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6. 22. 17:11ㆍ부동산 지식 창고/부동산뉴스
[전국 아파트 가격 변동 정보]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조사 : 2018년 6월 3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매매가격, 전세가격 무도 하락폭 소폭 확대
[한국감정원 보도자료(2018.06.21)]
□ 한국감정원(원장 : 김학규)이 2018년 6월 3주(6.18일 기준) 잔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5% 하락, 전세가격은 0.11% 하락하였다.
1. 주간 아파트 매매 가격 동향
□ [전국 : -0.05%] 호재가 있거나 선호도 높은 일부 지역·단지는 국지적으로 상승하였으나, 지난 13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및 COFIX 상승세(잔액 기준 9개월 연속 상승)로 인한 주요 시중 은행들의 주택 담보대출 금리 상향 조정, 공급물량 증가, 보유세 개편안 발표 예정(22일) 등 하방 요인으로 관망세가 짙어짐에 따라 전국적으로 안정세가 유지되며 지난주 대비 하락폭이 소폭 확대되었다.
○ 시도별로는 세종(0.08%), 서울(0.07%), 광주(0.06%), 전남(0.03%), 대구(0.02%)는 상승, 경기(0.00%)는 보합, 경남(-0.28%), 강원(-0.28%), 울산(-0.25%), 충남(-0.18%), 충북(-0.17%) 등은 하락하였다.
- 공표 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47→57개)은 증가, 보합 지역(26→20개) 및 하락 지역(103→99개)은 감소하였다.
□ [수도권 : 0.01%] 서울은 0.07% 상승, 인천은 0.07% 하락, 경기는 보합
□ [지방 : -0.11%] 광주는 정비 사업 진행 및 분양가 상승 영향 등으로 동·서·남구를 중심으로 상승, 세종은 거래는 소강상태이나 행복도시 내 입지여건이 양호한 생활권의 수요 지속 유입 등으로 상승 전환되었으나, 경남 거제·창원과 경북 경주·포항, 충남 천안 등 공급이 많거나 경기 침체된 지역은 하락하였다.
□ [서울 : 0.07%] 대출 규제, 재건축 부담금 여파, 보유세 개편 예정 등으로 전반적으로 관망세가 우세하나, 인근과의 격차로 상승 여력이 있거나 재개발·뉴타운 조성 등 호재 있는 지역은 상승하였다.
○ [강북 14개 구 : 0.10%] 동대문구는 청량리 개발 호재와 더불어 전농·답십리 일대 신규 대단지 수요로 상승하고, 중랑구는 인접 지역(동대문·광진구) 상승 여파 및 재개발사업, 신규 분양 호조 등으로 상승하였다.
○ [강남 11개 구 : 0.04%] 강동구는 재건축 이주 수요와 9호선 4단계 연장 예비 타당성 조사 통과 호재로 상승하고, 강서구는 공항철도 마곡나루역 개통 예정(2018년 9월) 등으로 상승하였으나, 상승 피로감 높은 강남 3구는 하락하고 양천구는 보합 전환되었다.
2. 주간 아파트 전세 가격 동향
□ [전국 : -0.11%] 지속적인 신규 아파트 공급으로 전세 물량 누적되고 세입자 우위 시장이 이어지는 가운데, 수도권은 대다수 지역에서 보합 내지 하락하며 지난주 대비 하락폭이 소폭 확대되고, 지방 또는 지역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와 공급 부담으로 14개 시도 중 12개 시도에서 하락하며 전국적으로 하락세가 지속되었다.
○ 시도별로는 광주(0.07%), 전남(0.03%)은 상승, 세종(-0.63%), 울산(-0.33%), 충남(-0.20%), 강원(-0.17%), 경북(-0.17%), 충북(-0.16%), 경남(-0.16%), 경기(-0.16%) 등은 하락하였다.
- 공표 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22→28개)은 증가, 하락 지역(122→119개) 및 보합 지역(23→29개)은 감소하였다.
□ [수도권 : -0.10%] 서울은 0.01%, 경기는 0.16%, 인천은 0.09% 하락하였다.
□ [지방 : -0.12%] 광주와 전남은 주거여건이 양호하거나 전세 공급이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하였으나, 세종은 신규 아파트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하락폭이 확대되고, 울산·경남·전북은 지역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와 공급 부담으로 하락세가 지속되고, 부산·강원·충청권도 전세 물량 누적으로 하락하는 등 전국적으로 세입자 우위 시장이 지속되며 지난주와 동일한 하락폭을 유지하였다.
□ [서울 : -0.01%] 경기권 신규 입주 물량이 대규모로 시장에 나오는 가운데, 서울 자체 입주 물량도 더해지며 전반적인 하락세가 지속되었다.
○ [강북 14개 구 : 0.01%] 종로구와 마포구, 서대문구 등은 직주근접 수요가 상승하였으나, 동대문구는 신규 단지 입주에 따른 전세 물량 증가로 하락하고, 노원·성동·광진구도 하락세가 지속되었다.
○ [강남 11개 구 : -0.03%] 강남 3구는 서초·송파구가 하반기 대규모 입주 물량 영향으로 하락세가 지속되었으나, 강동구는 재건축 이주 수요로, 동작구는 방배 5구역 등 정비 사업 이주 수요로 상승하였다.
○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 통계정보 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쉬운 설치 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에서 "한국감정원" 검색 후 설치
붙임 1 | 주간 아파트 시도별 변동률 통계표 |
□ 매매 가격 변동률
□ 전세 가격 변동률
* '17년 누계는 '18년 누계와 동일 누적 주차를 기준으로 산정(예시: '18년 14주 차의 경우, '17년 수치 또한 14주 차 누계치임)
** 연초(1월 1주 차)부터 동일 주차 변동률(예시: '18년 14주 차의 경우, '17년 수치 또한 14주 차 변동률임)
붙임 2 | 주요 지역 주간 아파트 변동률 통계표 |
□ 매매 가격 변동률
□ 전세 가격 변동률
* '17년 누계는 '18년 누계와 동일 누적 주차를 기준으로 산정(예시: '18년 14주 차의 경우, '17년 수치 또한 14주 차 누계치임)
** 연초(1월 1주 차)부터 동일 주차 변동률(예시: '18년 14주 차의 경우, '17년 수치 또한 14주 차 변동률임)
붙임 3 |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 지수 변동률 그래프 |
※자료출처 : 한국감정원 보도자료(2018년 6월 3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
부동산 투자 정확한 정보만 있다면 소액 투자로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정보, 세미나/컨설팅 신청 등 부동산 재테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 부담 없이 문의하십시오
부동산 정보, 세미나/컨설팅 신청 및 문의는 이천수 팀장에게 문의하세요
☎010-9469-2799
'부동산 지식 창고 > 부동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뉴스] 2018년 5월말 전국 미분양 59,836호, 전월 대비 0.4%(253호) 증가 (국토부 보도자료) (0) | 2018.06.27 |
---|---|
[부동산 뉴스] 2018년 7월 ~ 2018년 9월 전국 아파트 입주 예정 정보 (0) | 2018.06.25 |
[부동산뉴스]「부동산서비스산업 진흥법」6월 20일부터 본격 시행(국토교통부 보도자료) (0) | 2018.06.20 |
[부동산 뉴스] 2018년 6월 2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0) | 2018.06.14 |
[부동산뉴스] LH 행복주택 2018년 2분기 입주자 모집 사전 안내 (0) | 2018.06.13 |