 7월 2주(7월 9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0) | 2018.07.19 |
올해 상반기 주택매매거래량은 43.7만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 (0) | 2018.07.17 |
[한국감정원] 2018년 상반기 부동산시장 동향 및 하반기 전망 발표 (0) | 2018.07.14 |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6~2025) 사업 소개 (0) | 2018.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